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교통관제업무는 항공기 간의 충돌방지, 항공기와 장애물 간의 충돌방지 및 항공교통의 촉진 및 질서유지를 위해 행하는 업무이다. 다음 중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비행장관제업무
② 접근관제업무
③ 지역관제업무
④ 조난관제업무
2. 다음 중 강수현상이 아닌 것은?
① 싸라기
② 눈
③ 우박
④ 대류권

제출하기

정답 : ④
비나 눈, 우박과 같이 대기 중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구름으로부터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강수 즉 비, 이슬비, 눈, 진눈깨비, 싸라기, 얼음싸라기, 작은 우박, 우박, 눈보라 등이 이에 해당.
3. 진고도(True altitude)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항공기와 지표면의 실측 높이이며 “AGL” 단위를 사용한다.
②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 대기압(29.92“ 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③ 평균 해면 고도로부터 항공기까지 실제 높이
④ 고도계를 해당지역이나 인근, 공항의 고도계 수정치 값에 수정했을 때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표준 대기 상태를 수정한 수정 고도로서 이 고도는 평균 해면 고도 위의 실제 높이임
4. 비행기에 고정피치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시운전 중 진동이 느껴졌다. 다음 중 추정되는 원인으로 맞는 것은?
① 프로펠러 장착 볼트의 조임치가 일정하지 않다.
② 프로펠러의 표면이 거칠다.
③ 엔진 출력에 비해 큰 마찰수에 적당한 프로펠러를 장착했다.
④ 프로펠러의 장착과는 관계없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대부분 볼트 조임이 일정치 않고, 프로펠러 플롭반란스가 안맞을 경우다.
5. 항공법이 정하는 비행장이란?
①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
② 항공기를 계류시킬 수 있는 곳
③ 항공기의 이 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활주로
④ 항공기의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는 곳
6. 고도계를 수정하지 않고 온도가 낮은 지역을 비행할 때 실제고도는?
① 낮게 지시한다.
② 높게 지시한다.
③ 변화가 없다.
④ 온도와 무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 고도의 개념상 절대고도계와 상대고도계로 나누어진다. 절대고도는 이른바 해발 몇m라 하는 일정한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로서, 기압식 고도계가 있다. 이것은 대기압이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 기압 고도계(氣壓高度計)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아네로이드 기압계에 높이를 눈금으로 표시한것.
7. 불안정한 공기가 존재하며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이 아닌 것은?
① 권층운
② 권적운
③ 고적운
④ 층적운
8. 항공기의 일반적인 구조물의 안전계수는?
① 1
② 1.5
③ 2
④ 2.5

제출하기

정답 : ②
안전율이라고도 한다. 재료의 기준강도와 허용응력의 비를 구하는 계수.
9.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의 계수 값이 변하지 않는 점을 무슨 점이라 하는가?
① 공기력중심
② 압력중심
③ 반력중심
④ 중력중심

제출하기

정답 : ①
공력중심(공기력중심) : 받음각이 변해도 피칭 모멘트의 값이 변하지 않는 에어포일의 기준점.
10. 다음 중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비행 중 받음각은 변한다.
② 날개골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
③ 받음각이 증가하면 일정한 각까지 양력과 항력이 증가한다.
④ 기체의 중심선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

제출하기

정답 : ④
비행기의 날개를 절단한 면의 기준선(일반적으로 프로필의 전연과 후연을 연결한 직선. 시위선이라고도 한다)과 기류가 이루는 각도
11.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 취소 처분 후 몇 년 후에 재응시 할 수 있는가?
① 2년
② 3년
③ 4년
④ 5년
12. 항공로 지정은 누가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대통령
③ 지방항공청장
④ 국제민간항공기구

제출하기

정답 : ①
항공안전법 제2조(정의)
13. “항공로”(航空路)란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의 길을 말한다.
13.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힘 중 가장 큰 힘은?
① 구심력
② 인장력
③ 비틀림력
④ 원심력

제출하기

정답 : ④
회전을 생각해라!~
14.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조종 자격 증명으로 조종이 가능한 것으로 맞는 것은?
① 초급활공기와 중급활공기
② 특수활공기와 동력비행장치
③ 동력비행장치와 회전익비행장치
④ 초급활공기와 동력비행장치
15. 다음 중 신고를 해야 하는 초경량비행장치로 맞는 것은?
① 낙하산
② 계류식 기구
③ 군사목적동력비행장치
④ 동력비행장치
16. 비행 중 진로를 양보해야 하는 상황으로 틀린 것은?
①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 접근 중인 항공기에 대해 양보한다.
② 착륙을 위하여 접근 중에는 저고도 항공기에 양보한다.
③ 동력비행장치는 무동력비행장치에 대해 양보한다.
④ 뒤따르는 항공기가 나를 추월하고자 하면 우측으로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17. 다음 중 항공장애등 중 중광도 항광장애등의 색채로 맞는 것은?
① 적색
② 백색
③ 황색
④ 청색

제출하기

정답 : ①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18. 뇌우의 활동 단계 중 그 강도가 최대이고 밑면에서는 강수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① 생성단계
② 누적단계
③ 성숙단계
④ 소멸단계
19. 항공안전법에 대한 내용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② 국가, 항공사업자, 항공종사자 등은 이 법에 따른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항공기의 안전과 항행 효율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③ 항공안전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적용하여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④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의 부속서와 무관하게 국내 항공안전에 대한 모든 사항을 규제한다.
20. 꼬리날개(Tail Wing)를 구성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① 플랩, 보조날개, 승강타, 수직안정판
② 방향타, 수직안정판, 승강타, 수평안정판
③ 플랩, 방향타, 수평안정판, 수직안정판
④ 보조날개, 프랩, 방향타, 수평안정판

제출하기

정답 : ②
항공기의 안정을 유지하고 방향을 바꾸는 구실을 하는 항공기의 꼬리 부분. 수평 안전판, 수직 안전판, 방향키, 승강키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미익(尾翼)
21. 다음 중 비행기의 이륙 성능과 대기압력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대기압력의 조건을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맞는 것은?
①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증가
②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증가
③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감소
④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감소

제출하기

정답 : ③
공기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와 습도에 반비례한다.
즉,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는 증가하고, 밀도가 증가하면 양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륙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22. 무풍 상태에서 지상에 계류 중인 비행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①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보다 윗부분을 누르는 압력이 높다.
② 날개의 윗부분의 압력이 아랫부분을 들어 올리는 압력보다 높다.
③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과 윗부분의 압력은 같다.
④ 날개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지상에 계류 중이고 무풍이므로 양역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압력은 날개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은 같을 것이다.
23. 대류권 내에서 기온은 1000ft 마다 몇 도(℃)씩 감소하는가?
① 1℃
② 2℃
③ 3℃
④ 4℃

제출하기

정답 : ②
대류권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 분자사이의 마찰이 보다 적어 기온이 낮아 진다. 1000ft 마다 2℃씩 낮아진다.
24. 주간에 산사면이 햇빛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여 산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산풍
② 곡풍
③ 육풍
④ 푄(fohn)현상

제출하기

정답 : ②
곡풍(골바람) - 골짜기에서부터 산꼭대기로 부는 바람.
산곡풍은 바람이 약한 맑은 날에 나타난다. 산에서는 곡풍(valley wind)과 산풍(mountain wind)이 낮과 밤에 각각 나타난다. 낮에는 산 경사면이 태양 복사에 의해 가열되므로 경사면과 접해 있는 공기는 같은 고도에 위치한(경사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공기보다 더 강하게 가열된다. 그 결과 경사면 바로 위의 가열된 공기는 기압경도력과 상향 부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로 인해 바람이 계곡으로부터 산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불어 간다. 이 바람을 곡풍이라 부른다.
25. 리튬폴리머 배터리 사용상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비행 후 배터리 충전은 상온까지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실시한다.
② 수명이 다 된 배터리는 그냥 쓰레기들과 같이 버린다.
③ 50°C 이상의 온도의 난로근처에 보관한다.
④ 가급적 전도성이 좋은 금속 탁자 등에 두어 보관한다.
26. 비행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진행방향에 대한 좌우 회전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rolling
② pitching
③ yawing
④ side slip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기 동체 축 중심으로 좌우 운동 : rolling
비행기 날개 축 중심으로 아래/위 운동 : pitching
비행기 수직 축 중심으로 좌우 회전 운동 : yawing
27. 다음 설명 중 활공거리가 가장 긴 것으로 맞는 것은?
① 활공각이 작은 경우
② 양항비(L/D)가 작은 경우
③ 활공비가 작은 경우
④ 양항비가 1인 경우

제출하기

정답 : ①
- 활공거리 : 항공기가 엔진을 중지한 상태, 또는 극히 낮은 속력으로 지면을 향하여 비스듬히 내리는 비행 거리.
- 비행기의 활공각(滑空角)은 양력과 항력의 비로 정해지므로, 스포일러를 세워서 양력을 줄이고 그 항력을 크게 하면 활공각, 즉 강하각(降下角)이 증대되므로 착륙진입(着陸進入)할 때 강하각을 가감하는 데 유효하다.
28. 일반적으로 보조날개(alierons)가 날개의 끝에 장착되는데 그 이유는?
① 날개의 구조강도 때문에
② 익단 실속을 지연시키기 위해
③ 나선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④ 보조날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출하기

정답 : ④
보조날개 - 항공기의 좌우 주익(主翼)의 바깥쪽 뒷면에 붙어 있는 가동익(可動翼)으로 기체의 롤링을 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특히 기체가 선회시 기축(기수에서 꼬리를 연하는선)을 중심으로 선회량에 맞는 경사를 주어 일정한 반지름으로 선회 비행이 가능하게 함.
29. 방사안개라고도 하며 습윤한 공기로 덮혀 있는 지표면이 방사 방열한 결과로 하층부터 냉각되어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발생하는 안개는?
① 증기안개
② 땅안개
③ 활승안개
④ 계절풍안개
30. 4행정 기관에서 크랭크축(crank shaft)이 4회전 하는 동안에 몇 번의 폭발이 일어나는가?
① 2번
② 4번
③ 6번
④ 8번

제출하기

정답 : ①
4행정 기관은 흡입-압축-폭발-배기의 4행정을 하여 1사이클이 완료되는 형식이다. 4행정 엔진의 1사이클이 완료되면 크랭크축은 2회전, 캠축은 1회전, 실린더의 흡기,배기밸브는 각1회 여닫는다.
31. 날개구조에서 압축응력에 의한 좌굴을 방지, 휨에 의한 강성을 높이는 부재는 어느 것인가?
① 세로지
② 세로대
③ 외피
④ 날개보

제출하기

정답 : ①
압축응력은 인장응력의 반대 현상으로 비행기가 하강을 하며 외부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비행기를 외부에서 압측시키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따라서 비행기 몸체를 쪼그리려는 힘.
인장응력 - 고공비행을 할 때 기체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 팽창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32. 대기권을 고도에 따라 낮은 곳부터 높은 곳까지 순서대로 바르게 분류한 것은?
① 대류권-성층권-열권-중간권
② 대류권-중간권-열권-성층권
③ 대류권-중간권-성층권-열권
④ 대류권-성층권-중간권-열권
33. 배터리를 오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충전기는 정격 용량이 맞으면 여러 종류 모델 장비를 혼용해서 사용한다.
② 10일 이상 장기간 보관할 경우 100% 만충시켜서 보관한다.
③ 매 비행시마다 배터리를 만충시켜 사용한다.
④ 충전이 다 됐어도 배터리를 계속 충전기에 걸어 놓아 자연 방전을 방지한다.
34. 초경량비행장치로 비행 중 정면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다른 초경량비행장치를 발견하였다. 적절한 비행방법으로 맞는 것은?
① 지면에 충돌 위험이 없는 범위 내에서 상대 비행장치의 아래쪽으로 진행하여 교차한다.
② 상대 비행장치가 나의 왼쪽으로 기수를 바꿀 것이므로 나는 오른쪽으로 기수를 바꾼다.
③ 상대 비행장치로 진로 변경을 알 수 없으므로 상대 비행장치가 기수를 바꿀 때까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④ 상대 비행장치의 진로를 신속히 파악하여 같은 진로로 기수를 변경한다.
35. 응력외피형 구조형식에서 외피(skin)가 주로 담당하는 응력?
① 굽힘력
② 비틀림력
③ 전단력
④ 인장력

제출하기

정답 : ②
비틀림력응력 - 비행기가 이착륙 시 방향전환을 하게 되는 경우와 비행 중 난기류를 만나 비행기의 몸체가 기우뚱 거리게 될 때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비행기의 날개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36. 초경량 동력비행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법으로 정한 보험을 가입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어느 것인가?
① 영리목적으로 사용하는 동력비행장치
② 동호인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패러글라이더
③ 국제대회에 사용하고자 하는 행글라이더
④ 모든 초경량비행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①
영리목적이면 보험 가입 필수
37.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① 같은 크기에 비해 더 큰 용량(에너지 저장밀도가 크다.)
② 높은 전압
③ 중금속을 사용한다.
④ 다양한 형상의 설계가 가능하다.
38. 다음 중 타이어 공기압(팽창압력)의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
① 타이어의 크기
② 외부온도
③ 항공기의 활주속도
④ 항공기의 무게
39.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 취소 사유가 아닌 것은?
① 자격증을 분실한 후 1년이 경과하도록 분실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② 항공법을 위반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 받은 경우
③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④ 항공법에 의한 명령이 위반한 경우

제출하기

정답 : ①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 분실은 재발급 가능하다.
40. 고정 피치 프로펠러(fixed pitch propeller) 설계시 최대 효율 기준은?
① 이륙시
② 상승시
③ 순항시
④ 최대출력 사용시
예상문제6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