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항공기가 과하중(over load)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상승각이 적어진다.
② 실속속도가 작아진다.
③ 활공각이 증가한다.
④ 이륙거리가 증가한다.
2. 착빙(ic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력과 무게를 증가시켜 추진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은 증가시킨다.
② 거친 착빙도 항공기 날개의 공기 역학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착빙은 날개뿐만 아니라 Carburetor, Pitot관 등에도 발생한다.
④ 습한 공기가 기체 표면에 부딪치면서 결빙이 발생하는 현상
3. 해발 150m의 비행장 상공에 있는 비행기 진 고도가 500m라면 이 비행기의 절대고도는 얼마?
① 650m
② 350m
③ 500m
④ 150m
4. 저속으로 비행하는 비행체에 흐르는 공기를 비압축성 흐름이라고 가정할 때 흐름의 떨어짐(박리)가 주원인이 되는 항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압력항력
② 조파항력
③ 마찰항력
④ 유도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③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5. 해수면에서 항공기 고도까지의 고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진고도
② 밀도고도
③ 지시고도
④ 절대고도
6. 주로 봄과 가을에 이동성 고기압과 함께 동진해 와서 따뜻하고 건조한 일가를 나타내는 기단은?
① 오호츠크해기단
② 양쯔강기단
③ 북태평양기단
④ 적도 기단
7. 오늘날 항공기의 weight & balance 를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① 비행시의 효율성 때문에
②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③ 안전을 위해서
④ payload를 늘이기 위해
8. 항공기에 작용하는 4가지 요소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양력(lift)이란 공기의 흐름이 기체표면을 따라 흐를 때 위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② 항력(drag)이란 airfoil이 상대풍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항공 역학적인 힘을 말하며 항공기 전방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③ 추력(thrust)이란 프로펠러 또는 터보제트엔진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항공 역학적인 힘을 말한다.
④ 중력이란 항공기의 무게를 말하며 항공기가 부양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9. 프로펠러 비행기의 항속거리를 크게 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
① 프로펠러 효율을 크게 한다.
② 연료 소비율을 크게 한다.
③ 양항비가 최대인 받음각으로 비행한다.
④ 가로 세로비를 크게 한다.
10. 구름의 형성 요인 중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냉각
② 수증기
③ 온난전선
④ 응결핵

제출하기

정답 : ③
지표 부근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게 되면 주변 기압이 낮아져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기온은 하강하게 된다. 기온이 하강하면 그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이 작아지고 습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져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11. 항공사고조사위원회가 항공사고조사보고서를 작성, 송부하는 기구 또는 국가가 아닌 곳은?
① NASA
② ICAO
③ 항공기제작국
④ 항공기운영국
12. 활공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활공거리를 고도로 나눈 값이다.
② 활공비가 좋다는 것은 활공각이 작다는 것이다.
③ 활공비와 양항비가 같다.
④ 엔진(발동기)의 출력을 완속 상태에서 최대비행거리를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일정한 높이에서 얼마나 멀리 활공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
- 항공기 활공 시 수직 거리 대비 수평 거리의 비율.
- 활공각 : 활공각은 양항비에 반비례한다. 즉, 양항비가 클수록 활공각은 작아진다.
- 활공비 : 활공거리를 활공고도로 나눈 값. 멀리 비행하려면 활공각는 작아야 한다. 활공각이 작다는 것은 양항비가 크다는 것이다.
13. 강수의 구분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가랑 비
② 우박
③ 눈싸라기
④ 눈
14. 다음 중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시설은?
① 항공등화
② 항행안전무선시설
③ 풍향등
④ 착륙방향지시등
15. 배터리를 떼어낼 때의 순서는?
① 아무거나 무방하다.
② 동시에 떼어낸다.
③ +극을 먼저 떼어낸다.
④ -극을 먼저 떼어낸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전기 공학 입장에서는 사실 아무것이나 때도 상관없다. 그러나, 실제 전류는 -에서 +로 전자가 이동한다(이론적으로는 +에서 -로 전기가 이동한다). 그리하여 -극에 동판이 넓은 이유와 선이 굵은(노이즈 및 전류양 좋게하기 위해) 이유이기도 하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많이 접지된 부분을 먼저 때어내야 하기 때문인것 같다.
16. 진행하는 항공기 날개에 상하로 흐르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은 어떤 원리인가?
① 작용-반작용의 법칙
② 가속도의 법칙
③ 베르누이의 정리
④ 관성의 법칙
17. 물리량 중 스칼라량이 아닌 것은?
① 질량
② 부피
③ 길이
④ 중량

제출하기

정답 : ④
스칼라량은 길이, 질량, 시간, 밀도, 온도, 면적 등
스칼라 반대는 벡터
18. 초경량항공기로 인한 사람의 사상 또는 물건의 손괴 사고시 항공사고조사단의 구성분야가 아닌 것은?
① 기체분야
② 엔진분야
③ 전기분야
④ 조종실음성기록장치분야

제출하기

정답 : ④
항공기 비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것 생각.
19. 다음의 과태료 규정 중 틀린 것은?
① 안정성인증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비행한 자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②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신고번호 표시 위반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비행금지구역을 비행승인 없이 비행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0. 안개가 발생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① 대기의 성층이 안정할 것
② 냉각작용이 있을 것
③ 강한 난류가 존재할 것
④ 바람이 없을 것

제출하기

정답 : ③
안개는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다. 본질적으로는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나, 구름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형성되며, 흡습성의 작은 입자인 응결핵이 있으면 잘 형성된다. 하층운이 지표면까지 하강하여 생기기도 한다.
21. 정상선회를 시도하는 중 조종자의 몸이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쏠리는 느낌을 받았을 때의 상황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장치의 경사각(Bank)이 정상보다 작다.
② 러더(Rudder)의 조작량이 정상보다 작다.
③ 내활(Slip) 상태이므로 스핀(Spin)의 위험이 있다.
④ 경사각을 줄여야한다.
22. 날개의 면적은 변함이 없이 같은 조건으로 날개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크게 했을 경우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유도항력계수가 작아진다.
②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③ 유도항력이 작아지고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④ 유도항력이 커지고 착륙거리가 짧아진다.
23. 다음 중 2차 전지에 속하지 않는 배터리는?
①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② 니켈수소(Ni-MH) 배터리
③ 니켈카트뮴(Ni-Cd) 배터리
④ 알카라인 전지

제출하기

정답 : ④
충전을 할수 없는 건전지를 1차 전지라고 하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1차 전지로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가 있습니다.
24. 항법의 4요소는 무엇인가?
① 위치, 거리, 속도, 자세
② 위치, 방향, 거리, 도착예정시간
③ 속도, 유도, 거리, 방향
④ 속도, 고도, 자세, 유도,
25. 비행장치에 작용하는 4가지의 힘이 균형을 이룰 때는 언제인가?
① 가속중일 때
② 지상에 정지 상태에 있을 때
③ 등속도 비행 시
④ 상승을 시작할 때
26. 물리량 중 벡터량이 아닌 것은?
① 속도
② 면적
③ 양력
④ 가속도

제출하기

정답 : ②
벡터량은 변위, 속도, 가속도, 힘, 충격량, 운동량, 전기장 세기, 자기장 등
27. 다음 중 메모리효과가 있는 배터리는 어느 것인가?
①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② 납축전지(연축전지) (Pb)
③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
④ 리튬인산철 (A123) 배터리 (Li-FeP04)

제출하기

정답 : ③
- 전에 충전된 또는 전에 방전된 상태를 기억하는 성질이다.
- 예컨대 90% 충전해서 사용하면 이 상태를 100%로 기억하고, 반대로 10% 남은 상태에서 충전하면 그 상태를 최저로 인식함.
- 니켈카드늄 배터리의 경우 메모리 효과로 인한 사용상의 문제가 많았으며 그 개선방법으로 니켈수소 배터리가 나왔는데 여전히 메모리 효과로 인한 문제가 지속되었다. - 리튬 배터리의 장점이 바로 메모리 효과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28.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기체의 수평 안정판 뒷부분에 부착되어 조종간(Control 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수방향을 상하 운동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키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29.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
① 관제공역: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순서·시기 및 방법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시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공역으로서 관제권 및 관제구를 포함하는 공역
② 비관제공역: 관제공역외의 공역으로서 항공기에게 비행에 필요한 조언·비행정보등을 제공하는 공역
③ 통제공역: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는 공역
④ 경계공역: 항공기의 비행시 조종사의 특별한 주의·경계·식별등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공역
30. 날개의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공기흐름방향의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②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동체의 세로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③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기체의 수평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④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비행장치의 전진력에 대한 저항력이다.
31.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고도계 조정 없이 비행하면 고도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① 해면 위 실제 고도보다 낮게 지시
② 해면 위 실제 고도 지시
③ 해면 위 실제 고도보다 높게 지시
④ 변화하지 않는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32. 기온과 이슬점 기온의 분포가 5% 이하일 때 예측 대기 현상은?
① 서리
② 이슬비
③ 강수
④ 안개
33.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순서・시기 및 방법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시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공역은?
① 관제공역
② 비관제공역
③ 통제공역
④ 주의공역
34. 실속(stall)이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① 속도가 없어지므로
② 받음각(AOA)이 너무 커져서
③ 엔진의 출력이 부족해서
④ 불안정한 대기 때문에 비행기의 안정과 조종, 계기, 장비, 역학

제출하기

정답 : ②
비행기의 날개를 절단한 면의 기준선(일반적으로 프로필의 전연과 후연을 연결한 직선. 시위선이라고도 한다)과 기류가 이루는 각도. 영각이라고도 함. 비행기의 자세가 조종이나 무게의 변화 등에 의해 변하면 그 때마다 변하게 되며, 기체(機體)에 고정된 것은 아니다.
35. 지구 중심축의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① 공전
② 자전
③ 전향력
④ 원심력

제출하기

정답 : ②
자전 : 지구의 축 중심 회전
공전 : 지구에서 태양중심 회전, 달은 지구중심 회전.
36. 안전성인증검사를 받지 않은 비행장치를 비행에 사용하다 적발되었을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①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②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4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7. 진로권의 우선순위는?
(1) 지상에 있어서 운행중의 항공기
(2) 착륙을 위하여 최종진입의 진로에 있는 항공기
(3) 착륙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 항공기
(4) 비행중의 항공기
① 4,3,1,2 의 순
② 2,1,3,4 의 순
③ 3,2,1,4 의 순
④ 2,3,1,4 의 순
38. pitot tube을 이용한 계기가 아닌 것은?
① 속도계
② 고도계
③ 선회계
④ 승강계

제출하기

정답 : ③
유체의 흐름 속도를 측정하는 계측 센서로 발명자인 앙리 피토를 기념하여 명명되어 앙리 다르시에 의해 개량되었다. 항공기의 속도계, 풍동 등에 사용된다.
선회계는 항공기의 기수부의 단위시간당 선회각속도를 계측하여 나타내는 계기.
39. 푄 현상의 발생조건이 아닌 것은?
① 지형적 상승현상
② 습한 공기
③ 건조하고 습윤단열감률
④ 강한 기압경도력
40. 비행정보구역(FIR)을 지정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영공통과료 징수를 위한 경계설정
② 항공기 수색·구조에 필요한 정보제공
③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보제공
④ 항공기의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제공

제출하기

정답 : ①
항공기 수색, 구조에 필요한 정보제공,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보제공, 항공기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제공
예상문제4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