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양력은 날개의 시위선 방향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양력은 날개의 시위선 방향의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양력은 날개의 상대풍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④ 양력은 날개의 상대풍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2. 다음 중 비행기의 방향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것은?
① rudder(방향키)
② elevator(승강기)
③ vertical stabilizer(수직안정판)
④ horizontal stabilizer(수평안정판)

제출하기

정답 : ③
방향은 비행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말하면 수직 안전판이 중요하다.
수평안정판은 양력 발생및 상하을 책임져 준다.
3. 고양력 장치(high lift device)가 아닌 것은?
① 탭(tab)
② 플랩(flap)
③ 슬랫(Slat)
④ 슬롯(slot)

제출하기

정답 : ①
비행기의 날개에 장착하여 이착륙시 양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날개의 뒷부분에 플랩이나 앞부분에 슬롯 등
-앞전플랩:double-slotted flowler flap, krueger flap, slotted wing, fixed slat, movable slat, blown flap, jet flap
-뒷전플랩:camber flap, split flap, zap flap, slotted flap, double-slotted flap, flowler flap
4. 다음 중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는 곳은?
① 중간권
② 열권
③ 극외권
④ 성층권
5. 초경량동력비행장치의 항공기의 통행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① 모든 항공기에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한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② 항공기보다 우선하며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해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③ 초경량 무동력비행장치보다 우선하여 항공기에 대해 진로를 양보해야 한다.
④ 모든 항공기와 무동력 초경량비행장치보다 진로에 우선권이 있다.
6. 연료 제외 무게가 아닌 초경량비행장치는 어느 것인가?
① 동력비행장치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 이다.
② 회전익비행장치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 이다.
③ 동력패러글라이더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 이다.
④ 무인비행장치는 연료 및 비상장비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 115kg 이하 이다.
7. 안전성 인증검사를 받지 않은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에 사용하다 적발되었을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①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②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4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8. 따뜻한 해수면 위를 덮고 있던 기단이 차가운 해면으로 이동했을 때 발생하는 안개는?
① 방사안개
② 활승안개
③ 증기안개
④ 바다안개
9.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 데 필요한 마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이용마력
② 여유마력
③ 필요마력
④ 제동마력

제출하기

정답 : ③
필요한 마력
10. 다음 중 국가 안전상 비행이 금지된 공역으로 항공지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특별한 인가 없이는 절대 비행이 금지되는 지역은?
① P-73
② R-110
③ DW-99
④ MOA
11.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초경량동력비행장치를 사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자격증명이 있어야 한다. 다음 중 초경량동력비행장치의 조종 자격증명을 발행하는 기관으로 맞는 것은?
① 항공안전본부
② 지방항공청
③ 교통안전공단
④ 국토교통부

제출하기

정답 : ③
초경향동력비행장치 조종자격증명 발행기관은 교통안전공단이다.
이 이론시험도 교통안전공단에서 시험 쳐야 한다.
12. 비행기 구조 중에 비행 중 기수의 상하방향 운동의 안정성을 만들어 주는 부분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① 동체
② 주날개
③ 꼬리날개
④ 착륙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③
꼬리 날개의 엘리베이터(상/하) 이다.
13.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하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주의공역은 지방항공청장의 비행계획 승인만으로 가능하다.
② 통제공역의 비행계획 승인을 신청할 수 없다.
③ 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은 관할 기관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④ CTA(CIVIL TRAINING AREA)비행승인 없이 비행이 가능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③
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은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항공정보간행물(AIP)에서 고시된 18개 공역에서 지상고 500ft 이내는 비행계획승인 없이 비행가능한 공역이다. 즉, 초경량비행장치 전용공역이다.
UA2~UA7, UA9, UA10, UA14, UA19~UA27
14. 비행 중 마주보고 오는 다른 비행기를 회피하는 방법으로 바른 것은?
① 우측
② 좌측
③ 위
④ 아래
15. 다음 중 대기현상이 아닌 것은?
① 비
② 바다선풍
③ 일출
④ 안개

제출하기

정답 : ③
대기현상은 물현상, 먼지 현상, 빛 현상, 전기 현상이다.
1) 물현상: 눈, 우박, 안개, 서리 등과 같이 물이 공기중에서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다가 지표면으로 낙하하는 현상
2) 먼지현상: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먼지나 연기와 같은 미립자가 공중에 매우 높은 농도로 존재하거나 바람에 따라 이동, 또는 지표면으로부터 부유되는 현상
3) 빛현상: 햇빛 또는 달빛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먼지의 영향으로 반사, 굴절, 회절 또는 간섭을 받아 일어나는 무지개, 노을, 햇무리 등과 같은 광학적 현상
4) 전기현상: 대기 중에 존재하는 입자들이 대전되면서 일어나는 전기 현상으로 오로라, 번개, 세인트 엘모의 불(Saint Elmo's fire) 등이 있다.
16. 육상에서 나뭇잎이 움직이고 풍향계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바다에서는 뚜렷한 잔잔한 파도가 전면에 나타나고, 파도머리가 매끄러운 상태이다. 이때의 풍속은 대략 어느 정도 인가?
① 1.6~3.3m/s
② 3.4~5.4m/s
③ 5.5~7.9m/s
④ 8.0~10.7m/s
17. 대기권 중 기상 변화가 일어나는 층으로 고도가 상승할수록 온도가 강하되는 층은 다음 어느 것인가?
① 성층원
② 중간원
③ 열권
④ 대류권
18. 다음 중 급변풍(wind shea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Wind shear는 동일 지역 내에 바람의 방향이 급변하는 것으로 풍속의 변화는 없다.
② Wind shear는 어느 고도층에서나 발생하며 수평·수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③ 저고도 기온 역전층 부근에서 Wind shear가 발생하기도 한다.
④ 착륙시 양쪽 활주로 끝 모두가 배풍을 지시하면 저고도 wind shear로 인식하고 복행을 해야 한다
19.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취급/보관방법으로 부적절한 설명은?
① 배터리가 부풀거나 누유 또는 손상된 상태일 경우에는 수리하여 사용한다.
② 빗속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③ 정격 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해야 한다.
④ 배터리는 –10℃~40℃의 온도 범위에서 사용한다.
20. 다음의 과태료 규정 중 틀린 것은?
① 안정성인증검사를 받지 아니한 초경량비행장치를 사용하여 조종자 증명을 받지 아니하고 비행한 자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②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신고번호 표시 위반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비행금지구역을 비행승인 없이 비행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1.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 취득자가 조종할 수 있는 장치로 맞는 것은?
① 초급활공기와 중급활공기
② 특수활공기와 동력비행장치
③ 동력비행장치와 회전익 비행장치
④ 초급활공기와 동력비행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③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증명으로 조종할 수 있는 장치는 동력비행장치, 회전익비행장치, 유인자유기구(자가용/사업용), 동력패러글라이더, 무인비행기, 무인헬리콥터, 무인멀티콥터, 무인비행선, 패러글라이더, 행글라이더, 낙하산류 이다.
22. 다음 중 대기압의 영향을 받는 계기가 아닌 것은?
① 속도계
② 고도계
③ 흡입다기관 압력계
④ 오일 압력계

제출하기

정답 : ④
속도계 : 피토관 원리 이용
고도계 : 대기압으로 측정
흡입다기관 압력계 : 흡기 다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량이 대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레버로 전달하여 연료 분배기 제어 플랜저의 행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연료의 기본 분사량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23. 다음 중 항공 장애등의 종류로 틀린 것은?
① 저광도 항공 장애등
② 중광도 항공 장애등
③ 고광도 항공 장애등
④ 주간장애표식

제출하기

정답 : ④
저, 중, 고광도 항공 장애
24. 바람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① 지구의 회전
② 공기량 증가
③ 태양의 복사열의 불균형
④ 습도

제출하기

정답 : ③
그 장소에 기압차가 생기면 분다.
바람은 기압 차 때문인데,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할 때 생긴다. 또 해안에서는 바다와 육지가 햇빛을 받을 때 따뜻해지는 정도의 차이, 즉 수열량의 차이 때문에 바람이 생긴다.
25. 다음 중 2차 전지에 속하지 않는 배터리는?
①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② 니켈수소(Ni-MH) 배터리
③ 니켈카트뮴(Ni-Cd) 배터리
④ 알카라인 전지

제출하기

정답 : ④
충전을 할수 없는 건전지를 1차 전지라고 하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1차 전지로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가 있습니다.
26. 왕복엔진의 윤활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기밀
② 윤활
③ 냉각
④ 방빙
27. 유도 항력의 원인은 무엇인가?
① 날개 끝 와류
② 속박와류
③ 간섭항력
④ 충격파

제출하기

정답 : ①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8. 실속(sta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기가 비행을 유지할 수 없는 최소의 속도 이하의 상태를 말한다.
② 날개에서 받음각(AOA)이 실속(stall)각보다 클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③ 날개의 윗면에서 공기흐름의 떨어짐 현상이다.
④ 양력계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실속은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으로부터 박리되어, 그 결과 양력(揚力)이 감소되고 항력(抗力)이 증가하여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즉, 실속이 발생하면 추락한다.
29. 공기밀도는 습도와 기압이 변화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공기밀도는 기압에 비례하며 습도에 반비례한다.
② 공기밀도는 기압과 습도에 비례하며 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공기밀도는 온도에 비례하고 기압에 반비례한다.
④ 온도와 기압의 변화는 공기밀도와는 무관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공기밀도는 항공기의 비행선응, 엔진의 출력에 중요한 요소이다. 밀도는 이륙, 상승률, 치대하중, 대기속도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공기의 밀도와 온도, 압력, 습도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아래 식에서 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에 반비례 관계이다. 즉, 압력이 높을 수록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이 낮을 수록 밀도는 감소한다. 또한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공기밀도는 습도에 반비례한다.
30.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 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지정한 공역을 무엇이라 하나?
① 관제구
② 항공공역
③ 관제권
④ 항공로
31. 비행 중 비행기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비행기의 모든 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같다.
② 전압=동압+정압
③ 공기밀도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④ 공기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전압이 일정하다
베르누이의 정리
1. 유체속도가 빠르면(동압이 크면) 정압이 낮아진다.
2. 유체속도는 정압에 반비례한다.
3. 정압은 속도와 반비례한다.
4. 유체속도는 압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동압과 정압의 합은 항상 일정하므로 동압이 커지면 정압은 자아진다.


h: 높이(위치에너지)
v:유체가 흐르는 속도(운동에너지)
P(첫항):압력(일에너지)
p:밀도
32. 프로펠러에 작용하는 하중이 아닌 것은?
① 인장력
② 굽힘력
③ 압축력
④ 비틀림력

제출하기

정답 : ③
- 인장력, 굽힘력, 비틀림력이 작용한다.
- 프로펠러 비행기는 프로펠러를 돌려 앞쪽에서 접근해 오는 기류를 뒤쪽으로 가속하고, 제트 비행기나 로켓 비행기는 연료의 연소로 생기는 고에너지의 가스를 노즐에서 분출 · 가속시킨다. 항공기가 이렇게 기체를 항공기 뒤쪽으로 빠르게 밀어내면 작용 반작용의 법칙 및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의해 항공기는 전진하게 된다.
33. 다음에 열거한 것은 항력의 종류이다. 초경량 동력비행장치에서 발생하지 않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① 마찰항력
② 압력항력
③ 유도항력
④ 조파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④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34.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하고자 할 때 관제기관의 승인을 얻지 않아도 되는 지역으로 맞는 것은?
① 관제공력
② MOA(MILITARY OPERATION AREA)
③ 주의공역
④ 초경량비행장치 전용공역의 지역

제출하기

정답 : ④
항공정보간행물(AIP)에서 고시된 18개 공역에서 지상고 500ft 이내는 비행계획승인 없이 비행가능한 공역이다. 즉, 초경량비행장치 전용공역이다.
UA2~UA7, UA9, UA10, UA14, UA19~UA27
35. 겨울에는 대륙에서 해양으로 여름에는 해양에서 대륙으로 부는 바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편서풍
② 계절풍
③ 해풍
④ 대륙풍

제출하기

정답 : ②
- 계절풍은 겨울과 여름의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로 인해서 생긴다.
36. 항공종사자의 혈중 알코올농도 제한 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혈중 알코올 농도 0.02% 이상
② 혈중 알코올 농도 0.06% 이상
③ 혈중 알코올 농도 0.03% 이상
④ 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
37.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 시험 응시자의 자격으로 맞는 것은?
① 만 14세
② 만 16세
③ 만 18세
④ 만 20세

제출하기

정답 : ①
교관자격증은 20세 이상
38. 공기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으로 맞는 것은?
① 정압
② 동압
③ 벤츄리 압력
④ 전압-정압

제출하기

정답 : ①
정압은 유체속에 잠겨있는 한 지점에서 상,하,좌,우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압력이 작용.
39. 항공기에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① 금속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② 금속보다 오래 견디기 때문에
③ 금속보다 가볍기 때문에
④ 열에 강하기 때문에

제출하기

정답 : ③
무조건 가벼워야 된다. 그리고 튼튼해야 한다.
40. 연료탱크는 온도팽창을 고려하여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어느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한가?
① 2% 이상
② 4% 이상
③ 6% 이상
④ 8% 이상

제출하기

정답 : ①
2% 이상
예상문제5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