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업 종사자로 볼 수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관제사
② 자가용 조종사
③ 비행기 조종사
④ 승무원
2. 초경량비행장치 비행 전 조종기 테스트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기체와 30m 떨어져서 레인지모드로 테스트 한다.
② 기체와 100m 떨어져서 일반모드로 테스트 한다.
③ 기체 바로 옆에서 테스트를 한다.
④ 기체를 이륙해서 조종기를 테스트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30m 레인지 모드
3. 배터리를 장기 보관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4.2V 완전 충전해서 보관한다.
② 상온 15도~28도에서 보관한다.
③ 밀폐된 가방에 보관한다.
④ 화로나 전열기 등 뜨거운 곳에 보관하지 않는다.
4. 기체가 움직이는 동안 추력이 발생하는데 비틀림과 속도제어에 사용되는 센서는?
① 자이로 센서
② 엑셀레이터 센서
③ 온도 센서
④ 기압 센서

제출하기

정답 : ②
가속도센서(엑셀레이터센서) : 속도제어
자이로 센서 : 수평제어
기압 센서 : 고도제어
5. 항공기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우주선
② 중량이 초과하는 비행기
③ 속도를 개조한 비행기
④ 계류식 무인 비행기

제출하기

정답 : ①
#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항공안전법 2조 1호) 기구, 비행선, 비행기, 헬리콥터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여기에 우주선과 미사일 등이 포함되면 '비행체(Aerial vehicle)'가 된다.

# 항공안전법 2조 1호, "항공기"란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다음 각 목의 기기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를 말한다.

여기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는 우주선으로 보면 된다.
가. 비행기 (최대이륙중량 600kg 이상, 수상의 경우 650kg)
나. 헬리콥터 (600kg 이상, 수상의 경우 650kg)
다. 비행선 (600kg 이상, 수상의 경우 650kg, 무인비행선의 경우 180kg)
라. 활공기 (70kg 이상)
6. 모터의 설명 중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BLDC 모터는 브러시가 있는 모터이다.
② DC 모터는 BLDC 모터보다 수명이 길다.
③ DC 모터는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④ BLDC 모터는 변속기가 필요 없다.

제출하기

정답 : ③
DC모터는 브러쉬가 있어, 계속 사용하면 브러쉬가 닿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
BLDC 모터는 Bluseless DC 모터 이므로 브러시가 없다.
BLDC 모터는 전자변속기(ESC)가 있어야 돌아간다. ESC는 FC로 부터 PWM 신호를 받아 가공하여 BLDC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7. 기상현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대기권은 어느 것인가?
① 열권
② 대류권
③ 성층권
④ 중간권

제출하기

정답 : ②
대류권은 대기권의 가장 아래층. 두께는 위도와 계절에 따라 변화하지만 대체로 약 10km 정도이며, 공기가 활발한 대류를 일으켜 기상현상이 발생한다.
8.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바른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정압이 일정하다.
② 전압이 일정하다.
③ 동압이 일정하다.
④ 동압과 정압차는 항상 일정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정압과 동압의 합인 전압은 항상 일정하다.
9. 등압선이 좁은 곳은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① 무풍 지역
② 태풍 지역
③ 강한 바람
④ 약한 바람

제출하기

정답 : ③
등압선 : 기압이 같은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해수면 값으로 바꾸어 기록함
등고선 : 해수면을 기준으로 지표면에 고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
지도의 등고선처럼 등압선은 기압의 높낮이를 표시하는데, 등압선의 간격이 좁으면 기압차가 크고 간격이 넓으면 기압차가 작다.
기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바람이 불게 되는데, 등압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기압차가 크므로 바람의 세기는 강하다.
10. 뇌우의 형성 조건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대기의 불안정
② 풍부한 수증기
③ 강한 상승기류
④ 강한 하강기류
11. 구름의 종류 중에 비가 내리게 하는 구름은?
① AC(고적운)
② NS(난층운)
③ ST(층운)
④ SC(층적운)
12. 다음 중 비행 후 기체 점검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프롭의 결합상태, 파손 등을 점검한다.
② 동력계통 부위의 볼트 조임 상태 등을 점검한다.
③ 배터리 잔량이 있을 경우 비행하여 모두 소모한다.
④ 조종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부족 시 충전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배터리 잔량이 남았다고 배터리를 모두 소모할 때 까지 추가 비행을 하지는 않는다.
13. 비행기 고도 상승에 따른 공기 밀도와 엔진 출력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공기밀도 감소, 엔진출력 감소
② 공기밀도 감소, 엔진출력 증가
③ 공기밀도 증가, 엔진출력 감소
④ 공기밀도 증가, 엔진출력 증가

제출하기

정답 : ①
비행기의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기본적인 항공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행기 엔진 출력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 공기밀도 감소, 엔진출력 감소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밀도 감소: 고도가 증가하면 대기의 압력과 밀도가 감소합니다. 공기밀도가 감소하면 엔진에게서 획득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엔진출력 감소: 고도가 증가하면 엔진의 효율이 감소합니다. 이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에게서 얻을 수 있는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비행기 엔진의 출력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밀도 감소, 엔진출력 감소"입니다.
14.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승인 신청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동승자의 성명
② 비행기 제작사
③ 신청인의 성명
④ 비행장치
15. 멀티콥터 제어장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GPS
② FC
③ 제어컨트롤
④ 프로펠러

제출하기

정답 : ④
프로펠라는 모터에 붙어 있는 물건이라 제어장치가 아니다.
GPS는 위치 즉 경도,위도,고도 등을 알려준다.
FC는 Flight Control약자이다.
16.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바른 설명은 어느 것인가?
① 베르누이 정리는 밀도와 무관하다.
②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정압이 감소한다.
③ 위치 에너지의 변화에 의한 압력이 통합이다.
④ 정상 흐름에서 정압과 동압의 합은 일정하지 않다.
17. 초경량비행장치를 운항할 때 거리 등을 계산해서 운항하는 항법은 무엇인가?
① 지문항법
② 위성항법
③ 추측항법
④ 무선항법

제출하기

정답 : ③
지문항법 : 지상의 지역의 랜드 마크나 독특한 모양 지형물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파악.
추측항법 : 침로, 풍향, 풍속, 시간 등의 요소를 이용해 항공기의 경로를 추측해 길을 찾는 방식.
무선항법 : 지상 또는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무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항법.
위성항법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아는 항법.
18. 초경량비행장치 비행 공역을 나타내는 것은?
① R-35
② CP-16
③ UA-14
④ P-73A
19. 전파의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대기권은 어느 것인가?
① 대류권
② 성층권
③ 열권
④ 대류권 계면
20. 초경량비행장치에 의하여 중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은?
① 관활 지방항공청
② 철도, 항공 사고 조사위원회
③ 교통안전공단
④ 항공 교통 관제소

제출하기

정답 : ②
철도, 항공사고조사위원회
21. 비행체에 적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항력
② 양력
③ 압축력
④ 중력

제출하기

정답 : ③
항력은 공기의 밀도, 기온, 습도 등 공중 진행을 더디게 하는 힘으로 외부 힘이고, 중력도 마찬가지고, 압축력은 비행기 내부인지 외부 기압인지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양력은 양력의 계수, 공기밀도, 속도의 제곱, 풍판의 면적에 비례한다고 합니다.
22. 초경량비행장치 말소신고를 하지 않을 시 1차 과태료는 얼마인가?
① 5만원
② 15만원
③ 30만원
④ 100만원

제출하기

정답 : ②
초경량비행장치의 말소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3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1차 위반 시에는 50%의 과태료가 적용되기 때문에 15만원입니다.
23. 착빙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이슬 착빙
② 맑은 착빙
③ 혼합 착빙
④ 거친 착빙
24. 멀티콥터의 무게중심은 어느 곳에 위치하는가?
① 전진 모터의 뒤쪽
② 후진 모터의 뒤쪽
③ 기체의 중심
④ 랜딩 스키드 뒤쪽

제출하기

정답 : ③
기체의 중심에 있다. 무게 평행을 맞춰야 한다.
25.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 교육기관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사무실 1개 이상
② 강의실 1개 이상
③ 격납고
④ 이착륙 공간
26. 여름철의 주요 기상현상을 초래한다. 우리나라 여름철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기단은?
① 시베리아 기단
② 적도 기단
③ 북태평양 기단
④ 양쯔강 기단
27. 동체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는 센서는?
① 자이로센서
② 지자계센서
③ 기압센서
④ GPS

제출하기

정답 : ①
수평(자세)을 잡아주는 기능은 자이로 센서이다.
지자계는 지구자계의 약자, 전자나침반으로 이해해라. 그러면 방향을 계산한다.
기압센서는 고도센서로서 고도 즉 높이를 알려준다.
GPS는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알려준다.즉, 위치를 알려준다.
28. 회색 또는 검은색의 먹구름이며 비와 눈을 포함하고 두께가 두껍고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은?
① Altostratus(고층운)
② Cumulonimbus(적란운)
③ Nimbostratus(난층운)
④ Stratocumulus(층적운)
29. 대기의 기온이 상승하여 공기가 위로 향하고 기압이 낮아져 응결될 때 공기가 아래로 향하는 현상은?
① 역전 현상
② 대류 현상
③ 이류 현상
④ 푄 현상

제출하기

정답 : ②
역전현상 : 대기층에서 높은 곳의 온도가 낮은 곳의 온도보다 더 높게 되는 현상, 대기 순환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대기오염이 심해짐.
대류현상 : 기온이 상승하여 공기가 위로 향하고 낮아져 응결될 때 공기가 아래로 향하는 현상
이류현상 : 기단의 성질이 대기 운동으로 변하는 과정, 수평방향의 변화만 해당된다. 해무발생이 가장흔한 이류현상중 하나이다.
푄현상 : 습윤한 공기가 산을 따라 올라가면서 비나 눈을 뿌린 후 고온건조한 바람으로 바뀌는 현상.
30. 멀티콥터가 우측으로 이동 할 때 각 모터의 형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오른쪽 프로펠러의 힘이 약해지고 왼쪽 프로펠러의 힘이 강해진다.
② 왼쪽 프로펠러의 힘이 약해지고 오른쪽 프로펠러의 힘이 강해진다.
③ 왼쪽, 오른쪽 각각의 로터가 전체적으로 강해진다.
④ 왼쪽, 오른쪽 각각의 로터가 전체적으로 약해진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가는 반대 쪽이 빨리 돌아야 한다.
31. 대기안정도(Atmospheric stability)가 나타날 때 현상은 무엇인가?
① 소나기성 강우가 나타난다.
② 시정이 어느 정도 잘 보인다.
③ 난류가 생긴다.
④ 안개가 생성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대기의 안정도 : 원래상태로 돌아오면 안정한 상태, 계속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불안정한 상태.
- 대기가 안정한 상태 : 수평방향으로만 발달하는 층운형 구름이 생김.
- 불안정한 대기 : 대기가 불안정하면 수직으로 발달하는 적운형 구름이 생김.
- 역전층 : 일반적 대기는 고도가 높을 수록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에 반해 고도가 높을 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구간을 역전층이라 한다. 이 역전층은 높은 위치에 온도가 높고, 낮은 위치에 온도가 낮기 때문에 낮은 곳에는 무거운 공기가 있으므로 굉장히 안정한 상태를 가진다. 이 층에는 대류가 잘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오래 머문다.
- 대기가 안정되면 안개가 생성된다.
32. 고기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중앙으로 갈수록 기압이 떨어진다.
② 기단의 형성이 쉽다.
③ 중심부에 하강기류가 발생한다.
④ 북반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고기압(高氣壓)은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가리킨다. 기호는 'H'이다.

고기압권 안에서는 보통 하강기류가 있으므로 날씨가 맑다. 그러나 소멸 단계의 고기압 또는 고기압 후면에서 하층이 가열되면 대기가 불안정하여 적란운이 발생하고 심하면 소나기, 뇌우를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분다. 이때 고기압은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풍속은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약해진다. 이동성 고기압을 제외하면 대체로 아주 느리게 이동하거나 제자리에 위치한다.
33. 공기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안개
② 바람
③ 구름
④ 기압

제출하기

정답 : ②
지표가 가열되거나 냉각될 때 지역에 지표의 성질에 따라 기온 차가 생기면서 기압 차가 나타난다. 즉, 두 지점의 기압 차에 의해 바람이 분다.
34. 압력 단위계 중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pa
② bar
③ Torr
④ radian

제출하기

정답 : ④
pa : 파스칼
bar : 바
at : 공기기압
atm : 기압
Torr : 토르
psi : 제곱인치 당 파운드
35. 4행정 왕복엔진의 행정순서로 올바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배기, 폭발, 압력, 흡입
② 압축, 흡입, 배기, 폭발
③ 흡입, 압축, 폭발, 배기
④ 흡입, 폭발, 압축, 배기

제출하기

정답 : ③
흡입->압축->폭발->배기 순이다.
36. 멀티콥터 기체 자체의 좌우가 불안한 경우 조종기의 조작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① 에어러론을 조작한다.
② 조종기의 전원을 ON, OFF한다.
③ 스로틀을 조작한다
④ 러더를 조작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안전상의 문제로 봅니다. 그럴경우 빨리 내리고 점검을 해야 합니다. 내릴려면 스로틀을 조작하여 기체를 내려야 합니다.
기체 상의 동작 점검 test인 경우는 1번이 답입니다.
37. 무인멀티콥터가 비행할 수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진비행
② 추진비행
③ 회전비행
④ 배면비행

제출하기

정답 : ④
배면비행 : 아래위가 뒤집혀서 비행하는 것.
비행기는 가능하다.
38. 나뭇잎과 가는 가지가 쉴 새 없이 흔들리고, 깃발이 흔들릴 때 나타나는 풍속은 어느 정도인가?
① 0.3 ~ 1.5m/sec
② 1.6 ~ 3.3m/sec
③ 3.4 ~ 5.4m/sec
④ 5.5 ~ 7.9m/sec
39. 다음 중 벡터량이 아닌 것은?
① 가속도
② 속도
③ 양력
④ 질량

제출하기

정답 : ④
스칼라 : 크기만 가진다.
벡터 : 크기와 방향을 가진다.
40. 초경량비행장치 신고 기관으로 적당한 곳은 어느 곳인가?
① 국토교통부
②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③ 지방항공청
④ 국방부
예상문제3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