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 비(nimbus)를 포함한 구름은 난층운(nimbostratus), 적란운(cumulonimbus)이 포함된다.

■ 구름의 종류

  1. 상층운 : 권운(Ci), 권적운(Cc), 권층운(Cs)
  2. 중층운 : 고층운(As), 고적운(Ac)
  3. 하층운 : 층운(St), 층적운(Sc), 난층운(Ns)
  4. 연직운(수직으로 발달한 구름) : 적란운(Cb), 적운(Cu)


  1. 상층운 : 6,000m 이상 상공에서 형성된다. 공기가 차고, 건조, 빙정으로 형성, 얇은 층을 이룬다.
    1. 권운/새털구름(cirrus : Ci) : 작은 조각이나 흩어져 있는 띠 모양의 구름. 주로 저기압이 형성되기 전에 나타난다. 줄무늬 모양의 구름.
    2. 권적운/털쌘구름(cirrocumulus : Cc) : 털샌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 . 흰색 또는 회색 반점이나 띠 모양을 한 구름. 종종 줄지은 배열을 보인다. 양틀 모양의 작은 덩어리 구름.
    3. 권층운/털층구름(cirrostratus : Cs) : 하늘을 완전히 덮어 태양 주변으로 후광을 만들어 내는 희끄무레한 구름. 무리가 나타나는 엷은 층 모양의 구름.
  2. 중층운/중층구름(middle clouds) : 2,000~6,000m의 고도에 있는 구름.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
    1. 고층운/높층구름(altostratus : As) : 하늘을 완전히 덮고 있으나 후광 현상 없이 태양을 볼 수 있는 회색 구름. 호우를 내리게 한다. 층 모양의 엷은 흑색 구름.
    2. 고적운/높쌘구름(altocumulus : Ac) : 흰색이나 회색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구름. 때때로 나란한 층을 이루며, 저기압이 다가올 징조이다. 양 때가 줄을 지은 모양의 구름.
  3. 하층운/밑턱구름(low clouds) :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간간이 섞여 있는 구름. 고도가 2,000m(6,500ft)를 넘지 않으며, 때때로 쉬지 않고 계속되는 비를 내리게 한다.
    1. 층운/층구름(stratus : St) : 구름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음. 이 층운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때도 있다. 가끔 안개비가 내리기도 한다. 안개와 비슷하게 연속적인 막을 만드는 회색 구름. 지상에 닿지는 않고, 약간의 비를 내리게 한다. 층 모양의 구름.
    2. 층적운/층쌘구름(stratocumulus : Sc) : 10종 운형 중 하층운에 속하는 구름으로 층쌘구름, 연속적인 두루마리처럼 둥글둥글한 층으로 늘어선 회색과 흰색의 구름. 대체로 비를 내리게 하지는 않는다. 두껍거나 평편한 덩어리 모양의 구름.
    3. 난층운/비층구름(nimbostratus : Ns) : 진한회색, 비층구름.Ns, 태양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짙고 어두운 층으로 된 구름. 지속적인 강수의 원인이 된다. 두껍고 눈․ 비를 내리는 검은 회색 구름.
  4. 연직운/연직구름(clouds of vertical development) : 밑면은 낮은 고도에 있지만 매우 높게 솟아 있는 형태의 구름. 적운과 적란운의 두 유형이 있다.
    1. 적운/쌘구름(cumulus : Cu) : 갠 날씨의 윤곽이 매우 뚜렷한 구름. 밑면은 회색이고 편평하며, 윗부분은 흰색이고 둥글게 융기되어 있다. 수직으로 두껍게 발달한 구름.
    2. 적란운/쌘비구름(cumulonimbus : Cb) : 세찬 강수를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웅장한 구름. 두께가 10㎞에 이르고 아랫부분은 매우 어둡다. 수직으로 발달해 탑 모양을 이루는 큰 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