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4월 1일 (월) 20:4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AI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IP AIP(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은 항공 운항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문서입니다. AIP는 항공 규정 및 절차, 항공편의 계획 및 운항, 공항 및 항공기 운용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항공 당국이나 항공 운영자들이 운항을 계획하고 수행할 때 AIP를 참고하여 공항, 항로, 항공 규정 등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합니다. AIP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
- 2024년 3월 16일 (토) 11:14 Powerlps2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4년 2월 11일 (일) 22:15 192.168.0.1 토론님이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bsp'>페다고지란?</span> Paida(어린이) + Agogos(지도하다.이끌다) = 어린이를 가르치는 기술과 과학 그리스,로마시대에 시민을 가르치는 교복(정복당한 타지방에서 데려온 가정교사, 가르치는 노예)에서 비롯되었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재능과 소질을 이끌어서 개발케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교사중심 교육이며 가르치는 것이 중심이 되며 교과중심...)
- 2024년 2월 8일 (목) 17:59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Robots.tx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User-agent: * Allow: /)
- 2024년 1월 9일 (화) 18:5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토론:대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ㅅㄷㄴㅅ == ㅅㄷㄴㅅ". 유일한 편집자는 "1.215.96.6" (토론))
- 2024년 1월 5일 (금) 13:2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기압.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저기압고기압 비행기 이동)
- 2024년 1월 5일 (금) 13:2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기압.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저기압고기압 비행기 이동)
- 2024년 1월 3일 (수) 19:5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표준대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준 대기''' 각 나라에서는 해수면의 기준을 선정하여 활용, 우리나라는 <span class='bsd'>인천만</span>의 평균해수면 높이를 0으로 선정 '''표준 대기의 특성'''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0%;'>특 성</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5%;'>미터법 단위</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
- 2024년 1월 2일 (화) 12:50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안전법의 목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항공안전법의 목적</span> '''항공안전법 제1조(목적)''' 이 법은 <span class='bsd'>「국제민간항공협약」</span> 및 <span class='bsd'>같은 협약의 부속서</span>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span class='bsd'>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span>과 <span class='bsd'>국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 등의...)
- 2024년 1월 2일 (화) 12:43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기대여업의 등록요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사업법 시행령 제22조(항공기대여업의 등록요건) 법 제46조제2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항공기대여업의 등록요건은 별표 8과 같다. 별표 8 항공기대여업의 등록요건(제22조 관련)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0%;'>구 분</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70%;'>기 준</th> </tr> <tr> <th styl...)
- 2023년 12월 30일 (토) 11:1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K-Drone 해외사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0%;'>구 분</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70%;'>내 용</th> </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미 국</td> <td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 middle;'> * 공역배정・관제・감시 등을 위한 교통관리시스템(UTM) 개발 중(NASA, 2014년 ~ ) </td> </tr> <tr> <td s...)
- 2023년 12월 30일 (토) 10:5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사망ㆍ중상의 범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7조(사망ㆍ중상의 범위) ① 법 제2조제6호가목, 같은 조 제7호가목 및 같은 조 제8호가목에 따른 사람의 사망은 항공기사고, 경량항공기사고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그 사고로 사망한 경우를 포함한다. ② 법 제2조제6호가목, 같은 조 제7호가목 및 같은 조 제8호가목에 따른 중상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2023년 12월 28일 (목) 22:5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업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5. “항공업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를 말한다. 가. <span class='bsp'>항공기의 운항</span>(무선설비의 조작을 포함한다) 업무(제46조에 따른 항공기 조종연습은 제외한다) 나. <span class='bsp'>항공교통관제</span>(무선설비의 조작을 포함한다) 업무(제47조에 따른 항공교통...)
- 2023년 12월 28일 (목) 19:3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기의 비행 중 금지행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68조(항공기의 비행 중 금지행위 등)''' 항공기를 운항하려는 사람은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행 또는 행위를 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최저비행고도(最低飛行高度) 아래...)
- 2023년 12월 28일 (목) 19:10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서의 비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63조(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서의 비행) ① 법 제67조에 따라 비행장 또는 그 주변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개정 2021. 8. 27.> 1. 이륙하려는 항공기는 안전고도 미만의 고도 또는 안전속도 미만의 속도에서 선회하지 말 것 2. 해당 비행장의 이륙기상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이륙하지 말 것 3....)
- 2023년 12월 28일 (목) 17:40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비행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21. “비행장”이란 <span class='bsp'>「공항시설법」 제2조제2호</span>에 따른 비행장을 말한다. '''공항시설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2. “비행장”이란 항공기ㆍ경량항공기ㆍ초경량비행장치의 이륙[이수(離水)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 2023년 12월 28일 (목) 15:5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업 종사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4장 항공종사자 등''' '''제34조(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등)''' ① 항공업무에 종사하려는 사람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이하 “자격증명”이라 한다)을 받아야 한다. 다만, 항공업무 중 무인항공기의 운항 업무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 2023년 12월 28일 (목) 13:4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기의 정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2조(정의) 1. “항공기”란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span class='bsp'>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2조(항공기의 기준))</span>에 해당하는 다음 각 목의 기기와 그 밖에 <span class='bsp'>대통령령</span>으로 정하는 기기를 말한...)
- 2023년 12월 28일 (목) 13:1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교통업무의 목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228조(항공교통업무의 목적 등) ① 법 제83조제4항에 따른 항공교통업무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항공기 간의 충돌 방지 # 기동지역 안에서 항공기와 장애물 간의 충돌 방지 # 항공교통흐름의 질서유지 및 촉진 #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하여 필요한 조언 및 정보의 제공 # 수색ㆍ구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
- 2023년 12월 28일 (목) 13:0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나라별 등록기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나라별 등록기호 == ===미국, 콜롬비아=== * 등록기호 "N" ===아랍에미리트=== * 등록기호 "A6" ===대한민국=== * 등록기호 "HL" ===일본=== * 등록기호 "JA"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홍콩, 마카오=== * 등록기호 "B-"<ref>본토는 숫자 4자리를, 타이완은 5자리 숫자를 주로 쓰고, 홍콩은 B-H**을, 마카오는 B-M**을 주로 사용한다. 일전...)
- 2023년 12월 28일 (목) 12:4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주류섭취에 대한 행정처분기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10] <개정 2022. 7. 19.> 항공종사자에 대한 행정처분기준(제97조제1항 관련)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40%;'>위반행위</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0%;'>근거 법조문</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30%;'>처분내용</th> </tr> <tr> <td style='text-...)
- 2023년 12월 28일 (목) 12:2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주류등의 섭취・사용 제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57조(주류등의 섭취ㆍ사용 제한)''' ① 항공종사자(제46조에 따른 항공기 조종연습 및 제47조에 따른 항공교통관제연습을 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및 객실승무원은 「주세법」 제3조제1호에 따른 주류,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마약류 또는 「화학물질관리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환각물질 등(이하 “주류...)
- 2023년 12월 27일 (수) 23:05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기 등록기호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2조(등록기호표의 부착)''' ① 항공기를 소유하거나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이하 “소유자등”이라 한다)가 항공기를 등록한 경우에는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강철 등 내화금속(耐火金屬)으로 된 등록기호표(<span class='bsd'>가로 7센티미터 세로 5센티미터의 직사각형</span>)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보기 쉬운 곳에 붙여...)
- 2023년 12월 27일 (수) 22:4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 취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안전법 제125조(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등)''' ⑤ 국토교통부장관은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을 받은 사람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 <span class='bsd'>조종자 증명을 취소</span>하거나 <span class='bsd'>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효력의 정지</span>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제3호의2, 제3호의3, 제7호 또는 제8호의...)
- 2023년 12월 27일 (수) 22:1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윤활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1. 마찰의 감소 기능</span> 금속 표면에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체 마찰을 액체 마찰로 변환시켜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윤활유에 있어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기능입니다. 마찰이 감소됨으로써 동시에 발열이 방지되고, 마찰면의 마멸도 제한됩니다. <span class='title-info'>2. 냉각 기능</span> 마찰이 일어나는 부위에서는 반드시 마찰열이 발생하...)
- 2023년 12월 27일 (수) 20:33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유도항력 #* 양력을 만들면 필연적으로 유도(induced)되는 항력. 이 때문에 양력과 함수 관계다. 보통 날개 끝에서 생기는 소용돌이 때문에 생기는 항력이다. 윙렛 같은 것으로 줄인다. # 유해항력 항공기 관점에서 양력과 관계가 없는 항력을 말한다. 영어로는 parasitic drag이며 직역하여 기생항력이라고 적어 놓은 책들도 있다. 또는 양력이 0이어도 생긴다 하여 영 양...)
- 2023년 12월 27일 (수) 20:10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곡기비행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작성자의 요청: 내용: "'''곡기 비행'''은 * 항공기를 이용하여 예술적인 기동을 보이는 비행입니다. * 곡기 비행은 스포츠, 군사, 흥업 등의 목적으로 실시될 수 있습니다. * 곡기 비행에는 급상승, 급강하, 스핀, 롤, 루프, 배면비행, 이멜만반전 등의 다양한 기동이 있습니다. * 곡기 비행은 일정한 룰과 공역 안에...". 유일한 편집자는 "Powerlps" (토론))
- 2023년 12월 27일 (수) 20:0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곡예비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203조(곡예비행) 법 제68조제4호에 따른 곡예비행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21. 8. 27.> 1. 항공기를 뒤집어서 하는 비행 2. 항공기를 옆으로 세우거나 회전시키며 하는 비행 3. 항공기를 급강하시키거나 급상승시키는 비행 4. 항공기를 나선형으로 강하시키거나 실속시켜 하는 비행 5. 그 밖에 항공기의 비행자세, 고도 또는 속도를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하는...)
- 2023년 12월 27일 (수) 20:00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곡기비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곡기 비행'''은 * 항공기를 이용하여 예술적인 기동을 보이는 비행입니다. * 곡기 비행은 스포츠, 군사, 흥업 등의 목적으로 실시될 수 있습니다. * 곡기 비행에는 급상승, 급강하, 스핀, 롤, 루프, 배면비행, 이멜만반전 등의 다양한 기동이 있습니다. * 곡기 비행은 일정한 룰과 공역 안에서 실시되며, 기술과 예술성이 평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곡기 비행은 일...)
- 2023년 12월 27일 (수) 19:5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운영세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2021.04.15. 개정 (규정제1328호)''' '''제1조(목적)''' 이 세칙은 항공안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25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306조에 따라 초경량비행장치(무인비행장치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 조종자 증명(이하 “조종자증명”이라 한다)을 위한 자격기준 및 시험의 절차·방법 등 세부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7.04....)
- 2023년 12월 27일 (수) 19:03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비행정보구역 비행승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비행정보구역에서의 비행계획의 제출</span>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82조(비행계획의 제출 등)''' 제182조(비행계획의 제출 등) ① 법 제67조에 따라 비행정보구역 안에서 비행을 하려는 자는 비행을 시작하기 전에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출동 등 비행 시작 전에 비행계획을 제출하지 못한 경...)
- 2023년 12월 27일 (수) 18:2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구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비(nimbus)를 포함한 구름은 난층운(nimbostratus), 적란운(cumulonimbus)이 포함된다. ■ 구름의 종류 1. 상층운 : 권운(Ci), 권적운(Cc), 권층운(Cs) 2. 중층운 : 고층운(As), 고적운(Ac) 3. 하층운 : 층운(St), 층적운(Sc), 난층운(Ns) 4. 연직운(수직으로 발달한 구름) : 적란운(Cb), 적운(Cu) 1. 상층운 : 6,000m 이상 상공에서 형성된다. 공기가 차고, 건조, 빙정으로 형성, 얇은 층을 이룬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9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코리올리 효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랑스의 수학자 코리올리는 지표면에서 유체의 이동방향이 약간씩 휘어진다는 것을 처음으로 설명했습니다. 이 효과는 지구와 같이 스스로 회전하는 모든 곳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북반구에서는 이동하려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휘어지면서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코리올리1.png)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3.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3.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2.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2.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1.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8:0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파일:코리올리1.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12월 27일 (수) 17:58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공기밀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정의 :''' 공기밀도는 일정한 부피 안에 포함된 공기의 질량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특성으로, 일반적으로 단위 부피당 공기 분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 '''온도의 영향 :''' 온도가 낮아질수록 공기밀도는 증가하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공기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분자들이 움직임을 갖는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 '''고도의 영향 :''' 대기압...)
- 2023년 12월 27일 (수) 16:2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통행의 우선순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66조(통행의 우선순위)</span> ① 법 제67조에 따라 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고도의 항공기 상호간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개정 2021. 8. 27.> # 비행기ㆍ헬리콥터는 비행선, 활공기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 비행기ㆍ헬리콥터ㆍ비행선은 항공기 또는 그 밖의 물건을 예항(끌고 비행하...)
- 2023년 12월 27일 (수) 16:12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강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강수(降水, precipitation)의 정의 #* 비나 눈 등 대기 중의 구름이 응축되어 지상으로 내려오는 모든 형태의 수분 # 강수의 형성 조건 ## 습윤 공기의 이슬점(dew point)이하로의 냉각 ## 응결핵(condensation nuclei)의 존재 ## 충분한 수분의 집적이 가능한 조건 ## 응결된 물방울 입자의 성장 가능 조건 # 강수의 발생 유형 ## 대류성 (convective precipitation) ##*복사열에 의한 공기의 자...)
- 2023년 12월 27일 (수) 15:52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고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도의 종류에는 크게 <span class='bsp'>지시고도, 절대고도, 진고도, 기압고도, 밀도고도</span>가 있다. '''1. 지시고도(Indicated altitude)''' 인근 공항이나 비행장에서 알려준 고도계 수정치 값을 고도계에 세팅했을 때의 고도이다. 이륙 전 혹은 다른 공역으로 가게 될 경우 해당 관제탑에서는 고도계 수정치를 불러준다. 이 값을 고도계의 콜스만 창에 맞추게 되면 고...)
- 2023년 12월 27일 (수) 13:4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선회반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선회 반경을 최소로 하는 방법: #* 비행 속도 최소, 경사각 최대, 양력계수 최대. #* 반면, 고도를 높이면 공기 밀도와 양력이 감소 -> 선회 반경 커짐. #* 속도가 크면 클수록 선회반경이 커진다 * TR = V"/gG *# TR : 선회반경 *# V : 속도 *# g : 중력가속도 *# G : 하중배수or중력배수 선회반경은 속도에 비례하고, 중력가속도와 하중배수에 반비례한다. 속도가 크면 클수록 선...)
- 2023년 12월 27일 (수) 13:2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착륙장치 종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25%;'>분류 기준</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25%;'>종류</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50%;'>특징</th> </tr> <tr> <td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장착 위치</td>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앞바퀴식</td> <td...)
- 2023년 12월 27일 (수) 13:13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시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상학에서 시정(視程)은 물체나 빛이 분명하게 보이는 최대 거리(가시거리, 문화어: 눈보기거리)의 측정 기준이다. 즉, 대기가 혼탁한 정도를 눈에 보이는 곳까지의 거리로 나타낸 것을 이르는 말이다. 가시도(可視度), 시계(視界)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시정은 수평 방향의 시정을 말한다. 시정은 공기의 혼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로 사용된다. 시정...)
- 2023년 12월 27일 (수) 13:06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초경량비행장치 사고의 보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312조(초경량비행장치사고의 보고 등)</span> <span class='bsp'>법 제129조제3항</span>에 따라 초경량비행장치사고를 일으킨 조종자 또는 그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등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방항공청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조종자 및 그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등의 성명 또는 명칭 # 사고가 발생한 일시 및 장소 # 초경량비행...)
- 2023년 12월 27일 (수) 12:23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드론의 소유, 변경, 말소 신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class='title-info'>소유신고(항공안전법 제122조,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301조)</span> *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 등은 안전성인증을 받기 전(안전성인증 대상이 아닌 초경량비행장치인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를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날부터 30일 이내)까지 초경량비행장치 신고서(전자문서로 된 신고서를 포함한다)에 다음 서류를 첨부하여 지방...)
- 2023년 12월 27일 (수) 12:11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항공등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공등화시설은 '''공항 등화시설, 항공로 등화시설, 항공장애물 등화시설, 항공기 등화시설'''로 분류된다. # '''공항 등화시설 :''' 비행장 등화라고도 하며, 공항 또는 주변에 설치된 시설로서 이·착륙 또는 지상주행을 위해 사용되는 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용도에 따라 비행장등대, 보조비행장등대, 선회등, 진입등, 진입각 지시등, 활주로등, 활주로말단등, 비...)
- 2023년 12월 26일 (화) 21:54 Powerlps 토론 기여님이 대기의 구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대류권 :''' 지상에서 약 8Km~l8Km의 대기층 지구전체 대기의 4분의3이 대류권에 포함. 대류운동이 활발 기상현상이 발생, 온도변화 상승 lKm당 6.5°C 감소 = 1,000ft당 2°C 감소한다. # '''성층권 :''' 대류권계면에서 약 50Km의 대기층, 대류권계면에서 35Km까지 온도변화가 거의 없음. 대류현상이 거의 없다. 대형 여객기나 군용정찰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 '''중간권 :''' 5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