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행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① 모터 및 기체의 전선 등 점검
② 조종기 배터리 부식 등 점검
③ 스로틀을 상승하여 비행해 본다.
④ 기기 배터리 및 전선 상태 점검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 전에는 기체를 상승 시키지 않는다.
2. 멀티콥터 조종기 테스트 중 올바른 것은?
① 기체 바로 옆에서 테스트를 한다.
② 기체와 30m 떨어져서 레인지 모드로 테스트 한다.
③ 기체와 100m 떨어져서 일반 모드로 테스트 한다.
④ 기체를 이륙해서 조종기를 테스트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30m 레인지모드(range mode) 테스트 한다.
3. 다음 중 항공장애등 설치기준은?
① 300ft(AGL)
② 500ft(AGL)
③ 300ft(MSL)
④ 500ft(MSL)

제출하기

정답 : ②
500ft(AGL),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m 이상 높이의 구조물.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4. 브러시모터와 브러시리스모터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브러시리스 모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② 브러시리스 모터는 안전이 중요한 만큼 대형 멀티콥터에 적합하다.
③ 브러시 모터는 전자변속기(ESC)가 필요없다.
④ 브러시 모터는 브러시가 있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5. 멀티콥터의 기체를 내리려면?
① 엘리베이터를 전진한다.
② 엘리베이터를 후진한다.
③ 스로틀을 내린다.
④ 스로틀을 올린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스로틀을 내린다.
6. 초경량비행장치 비행 중 조작불능 시 가장 먼저 할 일은?
① 소리를 크게 쳐서 알린다.
② 조종자 가까이 이동시켜 착륙시킨다.
③ 안전하게 착륙시킨다.
④ 급하게 불시착시킨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안전을 위해 사람들에게 먼저 알려야 한다.
7. 비행금지구역, 제한구역, 위험구역 설정 등의 공역을 제공하는 곳은?
① NOTAM
② AIC
③ AIP
④ AIRAC
8. 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계획 제출 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비행경로 및 고도
② 동승자의 소지자격
③ 조종자의 비행경력
④ 비행장치의 종류 및 형식
9. 북반구의 고기압 바람의 방향으로 옳은 것은?
① 시계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수렴한다.
② 반시계방향으로 중심부에서 수렴한다.
③ 시계방향으로 중심부에서 발산한다.
④ 반시계방향으로 중심부에서 발산한다.
10. 초경량비행장치 주소변경 신고기한은?
① 10일
② 15일
③ 30일
④ 60일

제출하기

정답 : ③
제302조(초경량비행장치 변경신고)
① 법 제123조제1항에서 "초경량비행장치의 용도, 소유자의 성명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말한다.
1. 초경량비행장치의 용도
2. 초경량비행장치 소유자등의 성명, 명칭 또는 주소
3. 초경량비행장치의 보관 장소

② 초경량비행장치소유자등은 제1항 각 호의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있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별지 제116호서식의 초경량비행장치 변경·이전신고서를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지방항공청장은 제2항에 따른 신고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수리 여부 또는 수리 지연 사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7일 이내에 수리 여부 또는 수리 지연 사유를 통지하지 아니하면 7일이 끝난 날의 다음 날에 신고가 수리된 것으로 본다.
11.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의 계수 값이 변하지 않는 점을 무슨 점이라 하는가?
① 압력중심
② 공력중심
③ 반력중심
④ 중력중심

제출하기

정답 : ②
공력중심(공기력중심) : 받음각이 변해도 피칭 모멘트의 값이 변하지 않는 에어포일의 기준점.
12. 초경량비행장치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아닌 것은?
① Li-Po
② Ni-Cd
③ Ni-MH
④ Li-CH

제출하기

정답 : ④
니켈카드늄은 옛날에 사용하였고, 지금은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사용했다는 이야기 입니다. 전혀 사용하지 않는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13. 다음 중 3/8~4/8인 운량은 어느 것인가?
① clear
② scattered
③ broken
④ overcast
14. 회전익 무인비행 장치의 동력장치로 적합한 것은?
① 전기모터
② 가솔린엔진
③ 로터리엔진
④ 터보엔진

제출하기

정답 : ①
대부분 배터리로 구동하니 전기모터(BLDC모터)를 사용한다.
15. 초경량비행장치 사고발생시 사고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은?
① 관할 지방항공청장
② 항공교통관제소
③ 교통안전공단
④ 철도・항공사고조사위원회

제출하기

정답 : ④
철도・항공사고조사위원회
16. 나뭇잎과 가는 가지가 쉴 새 없이 흔들리고, 깃발이 흔들릴 때 나타나는 풍속은 어느 정도인가?
① 0.3~1.5m/sec
② 1.6~3.3m/sec
③ 3.4~5.4m/sec
④ 5.5~7m/sec
17. 지면에서 약11km까지이며, 대류가 발생하여 기상현상이 나타나는 곳은?
① 성층권
② 대류권
③ 중간권
④ 열권
18. 멀티콥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FC
② ESC
③ Propeller
④ GPS

제출하기

정답 : ④
GPS는 꼭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다.
19.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 시험 응시자의 자격으로 맞는 것은?
① 연령이 만12세 이상
② 연령이 만14세 이상
③ 연력이 만18세 이상
④ 연령이 만20세 이상

제출하기

정답 : ②
만 14세 이상이다. 교관자격증은 20세 이상.
20. 초경량비행장치를 소유한 자는 누구에게 신고하는가?
① 지방항공청장
② 국토교통부장관
③ 교통안전공단이사장
④ 한국드론협회장
21. 여름철의 주요 기상현상을 초래한다. 우리나라 여름철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기단은?
① 양쯔강기단
② 시베리아기단
③ 적도기단
④ 북태평양기단
22. 항공종사자의 음주제한 기준은?
① 0.02%
② 0.05%
③ 0.07%
④ 0.1%
23. 조종기 미사용 시 보관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배터리를 분리해서 보관한다.
②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③ 전용케이스에 넣어서 보관한다.
④ 보관온도는 상관없다.
24. 조종자 교육 시 논평(Criticize)을 실시하는 목적은?
① 잘못을 직접적으로 질책하기 위함
② 지도 조종자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함
③ 주변의 타학생들에게 경각심을 주기위함
④ 문제점을 발굴하여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

제출하기

정답 : ④
문제점을 발굴하여 다음에 이런 일이 안생기게끔 논의 해야 한다.
25. 착빙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이슬착빙
② 맑은착빙(투명착빙)
③ 거친착빙
④ 혼합착빙
26.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 시 1차 과태료는?
① 50만원
② 100만원
③ 150만원
④ 200만원

제출하기

정답 : ③
조종자 준수사항을 위반했을 때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항공안전법 제166조 제3항)
1차 위반 시에는 50%의 과태료가 적용되기 때문에 150만원이 된다.
27. 신고를 필요로 하는 초경량 비행장치는?
① 패러글라이더
② 계류식 기구류
③ 무인비행선중 길이가 7미터 이하가 되지 아니한 것으로 비행에 사용하지 아니한 초경량비행장치
④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비행장치
28. 초경량비행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초급활공기
② 동력비행장치
③ 회전익비행장치
④ 초경량헬리콥터
29. 멀티콥터의 비행자세 제어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① 자이로 센서
② 가속도 센서
③ 위성시스템(GPS)
④ 지자기방위센서

제출하기

정답 : ①
GPS:위치제어, 자이로:자세제어, 가속도:속도제어
30. 해풍에 대하여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여름에 해상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② 낮에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
③ 낮에 해상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④ 밤에 해상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31. 초경량비행장치의 사용사업범위가 아닌 것은?
① 농약 살포
② 드론촬영
③ 산불조사
④ 야간정찰
32. 직원들의 스트레스 해소법이 아닌 것은?
① 정기적인 신체검사
② 직무평가 도입
③ 적성에 따른 직무 재배치
④ 정기 워크샵
33. 멀티콥터 CG의 위치는?
① 동체의 중앙 부분
② 배터리 장착부분
③ 로터 장착부분
④ GPS 안테나 부분

제출하기

정답 : ①
CG(center of gravity) : 무게 중심
34. 안개의 시정은 ( )m 인가?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① 100m
② 1,000m
③ 200m
④ 2,000m
35. 공기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으로 맞는 것은?
① 정압
② 동압
③ 벤츄리 압력
④ 속도는 동압 더하기 정압에서 전압을 뺀 것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정압은 유체속에 잠겨있는 한 지점에서 상,하,좌,우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압력이 작용.
36. 항공기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력의 크기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② 항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한다.
③ 추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④ 중력은 속도에 비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양력발생원리
1. 베르누이 정리 : 날개의 아래부분 압력이 높고, 위는 압력이 낮아, 두 압력차이에 따라 양력이 발생하는 이론
2. 뉴터의 3법칙 : 작용과 반작용 법칙으로 날개 밑의 유속의 흐름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의 힘으로 비행기 날개를 들어올리는 것.
# 중력, 양력, 추력, 항력
- 중력 : 지구의 중심방향으로 당기는 힘.
- 양력 : 물체가 수직 방향으로 받는 힘. 물체에 닿은 유체를 밀어내리려는 힘에 대한 반작용.
- 추력 : 해당방향으로 추진력을 주는 힘. 비행체가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
- 항력 : 공기와 기체의 마찰로 인해 추력을 방해하는 힘.
37. 프로펠러 이상 시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은?
① 프로펠러의 진동이 느껴진다.
② 모터가 속도가 늦어진다.
③ 기체가 떨린다.
④ 배터리가 열이 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진동이 먼저 생김.
38. 뇌우의 성숙단계 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상승기류가 생기면서 적란운이 운집
②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교차
③ 강한비가 내린다.
④ 강한바람과 번개가 동반한다.
39. 다음 중 비관제 공역 설명이 맞는 것은?
①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순서·시기 및 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시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공역으로서 관제권 및 관제구를 포함하는 공역
②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는 공역
③ 관제공역외의 공역으로서 항공기에게 비행에 필요한 조언·비행정보등을 제공하는 공역
④ 항공기의 비행 시 조종사의 특별한 주의·경계·식별등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공역
40. 조종자 리더십에 관하여 올바른 것은?
① 기체 손상여부 관리를 의논한다.
② 다른 조종자를 험 담을 한다.
③ 결점을 찾아내서 수정을 한다.
④ 편향적 안전을 위하여 의논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서로 대화하고 문제점을 발굴하여 다음에 이런 일이 안 생기게 논의하여 수정한다.
기출문제2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