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 공역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 공역의 공역에서 승인을 받지 않고 지표면에서 500ft 이하까지 상승할 수 있다.
②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 공역 외 공역은 G급 공역에 속한다.
③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 공역에서 비행은 국토교통부장관의 비행승인 없이 가능하다.
④ 비행계획승인 신청서는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다음은 안개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공중에 떠돌아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집단으로 지표면 가까이에서 발생한다.
② 수평가시거리가 3km이하가 되었을 때 안개라고 한다.
③ 공기가 냉각되고 포화상태에 도달하고 응결하기 위한 핵이 필요하다.
④ 적당한 바람이 있으면 높은 층으로 발달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안개는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다. 본질적으로는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나, 구름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형성되며, 흡습성의 작은 입자인 응결핵이 있으면 잘 형성된다. 하층운이 지표면까지 하강하여 생기기도 한다.
3. 항공안전관련 중요임무 종사자는 알코올 및 약물의 오남용으로 사고나 인명 손상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 관련 내용으로 틀리는 것은?
① 알코올 및 약물검사가 요구되는 경우 임무 종사 8시간 전부터 임무수행 직후까지 검사할 수 있다.
② 검사정보는 관계기관에 제공되어 법적 절차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③ 알코올 테스트 결과 기록은 3년간 보관한다.
④ 해당 업무에 종사한 경우라도 사고와 관련이 없으면 알코올 테스트를 생략할 수 있다.
4. 배터리 보관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① 더운 날씨에 차량에 배터리를 보관하지 않으며 적합한 보관 장소의 온도는 22℃~28℃이다.
② 배터리를 낙하, 충격, 쑤심, 또는 인위적으로 합선시키지 말 것
③ 손상된 배터리나 전력 수준이 50%이상인 상태에서 배송하지 말 것
④ 이상이 없나 계속 모니터링 한다.
5. 하층운에 속하는 구름은 어느 것인가?
① 층적운
② 고층운
③ 권적운
④ 권운
6.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폭발위험이나 화재 충격에 위험이 적어 잘 견딘다.
② 150℃ 이상의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 효율이 높아진다.
③ 수중에 자이가 추락했을 경우에는 배터리를 잘 닦아서 사용한다.
④ -10℃ 이하로 사용될 경우 영구히 손상되어 사용불가 상태가 될 수 있다.
7. 항공기 신고(등록)기호표의 크기는?
① 가로 7cm, 세로 5cm
② 가로 5cm, 세로 7cm
③ 가로 7cm, 세로 4cm
④ 가로 4cm, 세로 7cm
8. 빠른 한냉 전선이 온난전선에 따라 붙어 합쳐져 중복된 부분을 무슨 전선이라 부르는가?
① 정체전선
② 대류성 한냉전선
③ 북태평양 고기압
④ 폐색전선

제출하기

정답 : ④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9. 다음 중 2차 조종면(부 조종면)이 아닌 것은?
① 플랩
② 방향타
③ 스포일러
④ 슬랫
10. 다음의 비행방법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이륙하고자 하는 때는 안전고도 미만의 고도 또는 안전속도 미만으로 선회가 가능하다.
② 비행장에서 이륙 가능한 기상조건 여부는 조종사의 판단에 따른다.
③ 무선통신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비행장의 항공교통관제기관과 의사소통이 없어도 가능하다.
④ 제1항제6호부터 제14호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다른 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1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해수면 기압 또는 동일한 기압대를 형성하는 지역을 따라서 그은 선을 등압선이라 한다.
② 고기압 지역에서 공기흐름은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밖으로 흘러 나간다.
③ 일반적으로 고기압권에서는 날씨가 맑고 저기압권에서는 날씨가 흐린 경향을 보인다.
④ 일기도의 등압선이 넓은 지역은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
12. 비행기의 가로안정성을 좋게 하는 요소로 틀리는 것은?
① 상반각(쳐든각)
② 킬효과(keel effect)
③ 무게중심의 후방이동
④ 후퇴각(뒤처짐, sweep back)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기의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소개되었습니다. 상반각, 후퇴각, 용골효과, 중량배분은 이러한 안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는 요소로 설명되었습니다. 상반각은 날개 끝이 수평면 위로 올라간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끝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만들어줍니다. 후퇴각은 날개 전반부가 후방으로 치우친 형태로, 사이드슬립 시에 날개 전반부에 작용하는 힘이 복원모멘트를 일으킵니다. 용골효과는 비행기의 휘어진 부분이 용골처럼 작용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또한, 중량배분은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날개의 압력중심과 일치시키거나 앞쪽으로 배치하여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었습니다.

그러나 "무게중심의 후방이동"은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반대로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는데,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비행기의 흔들림이 늘어나고, 사이드슬립에 대한 복원력이 감소하거나 반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는 올바르게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선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3.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중 자체중량이 아닌 것은?
① 초경량헬리콥터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이다.
② 동력패러글라이더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이다.
③ 무인비행기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이다.
④ 초경량자이로플레인은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이다.
14. 다음 중 항공장애등 및 주간 장애표식의 설치 대상으로 틀린 것은?
① 진입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②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50미터 이상 높이의 구조물
③ 전이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④ 수평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제출하기

정답 : ②
500ft(AGL),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m 이상 높이의 구조물.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15. 착륙장치 중 소형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① 세 바퀴식
② 두 바퀴식
③ 갈매기식 바퀴
④ T형 바퀴
16. 항공기의 정의로서 옳게 설명한 것은?
① 민간항공에 사용되는 대형항공기를 말한다.
② 지구 대기권 내외를 비행할 수 있는 항공우주선을 제외한 항공기
③ 민간항공에 사용하는 비행선과 활공기를 제외한 모든 것
④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는 항공기이다.
17. 양력이 발생하는 원리의 기초가 되는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압(Pt)=동압(q)+정압(P)
②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면 동압이 증가하고 정압이 감소한다.
③ 음속보다 빠른 흐름에서는 동압과 정압이 동시에 증가한다.
④ 전압과 정압의 차이로 비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18. 동력 비행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연료 공급방식으로 맞는 것은?
① 중력 공급방식과 압력 공급방식
② 압력 공급방식
③ 제트 공급방식
④ 중력 공급방식
19.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서 오른쪽으로 밀면 승강키와 오른쪽 도움날개의 방향은?
① 도움날개는 위로, 승강키는 아래로
② 도움날개는 아래로, 승강키는 위로
③ 도움날개와 승강키 모두 위로
④ 도움날개와 승강키 모두 아래로
20. 신고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초경량 비행장치의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은?
① 계류식 기구류
② 낙하산류
③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비행장치
④ 프로펠러로 추진력을 얻는 것
21. 초경량 비행장치를 제한공역에서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비행계획 승인 신청서를 누구에게 제출해야 하는가?
① 대통령
② 국토교통부장관
③ 국토교통부 항공국장
④ 지방항공청장
22. 다음 중 항공장애등 및 주간 장애표식의 설치 대상으로 틀린 것은?
① 수평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② 전이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③ 진입표면 지상 투영면과 일치되는 구역에 근접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구조물
④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50미터 이상 높이의 구조물

제출하기

정답 : ④
500ft(AGL),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m 이상 높이의 구조물.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23. 비행기의 조종계통에서 차동 조종과 관계있는 것은?
① 트림 탭
② 보조날개
③ 방향타
④ 승강타
24. 섭씨(celsius) 0°C 는 화씨(fahrenheit) 몇 도 인가 ?
① 0℉
② 32℉
③ 64℉
④ 212℉
25. 동압에 관한 설명이다. 틀리는 것은?
① 동압은 공기밀도와 비례한다.
② 동압은 공기흐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 동압은 부딪히는 면적에 비례한다.
④ 동압은 정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26. 비행 중 진로를 양보해야 하는 상황으로 틀린 것은?
①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 접근 중인 항공기에 대해 양보한다.
② 착륙을 위하여 접근 중에는 저고도 항공기에 양보한다.
③ 동력비행장치는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해 양보한다.
④ 뒤따르는 항공기가 나를 추월하고자 하면 우측으로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27. 세미-모노코크(monocoque)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간 확보가 어렵다.
② 외피는 기하하적인 외형만 유지한다.
③ 외피가 전단응력을 담당하고 있다.
④ 하중(힘)을 모두 골격이 받는다.
28. 일정 대기 조건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고, 대기가 포함되어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포화온도
② 노점온도
③ 대기온도
④ 상대온도

제출하기

정답 : ②
# 이슬점온도라고도 한다.
- 일정한 기압 하에서 수분의 증감 없이 공기가 냉각되어 포화상태가 되면서 응결이 일어날 때의 대기 온도를 말한다.
- 습한 공기를 냉각시켜 가면 공기 중의 수증기는 어느 온도에서 응결하기 시작하여 이슬을 맺는데, 이때의 온도를 말한다. 노점(露點)이라고도 한다.
- 공기 중에서 물체를 서서히 냉각시키면 그 둘레의 공기 온도도 내려가서, 어떤 온도에 달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체의 표면에 이슬이 생길 때의 온도를 말한다.
29. 다음은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유체속도가 빠르면 정압은 낮아진다.
② 유체속도 는 정압에 비례를 한다.
③ 정압은 속도와 비례를 한다.
④ 유체속도는 압력과 무관하다.
30.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②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작다.
③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작다.
④ 공기밀도가 높으며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크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공기의 흐름과 관련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밀도는 공기 내 입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부피당 입자의 수가 많습니다.
동압은 공기 입자가 특정 면적에 부딪히는 힘을 나타냅니다. 부딪히는 입자 수가 많을수록 동압이 커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입니다.
31. 다음 중 항공법의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
① 항공 운송사업의 통제
② 항공기 항행의 안전도모
③ 항공시설 설치·관리의 효율화
④ 항공의 발전과 복리증진

제출하기

정답 : ①
항공안전법 제1조(목적) :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가 안전하게 항행하기 위한 방법을 정함으로써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항공기술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32. 비행기의 무게중심 위치가 정상 범위에서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황으로 맞는 것은?
① 가로안정성이 나빠진다.
② 실속(Stall) 및 스핀(Spin) 상황에서 회복력이 좋아진다.
③ 실속 회복능력은 좋아지고 스핀 회복력은 나빠진다.
④ 실속 회복능력은 나빠지고 스핀 회복력은 좋아진다.
33. 초경량비행장치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신고한 후 조치사항으로 틀리는 것은?
① 신고한 초경량비행장치의 측면사진(가로15센티미터X세로10센티미터)을 조정석내에 부착해야 한다.
② 초경량비행장치 신고증명서는 비행시 휴대하여야 한다.
③ 초경량비행장치의 제원 및 성능이 변경된 경우 지방항공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④ 신고증명서의 번호를 비행장치에 표시해야 한다.
34. 공기의 온도가 증가하면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① 가열된 공기는 가볍기 때문이다.
② 가열된 공기는 무겁기 때문이다.
③ 가열된 공기는 유동성이 있기 때문이다.
④ 가열된 공기는 유동성이 없기 때문이다.
35. 날개 골의 받음각이 증가하여 흐름의 떨어짐 현상이 발생하면 양력과 항력의 변화는?
① 양력과 항력이 모두 증가한다.
② 양력과 항력이 모두 감소한다.
③ 양력은 증가하고 항력은 감소한다.
④ 양력은 감소하고 항력은 급격히 증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6. 공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습도이다. 습도의 양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① 지표면의 물의 양
② 바람의세기
③ 기압의 상태
④ 온도
37. 방사안개라고도하며 습윤 한 공기로 덮혀있는 지표면이 방사 방열한 결과로 하층부터 냉각되어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발생하는 안개는?
① 증기안개
② 땅 안개
③ 활승안개
④ 계절풍 안개
38. 트러스 형 구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① 제작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
② 내부 공간 마련이 어렵다.
③ 주로 경비행기에 사용된다.
④ 외피가 하중의 일부를 담당한다.
39. 다음 모노코크(monocoque)구조에서 항공 역학적인 힘을 대부분 담당하는 부재는 어느 것인가?
① 뼈대(frame)
② 외피(skin)
③ 세로지(stringer)
④ 정형재(former)
40. 항공기의 비행 중 금지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물건의 투하(投下) 또는 살포
② 최저비행고도(最低飛行高度) 위에서의 비행
③ 낙하산 강하(降下)
④ 초경량 비행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②
뒤집어서 비행하거나 옆으로 세워서 비행하는 등의 곡예비행
예상문제7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