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9. 8. 27.>
(1) 항공법 제정 및 연혁 : 1961년 3월 제정, 2017년 3월 30일 부 분법
구분 | 내용 |
---|---|
1961.3월 |
대한민국 최초 항공법 제정(1961.6.8일 부 시행)
|
2010.7월 |
|
2010.8월 ~ 2011.2월 |
|
2015.12월 |
|
2017.3.30일 부 |
|
(2) 항공법 분법 내용
분야 | 기존(1961년) | 분법(2017년) | 비고 |
---|---|---|---|
항공전반 | 항공법 | 항공안전법 | 항공안전 및 기술에 관한 사항 |
항공사업법 | 상공운송사업 및 진흥 관련 사항 | ||
공항시설법 | 공항 건설・관리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 | ||
항공운송 | 항공운송사업진행법 | 폐지 | 항공사업법으로 통합 |
보안 |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 | 항공보안법 | 법률명 변경(14.4월 시행) |
사고조사 | 항공철도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 항공철도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 존치 |
공항 | 수도권신공항건설촉진법 | 폐지 | 공항시설법으로 통합 |
인천국제공항공사법 | 인천국제공항공사법 | 존치 | |
한국공항공사법 | 한국공항공사법 | 존치 | |
환경 | 공항소음방지 및 소음대책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 공항소음방지 및 소음대책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 존치 |
항공안전법 주요 내용
- 2017년 3월 부 분법 시행된 항공안전법,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의 각 법은 아래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항공안전법 |
|
---|---|
항공사업법 |
|
공항시설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