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력(DRA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유해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② 유도 항력은 항공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③ 전체 항력이 최소일 때의 속도로 비행하면 항공기는 가장 멀리 날아갈 수 있다.
④ 받음각(AOA)이 증가하면 유도 항력도 증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왕복기관을 분류하는 방법 중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행정수와 냉각 방법
② 행정수와 실린더 배열
③ 냉각방법과 실린더 배열
④ 실린더 배열과 사용 연료
3. 주간에 산 사면이 햇빛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여 산 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산풍
② 곡풍
③ 육풍
④ 푄(fohn)현상

제출하기

정답 : ②
산곡풍은 바람이 약한 맑은 날에 나타난다. 산에서는 곡풍(valley wind)과 산풍(mountain wind)이 낮과 밤에 각각 나타난다. 낮에는 산 경사면이 태양 복사에 의해 가열되므로 경사면과 접해 있는 공기는 같은 고도에 위치한(경사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공기보다 더 강하게 가열된다. 그 결과 경사면 바로 위의 가열된 공기는 기압경도력과 상향 부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로 인해 바람이 계곡으로부터 산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불어 간다. 이 바람을 곡풍이라 부른다.
4. 다음 중 항공법의 목적과 관계 없는 것은?
① 항공 운송 사업의 통제
② 항공 항행의 안전도모
③ 항공시설 설치・관리의 효율화
④ 항공의 발전과 복리증진
5. 정압을 이용하는 계기가 아닌 것은?
① 속도계
② 고도계
③ 선회계
④ 승강계

제출하기

정답 : ③
- 정압관은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와 관련이 있다.
- 동·정압 계기들은 대기압을 측정해서 지시하는 방식이다. 대개 압력을 기계적인 변위로 바꾸는 공함(pressure capsule), 즉 다이아프램이나 아네로이드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하여 항공기 비행 대기 속도, 비행 고도, 비행 상승 및 하강률 등을 지시하는데 이러한 계통을 동·정압계통(pitotstatic system)이라 한다. 동·정압계통에는 대표적인 계기로 고도계, 대기 속도계, 승강계, 마하계 등이 있고, 중간에 신호 변경 장치로 대기자료컴퓨터 (ADC), 최근에는 대기자료모듈(ADM), 그리고 수감 하는 동·정압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피토관 또는 정압공에 연결되어 피토압 또는 정압을 수감하여 그 압력값으로 항공기 비행 상태 등을 알려준다.
6. 진고도(True altitude)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항공기와 지표면의 실측 높이이며 “AGL” 단위를 사용한다.
②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 대기압(29.92“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③ 평균 해수면 고도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실제 높이
④ 고도계를 해당 지역이나 인근, 공항의 고도계 수정치 값에 수정했을 때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표준 대기 상태를 수정한 수정 고도로서 이 고도는 평균 해면 고도 위의 실제 높이임
7. 공기의 온도가 증가하면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
① 가열된 공기는 가볍기 때문이다.
② 가열된 공기는 무겁기 때문이다.
③ 가열된 공기는 유동성이 있기 때문이다.
④ 가열된 공기는 유동성이 없기 때문이다.
8. 따뜻한 해수면 위를 덮고 있던 기단이 차가운 해면으로 이동했을 때 발생하는 안개는?
① 방사 안개
② 활승 안개
③ 증기 안개
④ 바다 안개
9. 다음 중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는 곳은?
① 중간권
② 열권
③ 극외권
④ 성층권
10. 다음 중 풍속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m/s
② kph
③ knot
④ mile

제출하기

정답 : ④
mile은 거리의 단위이다.
11.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기체의 수직안정판이 작동되며 기체의 빗놀이(Yawing)운동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키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12. 비행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써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공기밀도가 낮아지면 엔진 출력이 나빠지고 프로펠러 효율도 떨어진다.
② 습도가 높으면 공기밀도가 낮아져 양력 발생이 감소된다.
③ 습도가 높으면 밀도가 낮은 것 보다 엔진 성능 및 이・착륙 성능이 더욱 나빠진다.
④ 무게가 증가하면 이・착륙시 활주 거리가 길어지고 실속속도도 증가한다.
13. 다음 중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① 고도계(altimeter)는 피토트 압력(pitot pressure)에 작동된다.
② 속도계는 피토트와 정압에 의하여 작동된다.
③ 수직속도계는 피토트 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④ 고도계는 정압과 동압에 의하여 작동된다.
14.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날개의 양 끝 뒷부분에 부착되어 조종간(Control 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체를 좌 또는 우로 기울여 경사각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기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15. 항공기 날개가 끝으로 갈수록 워시 아웃(wash out)한 이유는 무엇인가?
① 날개 접합부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
② 자전을 일으키기 쉽게 하여 조종성을 좋게 한다.
③ 익단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
④ 익단 실속이 빨리 일어나도록 한다.
16. 윤활유의 작용(기능)이 아닌 것은?
① 마찰 감소 및 마멸 방지
② 밀봉 작용
③ 방청, 냉각 작용
④ 소음방지 및 오일 제거 작용
17. 대기권을 고도에 따라 낮은 곳부터 높은 곳까지 순서대로 분류한 것은?
① 대류권-성층권-열권-중간권
② 대류권-중간권-열권-성층권
③ 대류권-중간권-성층권-열권
④ 대류권-성층권-중간권-열권
18. 베르누이 정리에서 유체의 속도와 압력과의 관계는?
①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정압이 감소한다.
②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정압이 증가한다.
③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동압이 감소한다.
④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 전압이 감소한다.
19. 배터리를 떼어낼 때의 순서는?
① 아무거나 무방하다.
② 동시에 떼어낸다.
③ +극을 먼저 떼어낸다.
④ -극을 먼저 떼어낸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전기 공학 입장에서는 사실 아무것이나 때도 상관없다. 그러나, 실제 전류는 -에서 +로 전자가 이동한다(이론적으로는 +에서 -로 전기가 이동한다). 그리하여 -극에 동판이 넓은 이유와 선이 굵은(노이즈 및 전류양 좋게하기 위해) 이유이기도 하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많이 접지된 부분을 먼저 때어내야 하기 때문인것 같다.
20. 뇌우의 활동 단계 중 그 강도가 최대이고 밑면에서는 강수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① 생성 단계
② 누적 단계
③ 성숙 단계
④ 소멸 단계
21.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 취소 사유가 아닌 것은?
① 자격증을 분실한 후 1년이 경과하도록 분실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② 항공법을 위반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 받은 경우
③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④ 항공법에 의한 명령에 위반한 경우

제출하기

정답 : ①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 분실은 재발급 가능하다.
22. 다음 공역 중 통제공역에 해당되는 것은?
① 정보구역
② 비행금지구역
③ 군 작전구역
④ 관제구
23. 리튬폴리머 배터리 사용상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비행 후 배터리 충전은 상온까지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실시한다.
② 수명이 다 된 배터리는 그냥 쓰레기들과 같이 버린다.
③ 50°C 이상의 온도의 난로근처에 보관한다.
④ 가급적 전도성이 좋은 금속 탁자 등에 두어 보관한다.
24. 다음 중 피스톤 링의 작용이 아닌 것은?
① 마모 작용
② 열전도 작용
③ 연소실로 새는 오일 방지
④ 기밀(밀봉)작용
25. 항공기 사고를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는 자는?
① 기장
② 항공기 소유자
③ 정비사
④ 기장 및 항공기의 소유자
26. 비행중인 항공기에서 실린더의 냉각능력과 비행속도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① 밸브의 각도
② 실린더 냉각핀의 면적
③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량
④ 피스톤 링의 수
27. 카울링(cowling)의 뒤쪽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을 설치하여 냉각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냉각을 조절하는 부품은 무엇인가?
① 냉각핀
② 디플렉터
③ 공기 흡입 덕트
④ 카울 플랩
28. 윤활유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것는?
① 점도
② 습도
③ 온도
④ 열효율
29. 안전성인증검사를 받지 않은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에 사용하다 적발되었을 경우 부과 되는 과태료는?
①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②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4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0.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 지정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비행시간 100시간 이상인 지도조종자 1명 이상 보유
② 비행시간 300시간 이상인 지도 조종자 2명 보유
③ 비행시간 200시간 이상인 실기평가 조종자 1명 보유
④ 비행시간 300시간 이상인 실기평가 조종자 2명 보유
31. 왕복기관의 실제 점화 시기는 언제인가?
① 압축행정-상사점 전
② 흡입행정-하사점 전
③ 압축행정-상사점 후
④ 흡입행정-하사점 후
32. 영각(받음각)이 커지면 풍압 중심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는가?
① 앞전 쪽으로 이동한다.
② 뒤전 쪽으로 이동한다.
③ 기류의 상태에 따라 전면이나 뒷전 쪽으로 이동한다.
④ 풍압 중심은 영각에 무관하게 일정한 위치가 된다.
33. 초경량비행장치의 자격시험 응시자격 연령은?
① 만 14세
② 만 16세
③ 만 18세
④ 만 20세

제출하기

정답 : ①
만 14세 이상이다. 교관자격증은 20세 이상.
34. 항공안전법에 대한 내용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② 국가, 항공사업자, 항공종사자 등은 이 법에 따른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항공기의 안전과 항행 효율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③ 항공안전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적용하여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④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의 부속서와 무관하게 국내 항공안전에 대한 모든 사항을 규제한다.
35. 초경량비행장치의 항공기 통행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① 모든 항공기와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해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② 항공기보다 우선하며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해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③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 보다 우선하여 항공기에 대해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④ 모든 항공기와 무동력 초경량비행장치 보다 진로에 우선권이 있다.
36. 항공기 신고(등록)기호표의 크기는?
① 가로 7cm, 세로 5cm
② 가로 5cm, 세로 7cm
③ 가로 7cm, 세로 4cm
④ 가로 4cm, 세로 7cm
37. 왕복기관에서 압축비란 무엇인가?
① 압축행정과 흡입행정에서의 피스톤 운동 거리의 비율이다.
② 연소(폭발)행정과 배기행정에서의 연소실 압력 비율이다.
③ 피스톤이 하사점과 상사점에 위치했을 때의 실린더 체적의 비율이다.
④ 연소실 내에서의 연료, 공기 비율이다.
38. 엔진의 배기색이 백색이라면 어떤 상태인가?
① 소음기의 막힘
② 노즐의 막힘
③ 분사 시기의 늦음
④ 오일이 연소실에 올라감
39. 초경량비행장치의 변경신고는 사유 발생일로부터 몇 일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① 30일
② 60일
③ 90일
④ 180일
40.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무게 중심위치가 공기역학적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할수록 안전성이 증가한다.
② 날개가 무게중심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안정성이 좋다.
③ 꼬리날개 면적을 크게 하면 안전성이 좋다.
④ 꼬리날개 효율을 작게 할수록 안정성이 좋다.
예상문제9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