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기가 일정고도에서 등속수평비행을 하고 있다. 맞는 조건은?
① 양력=항력, 추력>중력
② 양력=중력, 추력=항력
③ 추력>항력, 양력>중력
④ 추력=항력, 양력<중력

제출하기

정답 : ②
수평이면 양력과 중력이 같아야 되고, 추력과 항력이 같아야 한다.
2. 다음 중 무인동력장치 Mode 2의 수직하강을 하기 위한 올바른 설명은?
① 왼쪽 조종간을 올린다.
② 왼쪽 조종간을 내린다.
③ 엘리베이터 조종간을 올린다.
④ 에이러론 조종간을 조정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왼쪽 조종간을 내려야 한다.
3.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공식용어로 사용하는 무인항공기 용어는?
① Drone
② UAV
③ RPV
④ RPAS

제출하기

정답 : ④
RPAs (Remote Piloted Aircraft)(무인비행기)
4. 착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력과 무게를 증가하여 추진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을 증가시킨다.
② 거친 착빙도 항공기 날개의 공기 역학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착빙은 날개뿐만 아니라 Carburetor, Pitot관 등에도 발생한다.
④ 습한 공기가 기체 표면에 부딪치면서 결빙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①
# 착빙 이란?
착빙은 물체의 표면에 얼음이 달라붙거나 덮여지는 현상. 항공기 착빙은 0도이하에서 대기에 노출된 항공기 날개나 동체 등에 과냉각 수적이나 구름입자가 충돌하여 얼음의 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계류장에 주기 중이거나 공중에서 비행 중에 발생한다. 수증기량이나 물방울의 크기, 항공기나 바람의 속도, 항공기 날개 단면의 크기나 형태등에 영향을 받는다.

# 착빙의 종류
- 거친착빙(Rime Ice)
- 맑은착빙(Clear Ice)
- 서리착빙(Hoar Frost)
- 혼합작빙(Mixed Ice)
- 비착빙(Rain Ice)

# 착빙 설명
- 거친착빙(Rime Ice) : 저온인 작은 입자의 과냉각 물방울이 충돌했을 때 생기며, 수빙이라고도 한다. 0~-20도.
- 맑은착빙(Clear Ice) : 온도가 0~-10도 기온에서 큰 입자의 과냉각 물방울이 충돌할 때 발생한다.
- 서리착빙(Hoar Frost) : 활주로에 주기 중인 항공기에 잘 발생한다.
- 혼합 착빙(Mixed Ice) : 서리 착빙과 맑은 착빙이 혼합된 형태로 매우 밀도가 높기 때문에 큰 위협이 됩니다.
- 비 착빙(Rain Ice) : 아주 특이한 형태의 맑은 착빙으로 울퉁불퉁하고 고르지 못한 형태를 가집니다.

# 착빙의 또 다른 설명
- 맑은 착빙(Clear Ice) : 반짝이는 착빙(Glaze Ice)라고도 불리는 착빙으로, 깨끗하고, 단단하며, 착 달라붙는 형태로 이 착빙도 항공기 기체 주변의 기류 흐름을 방해합니다. 맑고/반짝이는 유리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공기 전면에 형성되면 마치 '뿔(Horns)'이 난 것처럼 앞으로 불룩튀어 나온 형태가 됩니다. 이러한 돌출은 항공기 주변 기류의 정상적인 흐름에 큰 장애가 됩니다. 항공기 전면에 형성된 맑은 착빙을 제거하기 위해서 착빙방지 장치를 작동하면 이 얼음들이 항공기 날개의 위아래나 항공기 동체에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항공기 날개의 기능을 변조시켜 양력 발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혼합 착빙(Mixed Ice) : 서리 착빙과 맑은 착빙이 혼합된 형태로 매우 밀도가 높기 때문에 큰 위협이 됩니다.
- 비 착빙(Rain Ice) : 아주 특이한 형태의 맑은 착빙으로 울퉁불퉁하고 고르지 못한 형태를 가집니다.
- 서리 착빙(Hoar Frost) : 비나 구름이 없는 상태에서 추운 겨울 밤에 외부에 주기되어 있거나 ‘찬 적시기’의 결과로 항공기 외부에 얇은 코팅막을 형성하는 형태로 발생합니다.
- 거친 착빙(Rime Ice) : 일명, 상고대착빙이라고도 불림. 흰색, 다공성, 불투명, 부서지기 쉬운, 거친 형태를 가진 서리 착빙은 항공기 기체 주변 기류의 정상적인 흐름을 깨뜨립니다. 서리 착빙은 항공기 기체 주변의 기류의 관점에서 보면 툭 튀어나와 있는 또 하나의 기체 표면처럼 보일 것입니다. 따라서 착빙으로 인한 항공기 날개 주변의 형태 변화는 날개 표면 위의 기류 흐름을 방해해서 날개의 기능적 효율성을 저하시킵니다.

# 착빙의 영향
- 양력감소, 무게증가, 추력감소, 항력증가 앞날과 날개윗면의 착빙은 양력30%감소 항력40%증가
- 맑은착빙: 단단하고 무거움 0°C~15°C에서 주로 생성
- 거친착빙: 표면에 퍼지기전에 급속냉각 흰색 가볍고 응결력이 약하나 표면이 거칠어 날개골의 공기역학 효율 감소
- 서리: 맑고안정된 대기중에 미풍이불 때 쉽게 거친표면형성 5%~10% 실속률
- 외부발생(거친착빙, 맑은착빙, 혼합착빙)
- 내부발생(기관착빙)
- 익면착빙: 공기흐름을 변화시켜 양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을 증가시켜 실속 위험을 발생.
- 프로펠러 착빙: 프로펠러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속도를 감속시켜 연료가 낭비되고, 프로펠러의 진도을 유발하여 파손될 수 있는 큰 위험을 가지고 있다.
- 연료보조탱크(날개 밑)착빙: 항력이 증가된다.
- 피토관, 정압구 착빙: 조종석의 계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부분에 착빙되면 대기속도나 고도계의 값이 부정확해 지며 안전운항을 위협하게 된다.
- 안테나 착빙: 통신두절.
- 조종석유리착빙: 추운 지역의 이착륙시 발생, 시계장해를 발생.
5. 다음 공역 중 주의공역이 아닌 것은?
① 훈련구역
② 비행제한구역
③ 위험구역
④ 경계구역
6. 1마력은 몇 kg 인가?
① 30kg
② 50kg
③ 75kg
④ 90kg

제출하기

정답 : ③
1HP(마력(horse power)) : 말 한마리가 끄는 힘.
- PS=75㎏ㆍm/s=0.7355kW(프랑스), 1HP=550IbWㆍft/s=746W(영국)
- 일률 또는 동력을 나타내는 단위의 일종.
7.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소유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치는?
① 동력비행장치
② 초경량 헬리콥터
③ 초경량 자이로플레인
④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8.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 중에 초여름 해양성 기단으로 불연속의 장마전선을 이루는 기단은?
① 시베리아 기단
② 양쯔강 기단
③ 오호츠크 기단
④ 북태평양 기단
9.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계획승인 신청 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비행경로 및 고도
② 동승자의 자격 소지
③ 조종자의 비행경력
④ 비행장치의 종류 및 형식
10. 해수면에서의 표준 온도와 표준기압은?
① 15℃, 29.92“inch.Hg
② 59℉, 29.92“Hg
③ 15℉,1013.2“inch.Hg
④ 15℃, 1013.2Hg

제출하기

정답 : ①
15℃, 29.92inch.Hg
11. 다음 중 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가능한 지역은 어느 것인가?
① R-14
② UA
③ MOA
④ P65
12. 표준대기 상태에서 해수면 상공 1000ft 당 상온의 기온은 몇 도씩 감소하는가?
① 1℃
② 2℃
③ 3℃
④ 4℃

제출하기

정답 : ②
대류권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 분자사이의 마찰이 보다 적어 기온이 낮아 진다. 1000ft 마다 2℃씩 낮아진다.
13. 태풍의 세력이 약해져서 소멸되기 직전 또는 소멸되어 무엇으로 변하는가?
① 열대성 고기압
② 열대성 저기압
③ 열대성 폭풍
④ 편서풍

제출하기

정답 : ②
태풍은 지나는 해역의 수온이 높을수록 수증기를 많이 공급받게 되어 세력이 커진다.
차가운 해수면이나 대륙으로 이동하면 수증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육지와의 마찰로 에너지를 잃고 세력이 약해져 열대 저기압이나 온대 저기압으로 변해 소멸한다.
14. 다음 중 토크작용과 관련된 뉴턴의 법칙은?
① 관성의 법칙
② 가속도의 법칙
③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④ 베르누이 법칙

제출하기

정답 : ③
F=ma 뉴턴의 제2법칙 : 엔진분사된 추력으로 나가면서 유체에 가해지는 힘.
뉴턴의 제3법칙 : 엔진노즐에 나가는 유체가 엔진에 가하는 힘-작용과 반작용
15. 다음 중 초경량무인비행장치 비행허가 승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행금지구역(P-73, P-61)비행허가는 군에 받아야 한다.
② 공역이 두 개 이상 겹 칠 때는 우선하는 기관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
③ 군 관제권 지역의 비행허가는 군에서 받아야 한다.
④ 민간 관제권 지역의 비행허가는 국토부의 비행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공역이 두개 이상 겹치더라도 모두 받아야 한다.
16. 초경량비행장치 운영 시 범칙금으로 가장 높은 것은?
① 장치신고, 멸실신고 및 변경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② 조종자 증명 없이 비행한 경우
③ 조종자 비행준수사항을 위반한 경우
④ 안전성 인증검사를 받지 않고 비행한 경우
17. 다음 중 자세를 잡기 위해 브러쉬리스 모터의 속도를 조종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① ESC
② GPS
③ 자이로센서
④ 가속도센서

제출하기

정답 : ①
ESC(Electronic Speed Control) : 전자변속기 - BLDC모터의 속도 제어를 담당한다.
자이로센서: 멀티콥터의 자세를 잡는 센서다.
일반적으로 멀티콥터의 자세를 잡는 것은 첫째로 자이로센서에 의해 자세를 잡고, FC의 MCU가 GPIO포터를 통해서 PWM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이 신호가 ESC에 전달되어 BLDC모터를 구동한다.
이 문제의 핵심은 속도를 조종하는 장치라는 데 있다. 그러므로 로터의 속도를 조종하는 장치는 ESC 이다.
ESC는 FC에서 PWM신호를 수신하여, ESC가 이것을 가공하여 BLDC 모터를 돌린다.
18.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는?
날개골의 임의 지정에 중심을 잡고 받음각의 변화를 주면 기수를 들고 내리게 하는 피칭 모멘토가 발생하는데 이 모멘토의 값이 받음각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점을 말함
① 압력중심
② 공력중심
③ 무게중심
④ 평균공력시위

제출하기

정답 : ②
압력중심: 에어포일 표면에 작용하는 분포된 압력의 힘으로 함 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힘의 작용점. 날개에 있어서 양력과 항력의 합성력(압력)이 실제로 작용하는 적용점으로서 받음각이 변함에 따라 위치가 변함.
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피칭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그 점에 관한 모멘트 값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가상의 점(=공기력 중심).
무게줌심 : 중력에 의한 알짜 토크가 0인 점.
19. 비행정보구역(FIR)을 지정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영공통과료 징수를 위한 경계설정
② 항공기 수색, 구조에 필요한 정보제공
③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보제공
④ 항공기의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제공

제출하기

정답 : ①
항공기 수색, 구조에 필요한 정보제공
항공기 안전을 위한 정보제공
항공기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제공
20. 기압고도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항공기와 지표면의 실측 높이이며, AGL 단위를 사용한다.
②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대기압(29.92 in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③ 기압고도에서 비표준온도와 기압을 수정해서 얻은 고도이다.
④ 고도계를 해당지역이나 인근 공항의 고도계 수정치 값에 수정 했을 때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제출하기

정답 : ②
참고 :
① 절대고도
② 기압고도
③ 밀도고도
④ 지시고도
21. 태풍이 발생하는 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열대성 저기압
② 열대성 고기압
③ 열대성 폭풍
④ 편서풍

제출하기

정답 : ①
열대성 저기압은 지구의 에너지 균형을 맞추려는 작용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태양 에너지가 극지에서는 적고, 적도에서는 많아 열의 불균형이 생김. 이를 자체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열대성 저기압을 통해 저위도의 열을 고위도로 옮기는 것.
22. 멀티콥터 착륙지점으로 바르지 않는 것은?
① 고압선이 없고 평평한 지역
② 바람에 날아가는 물체가 없는 평평한 지역
③ 평평한 해안 지역
④ 평평하면서 경사진 곳

제출하기

정답 : ④
경사진 곳은 기체가 기울어져 프로펠러가 부러지기 쉽다.
23. 6500ft 이하에서 발생하는 구름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① 권층운
② 고층운
③ 적운
④ 층운

제출하기

정답 : ④
- 적운 약3k
- 층운 약2k
층운은 다소 얇고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형태의 구름으로 층운이 깔려
있는 날은 보통 안정된 기류를 나타낸다.

비(nimbus)를 포함한 구름은 난층운(nimbostratus), 적난운(cumulonimbus)이 포함된다.
- 권운/새털구름(cirrus) : 작은 조각이나 흩어져 있는 띠 모양의 구름. 주로 저기압이 형성되기 전에 나타난다.
- 권적운/털쌘구름(cirrocumulus) : 털샌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 . CC, 흰색 또는 회색 반점이나 띠 모양을 한 구름. 종종 줄지은 배열을 보인다.
- 권층운/털층구름(cirrostratus) : 하늘을 완전히 덮어 태양 주변으로 후광을 만들어 내는 희끄무레한 구름.
- 중층운/중층구름(middle clouds) : 2,000~6,000m의 고도에 있는 구름.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
- 고층운/높층구름(altostratus) : 하늘을 완전히 덮고 있으나 후광 현상 없이 태양을 볼 수 있는 회색 구름. 호우를 내리게 한다.
- 고적운/높쌘구름(altocumulus)v 흰색이나 회색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구름. 때때로 나란한 층을 이루며, 저기압이 다가올 징조이다.
- 하층운/밑턱구름(low clouds) :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간간이 섞여 있는 구름. 고도가 2,000m를 넘지 않으며, 때때로 쉬지 않고 계속되는 비를 내리게 한다.
- 층적운/층쌘구름(stratocumulus) : 10종 운형 중 하층운에 속하는 구름으로 층쌘구름, 연속적인 두루마리처럼 둥글둥글한 층으로 늘어선 회색과 흰색의 구름. 대체로 비를 내리게 하지는 않는다.
- 난층운/비층구름(nimbostratus) : 진한회색, 비층구름.Ns, 태양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짙고 어두운 층으로 된 구름. 지속적인 강수의 원인이 된다.
- 적운/쌘구름(cumulus) : 갠 날씨의 윤곽이 매우 뚜렷한 구름. 밑면은 회색이고 편평하며, 윗부분은 흰색이고 둥글게 융기되어 있다.
- 층운/층구름(stratus) : 구름의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음. 이 층운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때도 있다. 가끔 안개비가 내리기도 한다. 안개와 비슷하게 연속적인 막을 만드는 회색 구름. 지상에 닿지는 않고, 약간의 비를 내리게 한다.
- 연직운/연직구름(clouds of vertical development) : 밑면은 낮은 고도에 있지만 매우 높게 솟아 있는 형태의 구름. 적운과 적란운의 두 유형이 있다.
- 적란운/쌘비구름(cumulonimbus) : 세찬 강수를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웅장한 구름. 두께가 10㎞에 이르고 아랫부분은 매우 어둡다.
24. 해풍의 특징으로 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① 주간에 바다에서 육지로 분다.
② 야간에 바다에서 육지로 분다.
③ 주간에 육지에서 바다로 분다.
④ 야간에는 바람이 불지 않는다.

제출하기

정답 : ①
해풍은 주간에 바다에서 육지로 분하는 바람이라고 합니다.
해풍은 바다와 육지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데,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데워지고 밤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식기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바뀝니다.
해풍은 해안가에서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구름이나 강수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25. 다음 안개 설명 중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차가운 지면이나 수면 위로 따뜻한 공기가 이동해 오면, 공기의 밑부분이 냉각되어 응결이 일어나는 안개이다. 대부분 해안이나 해상에서 발생한다.
① 활승안개
② 복사안개
③ 이류안개
④ 증기안개

제출하기

정답 : ③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습한 공기 위를 천천히 지나갈 때 생기는 안개로, 대체로 해안 지방에 형성된다.
26. 비행승인을 받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경로와 고도
② 조종자의 비행경력
③ 비행장치의 재원
④ 조종자의 자격증의 소지 유무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장치의 재원은 기체를 등록할때 필요하다.
27. 무인 멀티콥터가 비행 가능한 지역은 어느 것인가?
① 인파가 많고 차량이 많은 곳
② 전파 수신이 많은 지역
③ 전기줄 및 장애물이 많은 곳
④ 장애물이 없고 안전한 곳
28. 블레이드 종횡비의 비율이 커지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유해항력이 증가한다.
② 활공성능이 좋아진다.
③ 유도항력이 감소한다.
④ 양항비가 작아진다.

제출하기

정답 : ④
날개의 종횡비(ASPECT RATIO) :
날개 가로 길이(SPAN스팬)와 세로길이(CHORD코드)의 비
AR = Span/Chord

종횡비라고도 말하면 일반적으로 AR로 표기를 한다
말 그대로 가로의 길이(날개길이 Span)와 세로의 길이(시위의 길이)와의 비를 말한다.
그러나 세로의 길이는 날개중심부분은 가장 길고, 날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짧어지게 되어 다음가 같이 변형하여 가로 세로비를 구한다
가로세로비 = 날개길이/시위길이 = 날개길이의 제곱/날개면적
가로세로비가 크다는 것은 그 만큼 활공성능이 향상이 된다
따라서 초급 글라이더 보다는중, 고급 글라이더로 갈 수록 가로세로비는
증가를 하게된다
가로세로비가 증가를 하면 동일 면적을 가진 글라이더보다 양력 발생이
많으며 날개 양쪽 끝에 발생하는 익단와류(날개끝 와류 wing tip vortex)의 영향이 적어 유도항력을 적게 받게 된다.
가로세로비가 증가를 하게 되면 양항비(L/D)가 증가하고 양력발생도
증가를 하게되지만 가로세로비가 작은 글라이더보다 실속각이 작아지는
단점도 있다

#항력의 종류
- 형상항력(날개앞 모양에 따른 항력)
- 마찰항력(표면의 거칠기에 따른 항력)
- 유도항력(양력의 영향으로 생기는 항력)
- 조파항력(공기의 압축성 충격파에 의한 항력)
29. 0양력 받음각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실속이 발생할 때의 받음각
② 실속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
③ 양력이 발생할 때의 받음각
④ 양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

제출하기

정답 : ④
0양력 받음각(Zero Lift Angle of Attack)이란 양력이 발생하지 않을때의 받음각입니다. 0양력받음각이 조금만 넘어면 양력이 발생합니다.
실속각(Stalling Angle of Attack)은 양력이 최대로 발생할때의 받음각 입니다.
참고로 실속각은 실속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속각을 조금이라도 넘어면 실속이 발생합니다.
아래 그림 설명 :
y축 즉 세로는 양력계수(청색선)와 실속계수(적색)를 나타내고, x축 즉 가로는 받음각(Angle of Attack)을 나타냅니다.
적색선은 실속계수를 나타냅니다.
청색선은 양력계수를 나타낸것으로 -5는 0양력받음각입니다. 양력계수가 약 18~20 에서 실속각을 나타냅니다. 이 이상은 양력이 감소합니다. 이때가 실속이 발생합니다.
30. 어떠한 조건하에서 진고도(true altitude)는 지시고도 보다 낮게 지시하는가?
① 표준 공기 온도보다 추울 때
② 표준 공기 온도보다 더울 때
③ 밀도 고도가 지시고도 보다 높을 때
④ 기압고도와 밀도고도가 일치할 때

제출하기

정답 : ①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31. 민감한 고도계의 지시에서 온도의 영향에 대해서 맞게 설명한 것은?
① 표준 온도보다 더운 지역에서 항공기는 고도계 지시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② 표준 온도보다 추운 지역에서 항공기는 고도계 지시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③ 표준 온도보다 추운 지역에서 항공기는 고도계 지시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④ 기압 고도계는 온도의 변화를 자체적으로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변화는 없다.

제출하기

정답 : ②
표준기온 섭씨 15도, 화씨59도 이다.
온도 15도 기준으로 기온이 낮다면(추운날씨) 공기분자는 수축하여 지면위에 공기가 많이 분포한다.

기온이 높으면(더운날씨) 공기분자는 팽창하여 하늘 높이 올라가 지면에는 공기가 적어진다.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기압인 29.92[inHg]로 설정하여 비행할 경우
표준기온 15도 보다 온도가 높은 지역을 비행한다면
곰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내려간다. 그러면 해수면 기준 고도인 진고도는 높아진다.
진고도는 29.92[inHg]보다 아래의 고도로, 높은 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높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높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높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표준기온 15도보다 온도가 낮은 추운지역을 비행한다면
공기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기압은 29.92[inHg]보다 올라간다. 진고도보다는 낮아진다.
진고도 29.92보다 위의 고도로, 낮은고도가 되지만, 계기판엔 29.92로 설정해 놓았으니
진고도가 지시고도보다 낮게 된다.(진고도<지시고도)
결론적으로 온도가 낮은지역을 비행한다면 진고도<지시고도 가 된다.
기출문제1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