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다음 보기에서 항공기의 진로 우선순위 중 맞는 것은?
A. 지상에 있어서 운행 중인 항공기
B. 착륙을 위하여 최종진입의 진로에서 있는 항공기
C. 착륙 조작을 행하고 있는 항공기
D. 비행 중의 항공기
B. 착륙을 위하여 최종진입의 진로에서 있는 항공기
C. 착륙 조작을 행하고 있는 항공기
D. 비행 중의 항공기
① D-C-A-B
② B-A-C-D
③ C-B-A-D
④ B-C-A-D
정답 : ③
- 기구류 > 활공기 > 비행선 > 예항기 > 항공기 > 동력항공기
- 착륙중 > 착륙접근중 > 지상이동중 > 비행중
- 활공기 > 최종접근 단계의 항공기 > 낮은 고도 > 높은 고도
- 우측 > 좌측, 같은 기종의 항공기끼리 만났을 때는 오른쪽에 우선권이 있지만 종류가 다를 때는 성능이 뒤떨어지는 비행기에게 우선권이 있다.
항공법시행규칙 제178조(통행의 우선순위)
① 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고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1. 동력항공기는 비행선, 활공기 및 기구(氣球)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2. 동력항공기는 항공기 또는 물건을 예항(曳航)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3. 비행선은 활공기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4. 활공기는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5.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할 것
② 비행 중이거나 지상 또는 수상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는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접근 중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③ 착륙을 위하여 비행장에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최종 접근단계에 있는 다른 항공기의 전방에 끼어들거나 그 항공기를 추월해서는 아니 된다.
④ 제③항에도 불구하고 동력항공기는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⑤ 비상착륙하는 항공기를 인지한 항공기는 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⑥ 비행장 안의 기동지역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는 이륙 중이거나 이륙하려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 기구류 > 활공기 > 비행선 > 예항기 > 항공기 > 동력항공기
- 착륙중 > 착륙접근중 > 지상이동중 > 비행중
- 활공기 > 최종접근 단계의 항공기 > 낮은 고도 > 높은 고도
- 우측 > 좌측, 같은 기종의 항공기끼리 만났을 때는 오른쪽에 우선권이 있지만 종류가 다를 때는 성능이 뒤떨어지는 비행기에게 우선권이 있다.
항공법시행규칙 제178조(통행의 우선순위)
① 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고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1. 동력항공기는 비행선, 활공기 및 기구(氣球)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2. 동력항공기는 항공기 또는 물건을 예항(曳航)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3. 비행선은 활공기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4. 활공기는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5.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할 것
② 비행 중이거나 지상 또는 수상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는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접근 중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③ 착륙을 위하여 비행장에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최종 접근단계에 있는 다른 항공기의 전방에 끼어들거나 그 항공기를 추월해서는 아니 된다.
④ 제③항에도 불구하고 동력항공기는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⑤ 비상착륙하는 항공기를 인지한 항공기는 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⑥ 비행장 안의 기동지역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는 이륙 중이거나 이륙하려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24. 다음에 열거한 것은 항력의 종류이다. 초경량동력비행장치에서 발생하지 않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① 마찰항력
② 압력항력
③ 유도항력
④ 조파항력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6. 초경량비행장치로 비행 중 정면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다른 초경량비행장치를 발견하였다. 적절한 비행방법으로 맞는 것은?
① 지면에 충돌 위험이 없는 범위 내에서 상대 비행 장치의 아래쪽으로 진행하여 교차한다.
② 상대 비행 장치가 나의 왼쪽으로 기수를 바꿀 것이므로 나는 오른쪽으로 기수를 바꾼다.
③ 상대 비행장치의 진로 변경을 알 수 없으므로 상대 비행 장치가 기수를 바꿀 때까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④ 신속하게 상대 비행 장치의 진로를 신속히 파악하여 같은 진로로 기수를 변경한다.
29. 기압 고도계를 구비한 비행기가 일정한 계기 고도를 유지하면서 기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비행할 때 기압 고도계의 지침 상태는?
① 실제 고도 보다 높게 지시한다.
② 실제 고도와 일치한다.
③ 실제 고도 보다 낮게 지시한다.
④ 실제 고도보다 높게 지시한 후에 서서히 일치한다.
정답 : ③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30. 빠른 한랭전선이 온난전선에 따라붙어 합쳐서 중복된 부분을 무슨 전선이라 부르는가?
① 정체전선
② 대류성 한냉전선
③ 북태평양 고기압
④ 폐색전선
정답 : ④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 온난 전선 :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 위를 미끄러지듯이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여 전선의 폭이 넓고, 층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강수 구역에 약한 비가 지속적으로 내린다.
- 한랭 전선 : 한랭 기단이 온난 기단 밑으로 파고들어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려 형성된다. 전선의 기울기가 가파르기 때문에 전선의 폭이 좁고, 적운형의 구름이 발달한다. 따라서 강수 구역이 좁고 짧은 시간에 소나기 형태로 비가 내린다.
- 정체 전선 : 한랭 전선은 찬 기류가 따뜻한 기류보다 강한 것이고, 온난 전선은 따뜻한 기류가 찬 기류보다 강한 것이다. 한랭 기단과 온난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 때에는 전선이 이동하지 않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초여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장마 전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마 전선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약 한 달간 영향을 미치며,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비가 자주 내린다.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겹쳐지면서 형성된다. 한랭 전선은 온난 전선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 잡으면 온난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간다.
대부분의 폐색 전선이 여기에 해당하지만 반대로 한랭 전선이 상공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33.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하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주의 공역은 지방항공청장의 비행계획 승인만으로 가능하다.
② 통제 공역의 비행계획 승인을 신청할 수 없다.
③ 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은 관할 기관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④ CTA(CIVIL TRAINING AREA) 비행승인이 없이 비행이 가능하다.
36. 공기밀도는 습도와 기압이 변화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공기밀도는 기압에 비례하며 습도에 반비례한다.
② 공기밀도는 기압과 습도에 비례하며 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공기밀도는 온도에 비례하고 기압에 반비례한다.
④ 온도와 기압의 변화는 공기밀도와는 무관한다.
예상문제10회 | ||||
1 | ① | ② | ③ | ④ |
2 | ① | ② | ③ | ④ |
3 | ① | ② | ③ | ④ |
4 | ① | ② | ③ | ④ |
5 | ① | ② | ③ | ④ |
6 | ① | ② | ③ | ④ |
7 | ① | ② | ③ | ④ |
8 | ① | ② | ③ | ④ |
9 | ① | ② | ③ | ④ |
10 | ① | ② | ③ | ④ |
11 | ① | ② | ③ | ④ |
12 | ① | ② | ③ | ④ |
13 | ① | ② | ③ | ④ |
14 | ① | ② | ③ | ④ |
15 | ① | ② | ③ | ④ |
16 | ① | ② | ③ | ④ |
17 | ① | ② | ③ | ④ |
18 | ① | ② | ③ | ④ |
19 | ① | ② | ③ | ④ |
20 | ① | ② | ③ | ④ |
21 | ① | ② | ③ | ④ |
22 | ① | ② | ③ | ④ |
23 | ① | ② | ③ | ④ |
24 | ① | ② | ③ | ④ |
25 | ① | ② | ③ | ④ |
26 | ① | ② | ③ | ④ |
27 | ① | ② | ③ | ④ |
28 | ① | ② | ③ | ④ |
29 | ① | ② | ③ | ④ |
30 | ① | ② | ③ | ④ |
31 | ① | ② | ③ | ④ |
32 | ① | ② | ③ | ④ |
33 | ① | ② | ③ | ④ |
34 | ① | ② | ③ | ④ |
35 | ① | ② | ③ | ④ |
36 | ① | ② | ③ | ④ |
37 | ① | ② | ③ | ④ |
38 | ① | ② | ③ | ④ |
39 | ① | ② | ③ | ④ |
40 | ① | ② | ③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