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펠러의 역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양력발생
② 추력발생
③ 항력발생
④ 중력발생

제출하기

정답 : ④
프로펠러는 양력, 추력, 항력을 발생시킨다.
2. 무인 멀티콥터가 이륙할 때 필요 없는 장치는 무엇인가?
① 모터
② 변속기
③ 배터리
④ GPS

제출하기

정답 : ④
GPS는 위도, 경도, 고도 를 알려줌.
3. 착빙에 관하여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추력감소
② 항력증가
③ 양력증가
④ 실속 속도증가
4. 프로펠러의 피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프로펠러가 블레이드 각의 기준선이다.
② 프로펠러가 한번 회전할 때 전방으로 진행한 이동 거리를 기하학적 피치라 한다.
③ 프로펠러가 한번 회전할 때 전방으로 진행한 실제 거리를 기하학적 피치라 한다.
④ 바람의 속도가 증가할 때 프로펠러의 회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치를 감소시킨다.
5. 비행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조종기 외부 깨짐을 확인
② 보조 조종기의 점검
③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
④ 기체 각 부품의 상태 및 파손 확인

제출하기

정답 : ②
핵심적인 것을 먼저 생각.
주 조종기를 점검해야 한다.
6. 운량의 표시방법 중 3/8~4/8을 어떻게 표시를 하는가?
① FEW
② SCT
③ BKN
④ OVC
7. 조종기 관리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조종기는 하루에 한번 씩 체크를 한다.
② 조종기 점검은 비행 전 시행을 한다.
③ 조종기 장기 보관 시 배터리 컨넥터를 분리한다.
④ 조종기는 22~28℃ 상온에서 보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비행할 때 마다 조종기 체크를 한다.
8. 비행 중 떨림 현상이 발견되었을 때 착륙 후 올바른 조치 상황을 모두 고르시오.
가. rpm을 낮추고 낮게 비행한다.
나. 프로펠러와 모터의 파손 여부를 확인한다.
다. 조임쇠와 볼트의 잠김 상태를 확인한다.
라. 기체의 무게를 줄인다.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나, 라
④ 다, 라

제출하기

정답 : ②
떨림 현상이면 기체 자체 점검부터 한다. 기체의 떨림은 프로펠러와 모터 사이의 관계가 대부분 원인이다.
9. 어떠한 조건하에서 진고도(true altitude)는 지시고도 보다 낮게 지시하는가?
① 표준 공기 온도보다 추울 때
② 표준 공기 온도보다 더울 때
③ 밀도 고도가 지시고도 보다 높을 때
④ 기압고도와 밀도고도가 일치할 때

제출하기

정답 : ①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10. 두 기단이 만나서 정체되는 전선은 무엇인가?
① 온난전선
② 한냉전선
③ 정체전선
④ 폐색전선

제출하기

정답 : ③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11. 난기류(Turbulence)를 발생하는 주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안정된 대기상태
② 바람의 흐름에 대한 장애물
③ 대형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후류
④ 기류의 수직 대류형상

제출하기

정답 : ①
안전된 대기는 난기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12. 양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양력은 항상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받음각의 영향을 받는다.
③ 속도의 변화가 없으며 양력은 변화가 없다.
④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한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13. 멀티콥터는 언제 제일 열이 많이 발생하는가?
① 무거운 짐을 많이 실었을 때
② 기온이 30도 이상일 때
③ 착륙할 때
④ 조종기에서 조작키를 잡고 있을 때

제출하기

정답 : ①
멀티콥터는 무조건 가벼워야 오래날수 있고 기동이 편하다.
무게가 무거울 수록 배터리 소모가 많이 든다. 즉 전류소비가 많다
전류소비가 많다는 것은 열이 많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14. 뉴턴의 법칙 중 토크와 관련 있는 법칙은 무엇인가?
①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② 관성의 법칙
③ 가속의 법칙
④ 베르누이정리

제출하기

정답 : ①
F=ma 뉴턴의 제2법칙 : 엔진분사된 추력으로 나가면서 유체에 가해지는 힘.
뉴턴의 제3법칙 : 엔진노즐에 나가는 유체가 엔진에 가하는 힘-작용과 반작용
15. 시정 장애물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황사
② 안개
③ 스모그
④ 강한비
16. 항공기의 비행 시 조종자의 특별한 주의 경계 식별 등이 필요한 공역은 어느 것인가?
① 관제공역
② 통제공역
③ 주의공역
④ 비관제공역
17. 초경량비행장치 신고번호를 발급하는 기관은 어느 곳인가?
① 국방부
② 국토교통부
③ 지방항공청
④ 한국교통안전공단
18. 다음 중 통제공역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금지구역
② 비행제한구역
③ 군작전구역
④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
19. 대기온도, 대기압에 적당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1,03215hpa
② 760mmHG
③ 해수면 온도 섭씨 15도, 화씨 59도
④ 29.92inHg

제출하기

정답 : ①
1기압 = 1atm = 760mmHg = 760Torr
대기의 온도 : 지면에서 약 1.5m 높이의 백엽상 속에 온도계를 두어 측정한다. 기온은 높이에 따라 100m 당 0.5~0.6 ℃의 비율로 감소한다.
20. 신고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초경량비행장치는?
①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② 7미터를 초과하는 무인비행선
③ 초경량 헬리콥터
④ 사용하지 않고 보관해 놓은 무인비행기
21. 드론을 운용하다가 갑자기 나타나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으로 틀린 것은?
① 심장 박동수 증가
② 혈당치 증가
③ 간에서 생성된 글리코겐(글리코젠)증가
④ 신진 대사율 향신

제출하기

정답 : ③
의학적으로 접근 : 스트레스 -> 심장박동수증가, 혈당치 증가, 대사율 향신
22. 신고해야 할 기체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동력비행장치
② 초소형 헬리콥터
③ 초소형 자이로플레인
④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23. 우시정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우시정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②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는 것이다.
③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④ 방향에 따라 보이는 시정이 다를 때 가장 작은 값으로부터 더해 각도의 합계가 180도 이상이 될 때의 값을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시정(VIS, visibility)이란 일정 방향의 목표물이 보이면서 동시에 그 형상을 식별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말한다. 우리나라나 일본, 미국 등 일부 나라에서는 우시정(prevailing visibility)을 채용하고 있다. 우시정이란 방향에 따라 보이는 시정이 다를 때 가장 큰 값으로부터 그 값이 차지하는 부분의 각도를 더해가서 합친 각도의 합계가 180도 이상이 될 때의 가장 낮은 시정 값을 말한다. 쉽게 표현하자면 적어도 공항 면적의 50%이상에서 보이는 “거리의 최저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의 측정을 위해 공항 곳곳에 관측장비를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우시정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 시정의 종류
1. 우시정 : 수평원의 반원 이상을 차지하는 시정. 시정이 방향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각 시정에 해당하는 범위의 각도를 시정 값이 큰 쪽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합해 180도 이상이 되는 경우의 시정값을 우시정으로 한다.
2. 최단 시정 : 방향에 따라 시정이 다른 경우에 그 중에서 가장 짧은 시정을 말한다.
3. 비해 시정 : 비행 중인 항공기 조종실에서 전방의 물체를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최대 거리.
4. 활주로 시정 : 시정 측정장비와 기상관측자에 의한 활주로 수평 시정을 의미.
5. 활주로 가시거리 : 항공기가 접지하는 지점의 조종사 평균높이(지상에서 약5m)에서 활주로의 이/착륙 방향을 봤을 때, 활주로 등화, 표식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

시정 : 지상의 측정장지와 기상관측자에 의해 수평으로 측정된 가시거리.
우시정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24. 비행승인을 받기 위해 서류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관은 어느 곳인가?
① 지방항공청
② 국방부
③ 교통안전공단
④ 국토교통부
25. 조종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시 보관 방법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케이스와 같이 보관한다.
② 장기간 보관 시 배터리 컨넥터를 분리한다.
③ 방전 후에 사용을 할 수 있다.
④ 온도에 상관없이 보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조종기는 배터리로 구동한다.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시 배터리를 빼는게 좋다.
26. 양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법칙은?
① 파스칼 원리
② 에너지 보존 법칙
③ 베르누이 정리
④ 작용과 반작용법칙

제출하기

정답 : ③
양력의 발생원리는 베르누이 정리에서 설명할 수 있다.
27. 고기압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선이 쉽게 만들어진다.
② 가장 바깥쪽에 있는 닫힌 등압선까지의 거리는 1000km 이상 된다.
③ 중심으로 갈수록 기압강도가 낮아져 바람이 약해진다.
④ 북반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것을 고기압이라 하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이라 한다. 기압이란 대기가 지표면을 누르는 힘이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분다. 따라서 고기압권에서는 바람이 흘러나가고, 저기압권에서는 중심부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온다. 두 지역 사이의 기압 차가 클수록 바람이 세게 분다. 고기압은 등압선에서 산의 모습을 나타내는 곳으로, 고기압의 크기는 등압선의 분포로 결정된다. 고기압의 중심부에는 둘레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 나가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고기압 주변에는 하강 기류가 생겨 날씨가 맑다.
시험 나왔음.
28. 드론 하강 시 조작해야 할 조종기의 레버는 어느 것인가?
① 엘리베이터
② 스로틀
③ 에일러론
④ 러더

제출하기

정답 : ②
멀티콥터는 스로틀에 의해 상하 로 움직인다.
엘리베이터는 전진/후진.
에일러론은 좌/우.
러더는 좌우 회전.
29. 배터리 사용 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매 비행 시마다 배터리를 완충시켜 사용한다.
② 정해진 모델의 전용 충전기만 사용한다.
③ 비행 시 저 전력 경고가 표시될 때 즉시 복귀 및 착륙시킨다.
④ 배부른 배터리를 깨끗이 수리해서 사용한다.
30. 초경량비행장치 소유자의 주소이전을 했을 시 몇일 이내에 변경신청을 해야 하는가?
① 15일
② 30일
③ 60일
④ 100일
31. 평균 해수면에서 온도가 15도 일 때 1000ft에서의 온도는 얼마인가?
① 20℃
② 18℃
③ 15℃
④ 13℃

제출하기

정답 : ④
대류권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 분자사이의 마찰이 보다 적어 기온이 낮아 진다. 1000ft 마다 2℃씩 낮아진다.
32. 베르누이 정의로 바르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동압은 공기의 밀도와 비례한다.
② 동압은 공기 흐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 동압은 부딪히는 면적에 비례한다.
④ 동압은 정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33. 항공장애등 설치 높이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300ft AGL
② 500ft AGL
③ 300ft MSL
④ 500ft MSl

제출하기

정답 : ②
500ft(AGL),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m 이상 높이의 구조물.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34. 자이로플레인은 어느 항공기에 속하는가?
① 계류식 비행장치
② 동력비행장치
③ 회전익 비행장치
④ 모터비행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③
- 공기력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익(回轉翼)으로 양력(揚力)을 얻고,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회전익 항공기를 말한다.
- 헬리콥터와 모양이 비슷하다고 해서 “자이로 콥터“라고도 불리는 자이로 플레인은 초경량 비행기의 일종으로 ULM(Ultra Light Motor : 초경량비행기의 한 종류)에 속한다.
35. 비행정보를 고시할 때 어디를 통해서 고시를 하는가?
① 관보
② 일간신문
③ 항공협회 회람
④ 항공협회 정기 간행물

제출하기

정답 : ①
비행정보->관보
36. 박리현상에 의한 상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양력증가
② 유도항력증가
③ 기체손상
④ 조종능력 상실

제출하기

정답 : ①
박리현상 : 항공기(날개)가 유체를 가르고 비행하는데 위쪽공기가 날개표면을 따라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고 경계층이서 떨어져나가 양력을 잃는 현상입니다.
박리:떨어져나간다.
37. 항공정보 간행물은 무엇인가?
① NOTAM
② AIP
③ AIC
④ AIRA

제출하기

정답 : ②
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AIP)
38. 법령, 규정, 절차 및 시설 등의 변경이 장기간 예상되는 설명과 조업 정보를 통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항공 고시보(NOTAM)
② 항공정보 간행물(AIP)
③ 항공정보 회람(AIC)
④ AIRAC

제출하기

정답 : ③
Aeronautical Informational Circular(AIC)
- 비행장또는 활주로의 설치, 폐쇄 또는 운용상 변경
- 무선항행과 공지통신업무의 운영성능의 중요한 변경, 설치
- 시각보조시설의 설치, 철거 또는 중요한 변경
- 항행업무절차의 신설, 폐지 또는 중요한 변경
- 수색구조시설 및 업무에 대한 중요한 변경
- 항행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소의 발생
39. 조종자가 서로 논평을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못하는 부분만 찾아서 꾸짖는다.
② 서로 대화하며 문제점을 찾는다.
③ 일상생활의 이야기 한다.
④ 상대방의 의견에 변론을 제기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문제점을 찾아야 한다.
40. 구름의 생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냉각
② 수증기
③ 온난전선
④ 빙정핵(응결핵)

제출하기

정답 : ③
지표 부근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게 되면 주변 기압이 낮아져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기온은 하강하게 된다. 기온이 하강하면 그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이 작아지고 습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져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예상문제4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