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다음은 안개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공중에 떠돌아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집단으로 지표면 가까이에서 발생한다.
② 수평가시거리가 3km이하가 되었을 때 안개라고 한다.
③ 공기가 냉각되고 포화상태에 도달하고 응결하기 위한 핵이 필요하다.
④ 적당한 바람이 있으면 높은 층으로 발달한다.
8. 빠른 한냉 전선이 온난전선에 따라 붙어 합쳐져 중복된 부분을 무슨 전선이라 부르는가?
① 정체전선
② 대류성 한냉전선
③ 북태평양 고기압
④ 폐색전선
정답 : ④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12. 비행기의 가로안정성을 좋게 하는 요소로 틀리는 것은?
① 상반각(쳐든각)
② 킬효과(keel effect)
③ 무게중심의 후방이동
④ 후퇴각(뒤처짐, sweep back)
정답 : ③
비행기의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소개되었습니다. 상반각, 후퇴각, 용골효과, 중량배분은 이러한 안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는 요소로 설명되었습니다. 상반각은 날개 끝이 수평면 위로 올라간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끝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만들어줍니다. 후퇴각은 날개 전반부가 후방으로 치우친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전반부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일으킵니다. 용골효과는 비행기의 휘어진 부분이 용골처럼 작용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또한, 중량배분은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날개의 압력중심과 일치시키거나 앞쪽으로 배치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었습니다.
그러나 "무게중심의 후방이동"은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반대로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는데,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비행기의 흔들림이 늘어나고,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이 감소하거나 반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는 올바르게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선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비행기의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소개되었습니다. 상반각, 후퇴각, 용골효과, 중량배분은 이러한 안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는 요소로 설명되었습니다. 상반각은 날개 끝이 수평면 위로 올라간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끝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만들어줍니다. 후퇴각은 날개 전반부가 후방으로 치우친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전반부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일으킵니다. 용골효과는 비행기의 휘어진 부분이 용골처럼 작용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또한, 중량배분은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날개의 압력중심과 일치시키거나 앞쪽으로 배치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었습니다.
그러나 "무게중심의 후방이동"은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반대로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는데,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비행기의 흔들림이 늘어나고,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이 감소하거나 반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는 올바르게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선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4. 다음 중 항공장애등 및 주간 장애표식의 설치 대상으로 틀린 것은?
① 진입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②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50미터 이상 높이의 구조물
③ 전이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④ 수평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22. 다음 중 항공장애등 및 주간 장애표식의 설치 대상으로 틀린 것은?
① 수평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② 전이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③ 진입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④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50미터 이상 높이의 구조물
28. 일정 대기 조건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고, 대기가 포함되어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포화온도
② 노점온도
③ 대기온도
④ 상대온도
30.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②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작다.
③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작다.
④ 공기밀도가 높으며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크다.
35. 날개 골의 받음각이 증가하여 흐름의 떨어짐 현상이 발생하면 양력과 항력의 변화는?
① 양력과 항력이 모두 증가한다.
② 양력과 항력이 모두 감소한다.
③ 양력은 증가하고 항력은 감소한다.
④ 양력은 감소하고 항력은 급격히 증가한다.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예상문제7회 | ||||
1 | ① | ② | ③ | ④ |
2 | ① | ② | ③ | ④ |
3 | ① | ② | ③ | ④ |
4 | ① | ② | ③ | ④ |
5 | ① | ② | ③ | ④ |
6 | ① | ② | ③ | ④ |
7 | ① | ② | ③ | ④ |
8 | ① | ② | ③ | ④ |
9 | ① | ② | ③ | ④ |
10 | ① | ② | ③ | ④ |
11 | ① | ② | ③ | ④ |
12 | ① | ② | ③ | ④ |
13 | ① | ② | ③ | ④ |
14 | ① | ② | ③ | ④ |
15 | ① | ② | ③ | ④ |
16 | ① | ② | ③ | ④ |
17 | ① | ② | ③ | ④ |
18 | ① | ② | ③ | ④ |
19 | ① | ② | ③ | ④ |
20 | ① | ② | ③ | ④ |
21 | ① | ② | ③ | ④ |
22 | ① | ② | ③ | ④ |
23 | ① | ② | ③ | ④ |
24 | ① | ② | ③ | ④ |
25 | ① | ② | ③ | ④ |
26 | ① | ② | ③ | ④ |
27 | ① | ② | ③ | ④ |
28 | ① | ② | ③ | ④ |
29 | ① | ② | ③ | ④ |
30 | ① | ② | ③ | ④ |
31 | ① | ② | ③ | ④ |
32 | ① | ② | ③ | ④ |
33 | ① | ② | ③ | ④ |
34 | ① | ② | ③ | ④ |
35 | ① | ② | ③ | ④ |
36 | ① | ② | ③ | ④ |
37 | ① | ② | ③ | ④ |
38 | ① | ② | ③ | ④ |
39 | ① | ② | ③ | ④ |
40 | ① | ② | ③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