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펠러 규격 및 추력
- 프로펠러 규격 : 직경(단위 inch) X 피치(단위 inch)
- 직경 : 프로펠러가 만드는 회전면의 지름
- 피치 : 프로펠러가 한바퀴 회전하였을 때 앞으로 나아가는 거리(기하학적 피치), 일반적으로 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직선거리
- 유효피치 : 프로펠러가 비행 중 한 바퀴 회전하여 실제로 전진한 거리
- 동일한 회전 수에서 직경과 피치가 증가할 경우 추력 증가
프로펠러 효율
- 전진비(Advance Ratio)에 따라 프로펠러 효율 차이가 발생한다.
- 호버링 시 프로펠러 효율저하로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 저속 비행을 하는 비행체는 저 피치 프로펠러가 효율이 좋다.
- 고속 비행을 하는 비행체는 고 피치 프로펠러가 효율이 좋다.
- 가변 피치 프로펠러를 통해 넓은 속도 영역에서 프로펠러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프로펠러 진동
- 프로펠러의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의 불일치로 인한 진동이 발생한다.
- 프로펠러 부분 손상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한다.
- 특정 회전수에서 공진 발생 가능하고, 회전수가 낮아도 큰 진동이 발생 가능하다.
- 프로펠러 밸런싱을 통해 진동 저감이 가능하다.
- 탑재 무게 및 구조물 유격에 따라 진동 영항 변화가능, 이는 센서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적절한 진동 댐퍼를 활용하여 진동을 줄여야 한다.
프로펠러 깃의 측정
- 프로펠러 깃은 허브(hub)중심에서부터 블레이드 팁(blade tip)까지 측정한다.
참고 : 흔히 헬리콥터의 머리 위에 돌아가는 것을 프로펠러라고 하지만 전문용어로는 로터, 혹은 회전익(Rotary Wing)이라 한다. 프로펠러는 앞으로 향하여 추진력을 만드는 것을 말하지만 이건 위쪽을 향하여 마치 날개처럼 양력을 만들기 때문. 사실 힘을 만드는 원리 자체는 프로펠러나 로터나 거기서 거기지만 그래도 굳이 따지자면, 프로펠러 가운데에 있는 회전축이 움직일 수 있느냐 아니냐로 구분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