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이 확보해야할 실기평가조종자의 최소비행시간은?
① 50시간
② 100시간
③ 150시간
④ 200시간
2. 서로 다른 기단사이의 공기의 무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전선 발생
② 전선
③ 전선소멸
④ 전선충돌
3. 지면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공기흐름 패턴과 함께 지표면의 간섭의 결과이다.
② 날개에 대한 증가된 유해항력으로 공기흐름 패턴에서 변형된 결과이다.
③ 날개에 대한 공기흐름 패턴의 방해 결과이다.
④ 지표면과 날개 사이를 흐르는 공기흐름이 빨라져 유해항력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지면효과(Ground Effect) : 지표면 근처에서 비행 중인 항공기에 지표면의 간섭이 생기는 현상.
4. 항공법에서 정한 용어의 정의가 맞는 것은?
① 관제구라 함은 평균해수면으로부터 500미터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통제를 위하여 지정된 공역을 말한다.
② 항공등화라 함은 전파, 불빛, 색채 등으로 항공기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③ 관제권이라 함은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지정된 공역을 말한다.
④ 항행안전시설이라 함은 전파에 의해서만 항공기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관제구 : 항공교통 통제를 위하여 지정된 공역으로 평균해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의 상공에 설정된 공역.
항곧등화 : 항공등화는 전파와 색채는 포함되지 않는다.
항행안전시설 : 항공기가 항행하는 데 이용되는 항행 보조 시설의 총칭. 항공기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적 또는 전자적 장치로 항행 중인 항공기에 대해 항로와 관련된 정보 또는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5. 실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실속의 직접적인 원인은 과도한 받음각이다.
② 실속은 무게, 하중계수, 비행속도 또는 일도고도에 관계없이 항상 다른 받음각에서 발생한다.
③ 임계 받음각을 초과할 수 있는 경우는 고속비행, 저속비행, 깊은 선회비행 등이다.
④ 선회비행 시 원심력과 무게의 조화에 의해 부과된 하중들이 상호 균형을 이루기 위한 추가적인 양력이 필요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실속은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으로부터 박리되어, 그 결과 양력(揚力)이 감소되고 항력(抗力)이 증가하여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즉, 실속이 발생하면 추락한다.
6. 초경량비행장치의 인증검사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정기검사
② 초도검사
③ 수시검사
④ 중도검사
7. 다음 속도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고도에 따르는 기압차를 이용한 것이다.
② 전압과 정압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③ 동압과 정압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④ 전압만을 이용한 것이다.
8. 초경량비행장치에 의하여 중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은?
① 관할지방항공청
② 항공교통관제소
③ 교통안전공단
④ 항공 철도사고조사위원회

제출하기

정답 : ④
철도.항공 사고 조사위원회
9. 받음각이 “0” 일때에 양력계수가 “0”이 되는 날개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캠버가 큰 날개골
② 대칭형 날개골
③ 캠버가 크고 두꺼운 날개골
④ 캠버가 작고 두꺼운 날개골
10. 주날개의 붙임각(취부각)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무엇인가?
①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공기흐름 방향과 이루는 각
② 날개의 중심선(center line)과 공기흐름 방향과 이루는 각
③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기체의 세로축(X)과 이루는 각
④ 날개의 시위선 (chord line)과,기체의 가로축(Y)과 이루는 각
11. 산악지형에서의 렌즈형 구름이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① 불안정 공기
② 비구름
③ 난기류
④ 역전현상
12. 다음 중 옆놀이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조종면은?
① 스포일러(spoiler)
② 승강타(elevator)
③ 방향타(rudder)
④ 횡전타, 보조날개(ailerons)
13.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공식 용어로사용하는 무인항공기 용어는?
① Drone
② UAV
③ RPV
④ RPAS

제출하기

정답 : ④
RPAs (Remote Piloted Aircraft)(무인비행기)
14. 정압공에 결빙이 생기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는 계기는 어느 것인가?
① 고도계
② 속도계
③ 승강계
④ 모두 작동하지 못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정압관은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와 관련이 있다.
- 동·정압 계기들은 대기압을 측정해서 지시하는 방식이다. 대개 압력을 기계적인 변위로 바꾸는 공함(pressure capsule), 즉 다이아프램이나 아네로이드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하여 항공기 비행 대기 속도, 비행 고도, 비행 상승 및 하강률 등을 지시하는데 이러한 계통을 동·정압계통(pitotstatic system)이라 한다. 동·정압계통에는 대표적인 계기로 고도계, 대기 속도계, 승강계, 마하계 등이 있고, 중간에 신호 변경 장치로 대기자료컴퓨터 (ADC), 최근에는 대기자료모듈(ADM), 그리고 수감 하는 동·정압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피토관 또는 정압공에 연결되어 피토압 또는 정압을 수감하여 그 압력값으로 항공기 비행 상태 등을 알려준다.
15. 고도계의 작동원리는?
① 대기압을 측정
② 대기속도를 측정
③ 온도를 측정
④ 비행자세에 따라 다르다
16. 우리나라 항공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① 항공기의 안전한 항행과 항공운송사업 등의 질서 확립
② 항공기 등 안전항행 기준을 법으로 정함
③ 국제민간항공의 안전 항행과 발전 도모
④ 국내 민간항공의 안전 항행과 발전 도모
17. 비행 중 항력이 추력보다 크면?
① 가속도 운동
② 감속도 운동
③ 등속도 운동
④ 정지

제출하기

정답 : ②
항력이 추력보다 크면 속도가 늦어진다.
18. 배터리를 떼어낼 때의 순서는?
① 아무거나 무방하다.
② 동시에 떼어낸다.
③ +극을 먼저 떼어낸다.
④ -극을 먼저 떼어낸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전기 공학 입장에서는 사실 아무것이나 때도 상관없다. 그러나, 실제 전류는 -에서 +로 전자가 이동한다(이론적으로는 +에서 -로 전기가 이동한다). 그리하여 -극에 동판이 넓은 이유와 선이 굵은(노이즈 및 전류양 좋게하기 위해) 이유이기도 하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많이 접지된 부분을 먼저 때어내야 하기 때문인것 같다.
19. 다음 공역 중 주의공역이 아닌 것은
① 훈련 구역
② 비행제한구역
③ 위험 구역
④ 경계 구역
20. 날개에서 흐름의 떨어짐으로 인해 실속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로 와류발생기(Vortex generator)를 장치하기도 한다. 이것에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① 층류경계층보다 난류경계층에서 흐름의 떨어짐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② 골프공의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작은 홈을 만들어주는 원리와 같다.
③ 날개의 윗면을 거칠게 하여 난류경계층을 만들기도 한다.
④ 경계층 내부의 느린 입자가 외부의 빠른 속도의 유체입자에게 운동에너지를 주기 때문이다.
21. 종극하중 [극한하중(ultimate load)] 이란?
① 제한하중×3초
② 제한하중x안전계수
③ 한계하중+3초
④ 한계하중+안전계수
22.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소금물을 이용한 폐기 방법 중 틀린 것은?
① 대야에 물을 받고 소금을 한두 줌 넣어 소금물을 만든다.
② 배터리 전원 플러그가 소금물에 잠기지 않게 담근다.
③ 배터리에서 기포가 올라온다. 기포는 유해하므로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한다.
④ 하루 정도 경과한 뒤 기포가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면 완전 방전된 것이므로 폐기한다.
23. 공기밀도는 습도와 기압이 변화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공기밀도는 기압에 비례하며 습도에 반비례한다.
② 공기밀도는 기압과 습도에 비례하며 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공기밀도는 온도에 비례하고 기압에 반비례한다.
④ 온도와 기압의 변화는 공기밀도와는 무관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공기밀도는 항공기의 비행선응, 엔진의 출력에 중요한 요소이다. 밀도는 이륙, 상승률, 치대하중, 대기속도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공기의 밀도와 온도, 압력, 습도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아래 식에서 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에 반비례 관계이다. 즉, 압력이 높을 수록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이 낮을 수록 밀도는 감소한다. 또한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공기밀도는 습도에 반비례한다.
24. 자북의 진북과 사이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복각
② 수평분력
③ 편각
④ 자차
25. 비행기에서 양력에 관계하지 않고 비행을 방해하는 모든 항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압력항력
② 유도항력
③ 간섭항력
④ 유해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6. 비행기가 수평비행 중 등속도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① 항력이 양력보다 커야한다.
② 양력과 항력이 같아야 한다.
③ 중력과 추력이 같아야한다.
④ 추력과 항력이 같아야 한다.
27. 피토우(Pitot) 관을 이용한 속도계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바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속도=(정압+동압)-정압
② 속도=(동압-정압)X정압
③ 속도=전압-동압
④ 속도=(동압 X 정압)-전압
28. 다음 중 초경량 비행장치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차륜, 스키드 또는 후루트 등의 착륙장치가 장착된 고정익 비행장치
② 자체중량이 150kg 미만인 무인 비행기
③ 계류식 기구
④ 낙하산류에 추진력을 얻는 장치를 부착한 비행장치
29. 지표면에서 기온역전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은?
① 바람이 많고 기온차가 매우 높은 낮
② 약한 바람이 불고 구름이 많은 밤
③ 강한 바람과 함께 강한 비가 내리는 낮
④ 맑고 약한 바람이 존재하는 서늘한 밤
30.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깃의 대표 위치(blade station)는 어디서부터 측정이 되는가?
① 블레이드 생크(blade shank)로부터 블레이드 팁(blade tip)까지 측정한다.
② 허브(hub)중심에서부터 블레이드 팁(blade tip)까지 측정한다.
③ 블레이드 팁(blade tip)부터 허브(hub)까지 측정한다.
④ 허브(hub)부터 생크(shank) 까지 측정한다.
31. 착륙거리를 짧게 하는 조건으로 적절한 것은?
① 항력계수를 증가 시킨다.
② 표면 마찰력을 증가 시킨다.
③ 익면하중을 크게 한다.
④ 플랩을 이용한다.
32.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기체의 전후를 연결하는 축은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세로축
② 가로축
③ 수직축
④ 평형축
33. 대기의 기온이 0℃ 이하에서도 물방울이 액체로 존재하는 것은?
① 응결수
② 과냉각수
③ 수증기
④ 용해수
34. 다음 중 고기압이나 저기압 시스템의 설명에 관하여 맞는 것은?
①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올라간다.
②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③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정체한다.
④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제출하기

정답 : ②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밀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어느 지역은 밀도가 높고 어느 지역은 밀도가 낮다. 공기 밀도가 높은 지역은 기압이 높고, 공기 밀도가 낮은 지역은 기압이 낮다. 이러한 공기 밀도의 차이로 인해 고기압인 지역과 저기압인 지역이 나타나게 된다.
35. 슬롯(slot)의 주된 역할은 무엇인가?
① 방향조종을 개선
② 세로안정을 돕는다.
③ 저속시 요잉을 제거
④ 실속을 지연시켜서 큰 받음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6. 대기 중 산소의 분포율은 얼마인가?
① 10%
② 21%
③ 30%
④ 60%
37. 다음 중 대기오염물질과 혼합되어 나타나는 시정장애물은?
① 스모그
② 연무
③ 안개
④ 해무

제출하기

정답 : ①
시정장애물 : 안개, 황사, 연무, 연기, 먼지, 화산재 등이다.
38. 물방울이 비행장치의 표면에 부딪치면서 표면을 덮은 수막이 그대로 얼어붙어 투명하고 단단한 착빙은 무엇인가?
① 싸락눈
② 거친 착빙
③ 서리
④ 맑은 착빙
39. 초경량비행장치 사고를 일으킨 조종자 또는 소유자는 사고 발생 즉시 지방항공청에게 보고하여야 하는데 그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초경량비행장치 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
② 사고가 발생한 일시 및 장소
③ 사고의 정확한 원인분석 결과
④ 초경량비행장치의 종류 및 신고번호
40. 공중조작 중 선회비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선회비행을 위해서는 선회 방향으로 경사시키는데 이를 선회경사각으로 롤 인(roll in)한다고 한다.
② 선회가 끝나고 직선비행으로 되돌아오는 경우를 롤 아웃(roll out) 한다고 한다.
③ 선회비행 시 정확한 선회경사각을 설정하지 못하면 side slip을 하게 된다.
④ 선회 중 양력은 수직양력분력과 수평양력분력으로 분리되며, 수직양력분력은 무게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예상문제5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