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어떠한 조건하에서 진고도(true altitude)는 지시고도 보다 낮게 지시하는가?
① 표준 공기 온도보다 추울 때
② 표준 공기 온도보다 더울 때
③ 밀도 고도가 지시고도 보다 높을 때
④ 기압고도와 밀도고도가 일치할 때
정답 : ①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10. 두 기단이 만나서 정체되는 전선은 무엇인가?
① 온난전선
② 한냉전선
③ 정체전선
④ 폐색전선
정답 : ③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23. 우시정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우시정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②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는 것이다.
③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④ 방향에 따라 보이는 시정이 다를 때 가장 작은 값으로부터 더해 각도의 합계가 180도 이상이 될 때의 값을 말한다.
정답 : ④
시정(VIS, visibility)이란 일정 방향의 목표물이 보이면서 동시에 그 형상을 식별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말한다. 우리나라나 일본, 미국 등 일부 나라에서는 우시정(prevailing visibility)을 채용하고 있다. 우시정이란 방향에 따라 보이는 시정이 다를 때 가장 큰 값으로부터 그 값이 차지하는 부분의 각도를 더해가서 합친 각도의 합계가 180도 이상이 될 때의 가장 낮은 시정 값을 말한다. 쉽게 표현하자면 적어도 공항 면적의 50%이상에서 보이는 “거리의 최저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의 측정을 위해 공항 곳곳에 관측장비를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우시정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 시정의 종류
1. 우시정 : 수평원의 반원 이상을 차지하는 시정. 시정이 방향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각 시정에 해당하는 범위의 각도를 시정 값이 큰 쪽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합해 180도 이상이 되는 경우의 시정값을 우시정으로 한다.
2. 최단 시정 : 방향에 따라 시정이 다른 경우에 그 중에서 가장 짧은 시정을 말한다.
3. 비해 시정 : 비행 중인 항공기 조종실에서 전방의 물체를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최대 거리.
4. 활주로 시정 : 시정 측정장비와 기상관측자에 의한 활주로 수평 시정을 의미.
5. 활주로 가시거리 : 항공기가 접지하는 지점의 조종사 평균높이(지상에서 약5m)에서 활주로의 이/착륙 방향을 봤을 때, 활주로 등화, 표식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
시정 : 지상의 측정장지와 기상관측자에 의해 수평으로 측정된 가시거리.
우시정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시정(VIS, visibility)이란 일정 방향의 목표물이 보이면서 동시에 그 형상을 식별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말한다. 우리나라나 일본, 미국 등 일부 나라에서는 우시정(prevailing visibility)을 채용하고 있다. 우시정이란 방향에 따라 보이는 시정이 다를 때 가장 큰 값으로부터 그 값이 차지하는 부분의 각도를 더해가서 합친 각도의 합계가 180도 이상이 될 때의 가장 낮은 시정 값을 말한다. 쉽게 표현하자면 적어도 공항 면적의 50%이상에서 보이는 “거리의 최저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의 측정을 위해 공항 곳곳에 관측장비를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우시정 제도를 채용하고 있다.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 시정의 종류
1. 우시정 : 수평원의 반원 이상을 차지하는 시정. 시정이 방향에 따라 다른 경우에는 각 시정에 해당하는 범위의 각도를 시정 값이 큰 쪽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합해 180도 이상이 되는 경우의 시정값을 우시정으로 한다.
2. 최단 시정 : 방향에 따라 시정이 다른 경우에 그 중에서 가장 짧은 시정을 말한다.
3. 비해 시정 : 비행 중인 항공기 조종실에서 전방의 물체를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최대 거리.
4. 활주로 시정 : 시정 측정장비와 기상관측자에 의한 활주로 수평 시정을 의미.
5. 활주로 가시거리 : 항공기가 접지하는 지점의 조종사 평균높이(지상에서 약5m)에서 활주로의 이/착륙 방향을 봤을 때, 활주로 등화, 표식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
시정 : 지상의 측정장지와 기상관측자에 의해 수평으로 측정된 가시거리.
우시정 : 최대치의 수평 시정을 말하며 관측자로부터 수평원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는 시정.
27. 고기압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선이 쉽게 만들어진다.
② 가장 바깥쪽에 있는 닫힌 등압선까지의 거리는 1000km 이상 된다.
③ 중심으로 갈수록 기압강도가 낮아져 바람이 약해진다.
④ 북반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정답 : ①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것을 고기압이라 하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이라 한다. 기압이란 대기가 지표면을 누르는 힘이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분다. 따라서 고기압권에서는 바람이 흘러나가고, 저기압권에서는 중심부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온다. 두 지역 사이의 기압 차가 클수록 바람이 세게 분다. 고기압은 등압선에서 산의 모습을 나타내는 곳으로, 고기압의 크기는 등압선의 분포로 결정된다. 고기압의 중심부에는 둘레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 나가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고기압 주변에는 하강 기류가 생겨 날씨가 맑다.
시험 나왔음.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것을 고기압이라 하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이라 한다. 기압이란 대기가 지표면을 누르는 힘이다. 공기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분다. 따라서 고기압권에서는 바람이 흘러나가고, 저기압권에서는 중심부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온다. 두 지역 사이의 기압 차가 클수록 바람이 세게 분다. 고기압은 등압선에서 산의 모습을 나타내는 곳으로, 고기압의 크기는 등압선의 분포로 결정된다. 고기압의 중심부에는 둘레를 향하여 바람이 불어 나가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고기압 주변에는 하강 기류가 생겨 날씨가 맑다.
시험 나왔음.
38. 법령, 규정, 절차 및 시설 등의 변경이 장기간 예상되는 설명과 조업 정보를 통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항공 고시보(NOTAM)
② 항공정보 간행물(AIP)
③ 항공정보 회람(AIC)
④ AIRAC
예상문제4회 | ||||
1 | ① | ② | ③ | ④ |
2 | ① | ② | ③ | ④ |
3 | ① | ② | ③ | ④ |
4 | ① | ② | ③ | ④ |
5 | ① | ② | ③ | ④ |
6 | ① | ② | ③ | ④ |
7 | ① | ② | ③ | ④ |
8 | ① | ② | ③ | ④ |
9 | ① | ② | ③ | ④ |
10 | ① | ② | ③ | ④ |
11 | ① | ② | ③ | ④ |
12 | ① | ② | ③ | ④ |
13 | ① | ② | ③ | ④ |
14 | ① | ② | ③ | ④ |
15 | ① | ② | ③ | ④ |
16 | ① | ② | ③ | ④ |
17 | ① | ② | ③ | ④ |
18 | ① | ② | ③ | ④ |
19 | ① | ② | ③ | ④ |
20 | ① | ② | ③ | ④ |
21 | ① | ② | ③ | ④ |
22 | ① | ② | ③ | ④ |
23 | ① | ② | ③ | ④ |
24 | ① | ② | ③ | ④ |
25 | ① | ② | ③ | ④ |
26 | ① | ② | ③ | ④ |
27 | ① | ② | ③ | ④ |
28 | ① | ② | ③ | ④ |
29 | ① | ② | ③ | ④ |
30 | ① | ② | ③ | ④ |
31 | ① | ② | ③ | ④ |
32 | ① | ② | ③ | ④ |
33 | ① | ② | ③ | ④ |
34 | ① | ② | ③ | ④ |
35 | ① | ② | ③ | ④ |
36 | ① | ② | ③ | ④ |
37 | ① | ② | ③ | ④ |
38 | ① | ② | ③ | ④ |
39 | ① | ② | ③ | ④ |
40 | ① | ② | ③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