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고도계를 수정하지 않고 온도가 낮은 지역을 비행할 때 실제고도는?
① 낮게 지시한다.
② 높게 지시한다.
③ 변화가 없다.
④ 온도와 무관한다.
정답 : ①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 고도의 개념상 절대고도계와 상대고도계로 나누어진다. 절대고도는 이른바 해발 몇m라 하는 일정한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로서, 기압식 고도계가 있다. 이것은 대기압이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 기압 고도계(氣壓高度計)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아네로이드 기압계에 높이를 눈금으로 표시한것.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 고도의 개념상 절대고도계와 상대고도계로 나누어진다. 절대고도는 이른바 해발 몇m라 하는 일정한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로서, 기압식 고도계가 있다. 이것은 대기압이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 기압 고도계(氣壓高度計)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아네로이드 기압계에 높이를 눈금으로 표시한것.
19. 항공안전법에 대한 내용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② 국가, 항공사업자, 항공종사자 등은 이 법에 따른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항공기의 안전과 항행 효율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③ 항공안전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부속서의 표준과 방식을 적용하여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과 효율성을 규정한다.
④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의 부속서와 무관하게 국내 항공안전에 대한 모든 사항을 규제한다.
21. 다음 중 비행기의 이륙 성능과 대기압력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대기압력의 조건을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맞는 것은?
①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증가
②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증가
③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감소
④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감소
24. 주간에 산사면이 햇빛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여 산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산풍
② 곡풍
③ 육풍
④ 푄(fohn)현상
정답 : ②
곡풍(골바람) - 골짜기에서부터 산꼭대기로 부는 바람.
산곡풍은 바람이 약한 맑은 날에 나타난다. 산에서는 곡풍(valley wind)과 산풍(mountain wind)이 낮과 밤에 각각 나타난다. 낮에는 산 경사면이 태양 복사에 의해 가열되므로 경사면과 접해 있는 공기는 같은 고도에 위치한(경사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공기보다 더 강하게 가열된다. 그 결과 경사면 바로 위의 가열된 공기는 기압경도력과 상향 부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로 인해 바람이 계곡으로부터 산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불어 간다. 이 바람을 곡풍이라 부른다.
곡풍(골바람) - 골짜기에서부터 산꼭대기로 부는 바람.
산곡풍은 바람이 약한 맑은 날에 나타난다. 산에서는 곡풍(valley wind)과 산풍(mountain wind)이 낮과 밤에 각각 나타난다. 낮에는 산 경사면이 태양 복사에 의해 가열되므로 경사면과 접해 있는 공기는 같은 고도에 위치한(경사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공기보다 더 강하게 가열된다. 그 결과 경사면 바로 위의 가열된 공기는 기압경도력과 상향 부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로 인해 바람이 계곡으로부터 산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불어 간다. 이 바람을 곡풍이라 부른다.
예상문제6회 | ||||
1 | ① | ② | ③ | ④ |
2 | ① | ② | ③ | ④ |
3 | ① | ② | ③ | ④ |
4 | ① | ② | ③ | ④ |
5 | ① | ② | ③ | ④ |
6 | ① | ② | ③ | ④ |
7 | ① | ② | ③ | ④ |
8 | ① | ② | ③ | ④ |
9 | ① | ② | ③ | ④ |
10 | ① | ② | ③ | ④ |
11 | ① | ② | ③ | ④ |
12 | ① | ② | ③ | ④ |
13 | ① | ② | ③ | ④ |
14 | ① | ② | ③ | ④ |
15 | ① | ② | ③ | ④ |
16 | ① | ② | ③ | ④ |
17 | ① | ② | ③ | ④ |
18 | ① | ② | ③ | ④ |
19 | ① | ② | ③ | ④ |
20 | ① | ② | ③ | ④ |
21 | ① | ② | ③ | ④ |
22 | ① | ② | ③ | ④ |
23 | ① | ② | ③ | ④ |
24 | ① | ② | ③ | ④ |
25 | ① | ② | ③ | ④ |
26 | ① | ② | ③ | ④ |
27 | ① | ② | ③ | ④ |
28 | ① | ② | ③ | ④ |
29 | ① | ② | ③ | ④ |
30 | ① | ② | ③ | ④ |
31 | ① | ② | ③ | ④ |
32 | ① | ② | ③ | ④ |
33 | ① | ② | ③ | ④ |
34 | ① | ② | ③ | ④ |
35 | ① | ② | ③ | ④ |
36 | ① | ② | ③ | ④ |
37 | ① | ② | ③ | ④ |
38 | ① | ② | ③ | ④ |
39 | ① | ② | ③ | ④ |
40 | ① | ② | ③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