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not, MPH로 단위가 표시되는 계기가 있다. 다음 중 어느 계기인가?
① 외부 공기 온도계
② 비행 속도계
③ 기관 회전계
④ 기관 압력계
2. 해수면에서 표준온도와 기압은?
① 15℃, 29.92“Hg
② 59℉, 29.92“Hg
③ 59℉, 1013.2“Hg
④ 15℃, 1013.2“Hg

제출하기

정답 : ①
15℃, 29.92inch.Hg
3. 다음 중 풍속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m/s
② kph
③ knot
④ mile

제출하기

정답 : ④
mile은 거리의 단위이다.
4. 옆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를 주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날개에 상반각을 준다.
② 후퇴날개를 사용한다.
③ 날개 장착위치를 높게 한다.
④ 종횡비를 크게 한다.
5. 다음 중 정압만을 필요로 하는 계기는?
① 고도계
② 속도계
③ 선회계
④ 자이로 계기

제출하기

정답 : ①
- 정압관은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와 관련이 있다.
- 동·정압 계기들은 대기압을 측정해서 지시하는 방식이다. 대개 압력을 기계적인 변위로 바꾸는 공함(pressure capsule), 즉 다이아프램이나 아네로이드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하여 항공기 비행 대기 속도, 비행 고도, 비행 상승 및 하강률 등을 지시하는데 이러한 계통을 동·정압계통(pitotstatic system)이라 한다. 동·정압계통에는 대표적인 계기로 고도계, 대기 속도계, 승강계, 마하계 등이 있고, 중간에 신호 변경 장치로 대기자료컴퓨터 (ADC), 최근에는 대기자료모듈(ADM), 그리고 수감 하는 동·정압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피토관 또는 정압공에 연결되어 피토압 또는 정압을 수감하여 그 압력값으로 항공기 비행 상태 등을 알려준다.
6. 우리나라 평균해수면 높이를 0m로 정한 기준이 되는 만은?
① 제주만
② 순천만
③ 인천만
④ 영일만
7. 어떤 물질 1g을 섭씨 온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① 잠열
② 열량
③ 비열
④ 현열

제출하기

정답 : ③
비열은 어떤 물질 1그램을 섭씨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8. 지구의 기상이 일어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① 해수면의 온도 상승
② 구름의 량
③ 바람
④ 지구 표면의 태양 에너지의 불균형
9. 받음각(AOA)이란 주날개의 시위선(익현선)과 무엇이 이루는 각을 말하는가?
① 캠버(Camber)
② 수평선
③ 합력상대풍
④ 양력

제출하기

정답 : ③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란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상대풍(Relative Wind)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시위선(Chord Line)은 날개의 앞전(Leading Edge)과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사이를 이은 가상의 직선을 말한다. 상대풍(Relative Wind)란 날개가 공기를 가로질러 앞으로 나아갈 때 상대적으로 공기가 날개에 부딪히는 방향을 말한다.
10. 항공기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① 날개, 동체, 꼬리날개부, 착륙장치, 동력장치로 구성되어있다.
② 동체, 날개, 동력장치, 장비장치로 구성되어있다.
③ 날개, 동체, 꼬리날개부, 착륙장치, 각종 장비장치로 되어있다.
④ 날개, 동체, 꼬리날개부, 착륙장치, 엔진으로 구성되어있다.
11. 뇌우의 활동 단계 중 그 강도가 최대이고 밑면에서는 강수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① 생성 단계
② 누적 단계
③ 성숙 단계
④ 소멸 단계
12. 초경량비행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항력은?
① 유도 항력
② 형상 항력
③ 유해 항력
④ 조파 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13.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보관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뜨거운 곳이나 직사광선 등 열이 잘 발생하는 곳에 보관한다.
② 자동차 안에 보관한다.
③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한다.
④ 아무 곳이나 보관해도 상관없다.
14. 다음은 실속 속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양력 계수가 최대인 상태에서 비행속도가 최소가 되는 속도
② 실속 속도는 익면 하중이 클수록 감소한다.
③ 실속 속도가 작을수록 착륙속도는 작아진다.
④ 고 양력 장치의 최대 양력 계수 값을 크게 하여 이・착륙시 비행기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실속은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으로부터 박리되어, 그 결과 양력(揚力)이 감소되고 항력(抗力)이 증가하여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즉, 실속이 발생하면 추락한다.
15. 주로 봄과 가을에 이동성 고기압과 함께 동진해 와서 따뜻하고 건조한 일기를 나타내는 기단은?
① 오호츠크해기단
② 양쯔강기단
③ 북태평양기단
④ 적도기단
16.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 취소 처분 후 몇 년 후에 재응시 할 수 있는가?
① 2년
② 3년
③ 4년
④ 5년
17.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폭발위험이나 화재 충격에 위험이 적어 잘 견딘다.
② 150℃ 이상의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 효율이 높아진다.
③ 수중에 드론이 추락했을 경우에는 배터리를 잘 닦아서 사용한다.
④ -10℃ 이하로 사용될 경우 영구히 손상되어 사용불가 상태가 될 수 있다.
18. 곡예 비행에 대한 내용이다. 맞는 것은?
① 관제구 및 관제권에만 가능하다.
② 당해 항공기를 중심으로 반경 500미터 내의 가장 높은 장애물 상단으로부터 450미터 이하 고도에서는 금지이다.
③ 지표면으로부터 450미터 미만의 고도에서는 금지이다.
④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 지역의 상공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 500ft 이상 고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19. 항공법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항공기 항행의 안전 도모
② 항공 시설의 설치 및 관리의 효율화
③ 항공 운송사업의 자율화
④ 항공의 발전과 공공 복리의 증진
20. 다음 중 가장 강한 요란이 있는 구름은?
① 로타형 구름
② 렌즈형 구름
③ 모자형 구름
④ 덩굴형 구름

제출하기

정답 : ②
렌즈구름(Lenticular cloud)은 높은 고도에서, 바람 방향에 직각으로 정렬하고 있는 렌즈모양의 움직이지 않는 구름이다. 렌즈구름은 그 모양에 따라서 고적운(ACSL), 층적운(SCSL), 그리고 권적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비(nimbus)를 포함한 구름은 난층운(nimbostratus), 적난운(cumulonimbus)이 포함된다.
- 권운/새털구름(cirrus) : 작은 조각이나 흩어져 있는 띠 모양의 구름. 주로 저기압이 형성되기 전에 나타난다.
- 권적운/털쌘구름(cirrocumulus) : 털샌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 . CC, 흰색 또는 회색 반점이나 띠 모양을 한 구름. 종종 줄지은 배열을 보인다.
- 권층운/털층구름(cirrostratus) : 하늘을 완전히 덮어 태양 주변으로 후광을 만들어 내는 희끄무레한 구름.
- 중층운/중층구름(middle clouds) : 2,000~6,000m의 고도에 있는 구름.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
- 고층운/높층구름(altostratus) : 하늘을 완전히 덮고 있으나 후광 현상 없이 태양을 볼 수 있는 회색 구름. 호우를 내리게 한다.
- 고적운/높쌘구름(altocumulus)v 흰색이나 회색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구름. 때때로 나란한 층을 이루며, 저기압이 다가올 징조이다.
- 하층운/밑턱구름(low clouds) :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간간이 섞여 있는 구름. 고도가 2,000m를 넘지 않으며, 때때로 쉬지 않고 계속되는 비를 내리게 한다.
- 층적운/층쌘구름(stratocumulus) : 10종 운형 중 하층운에 속하는 구름으로 층쌘구름, 연속적인 두루마리처럼 둥글둥글한 층으로 늘어선 회색과 흰색의 구름. 대체로 비를 내리게 하지는 않는다.
- 난층운/비층구름(nimbostratus) : 진한회색, 비층구름.Ns, 태양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짙고 어두운 층으로 된 구름. 지속적인 강수의 원인이 된다.
- 적운/쌘구름(cumulus) : 갠 날씨의 윤곽이 매우 뚜렷한 구름. 밑면은 회색이고 편평하며, 윗부분은 흰색이고 둥글게 융기되어 있다.
- 층운/층구름(stratus) : 구름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음. 이 층운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때도 있다. 가끔 안개비가 내리기도 한다. 안개와 비슷하게 연속적인 막을 만드는 회색 구름. 지상에 닿지는 않고, 약간의 비를 내리게 한다.
- 연직운/연직구름(clouds of vertical development) : 밑면은 낮은 고도에 있지만 매우 높게 솟아 있는 형태의 구름. 적운과 적란운의 두 유형이 있다.
- 적란운/쌘비구름(cumulonimbus) : 세찬 강수를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웅장한 구름. 두께가 10㎞에 이르고 아랫부분은 매우 어둡다.
21. 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이 틀리는 것은?
①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② 착륙을 위하여 최종 접근 중에 있거나 착륙중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③ 상호 간 비행장에 접근 중일 때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④ 발동기의 고장, 연료의 결핍 등 비정상상태에 있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모든 항공기가 양보한다.
22. 평형하지 않고 흐느적거리거나 울퉁불퉁하고 코팅하지 않은 fabric 표면 즉, 항공기의 외피가 거칠수록 많이 발생하는 항력은 무엇인가?
① 압력 항력
② 유도 항력
③ 마찰 항력
④ 간섭 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③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3. 신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초경량비행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비행장치
② 계류식 기구류
③ 낙하산류
④ 초경량헬리콥터
24. 항공기가 착륙 시 지면 또는 수면에 접근함에 따라 날개 끝의 와류가 지면에 부딪혀 항력이 감소하여 지면 가까운 고도에서 비행기가 침하하지 않고 머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대기효과
② 날개효과
③ 지면효과
④ 간섭효과

제출하기

정답 : ③
항공기가 이착륙 비행에서 지면에 가깝게 낮은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양력이 증가하는 효과.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날개 끝 와류가 지면의 영향에 의해 억제되면서 유도 항력이 감소하고 날개와 지면 사이의 유속이 정체되어 발생한다.
지면효과(Ground Effect) : 지표면 근처에서 비행 중인 항공기에 지표면의 간섭이 생기는 현상.
25. 초경량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정보구역(FIR) 내에서 비행 시 비행계획을 제출하여야 하는데 포함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의 식별부호
② 항공기의 탑재 장비
③ 출발비행장 및 출발예정시간
④ 보안 준수사항
26. 항공기에 작용하는 항력(drag)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공기속도에 비례를 한다.
② 공기속도에 제곱에 비례를 한다.
③ 공기속도의 3승에 비례를 한다.
④ 공기속도에 반비례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7. 전방에서 비행 중인 항공기를 다른 항공기가 추월하고자 할 경우 어떻게 하는가?
① 후방의 항공기는 전방의 항공기 좌측으로 추월한다.
② 후방의 항공기는 전방의 항공기 상방으로 통과한다.
③ 후방의 항공기는 전방의 항공과 하방으로 통과한다.
④ 후방의 항공기는 전방의 항공기 우측으로 통과한다.
28.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하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
②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
③ 지상목표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행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
④ 동력비행장치 조종자는 동력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비행장치에 대하여 진로를 우선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동력을 이용하는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는 모든 항공기, 경량항공기 및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초경량비행장치에 대하여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29.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 간의 통행 우선순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활공기 - 비행선 - 물건을 예항 하는 항공기 – 비행기
② 활공기 – 동력으로 추진되는 활공기 – 비행선 – 비행기
③ 동력으로 추진되는 활공기 – 물건을 예항 하는 항공기 – 회전익항공기 – 비행선
④ 비행선 – 물건을 예항 하는 항공기 – 활공기 – 동력으로 추진되는 활공기
30. 항공기를 공기 중에 부양시키는 항공역학적인 힘은 어떤 것인가?
① 중력
② 항력
③ 양력
④ 추력
31. 항공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밀도 제곱에 비례
② 날개면적의 제곱에 비례
③ 속도 제곱에 비례
④ 양력계수의 제곱에 비례
32. 착륙거리를 짧게 하는 조건으로 적절한 것은?
① 항력계수를 증가 시킨다.
② 표면 마찰력을 증가 시킨다.
③ 익면하중을 크게 한다.
④ 플랩을 이용한다.
33. 다음 중 항공법 상 항공등화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진입각지시등
② 지향신호등
③ 위험항공등대
④ 비행장등대
34. 비행기에서 양력에 관계하지 않고 비행을 방해하는 모든 항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압력 항력
② 유도 항력
③ 형상 항력
④ 유해 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35. 허니콤(honeycomb) 구조의 이점은 무엇인가?
① 같은 무게의 단일 두께 표피보다 단단하다.
② 같은 강도로 무게가 가벼우며, 부식저항이 있다.
③ 손상 상태를 파악하기 쉽다.
④ 높은 온도에 저항력이 크다.
36. 타원형 날개의 특징은 무엇인가?
① 설계, 제작이 간단하다.
② 실속이 잘 일어난다.
③ 국부적 실속이 발생한다.
④ 유도 항력이 최소이다.
37. 찬 공기 힘이 우세하여 찬 공기가 남쪽의 따뜻한 공기를 밀어내고 찬공기가 따뜻한 공기 아래로 들어가려고 할 때 생기는 전선은?
① 온난전선
② 한랭전선
③ 정체전선
④ 폐색전선

제출하기

정답 : ②
한랭전선(寒冷前線)은 찬 기단이 따뜻한 기단 밑으로 파고들면서 밀어내는 전선을 말하며, 이때 소나기, 우박, 뇌우 등이 잘 나타나고 돌풍도 불기도 한다.
한랭전선면의 경사는 온난전선보다 크다. 찬 기단이 따뜻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가 난기가 상승하게 되고 단열팽창에 의한 냉각으로 구름이 발생하여 비나 눈이 내리게 된다. 발생하는 구름은 적운 또는 적란운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소나기성 비가 내린다. 뇌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그 강수폭은 전선 전면과 후면의 폭 80~150 km 정도에 이른다. 한랭전선의 전면에는 상승기류가 있기 때문에 전선이 가까이 오면 기압은 하강하며 돌풍을 일으키기도 한다.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38. 항공기를 설계할 때 날개나 기체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능한 한 순조롭게 하기 위해 유선형 모양으로 몸체를 만드는 이유는?
① 유도 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② 압력 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③ 마찰 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④ 조파 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39. 받음각(AOA)이란 익형(Air foil)의 시위선(Codeline)과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각을 말하는가?
① 수평선
② 에어포일의 피치각
③ 붙임각
④ 상대풍(흐름의 방향)

제출하기

정답 : ④
받음각(AOA : Angle of Attack)이란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상대풍(Relative Wind)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시위선(Chord Line)은 날개의 앞전(Leading Edge)과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사이를 이은 가상의 직선을 말한다. 상대풍(Relative Wind)란 날개가 공기를 가로질러 앞으로 나아갈 때 상대적으로 공기가 날개에 부딪히는 방향을 말한다.
40. METAR 보고에서 바람방향, 즉 풍향의 기준은 무엇인가?
① 자북
② 진북
③ 도북
④ 자북과 도북

제출하기

정답 : ②
METAR 보고서 : 공항별 정시 기상관측, 매 시각 정시 5분전에 발생(인천공항의 경우 30분마다 관측), 공항의 기상상태를 보고하는 기본관측
예상문제7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