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비행기의 속도계에 나타난 속도가 아닌 것은?
① 지시속도(IAS)
② 진대기속도(TAS)
③ 대지속도(GS)
④ 계산속도
정답 : ④
1. 지시속도(IAS : Indicated Airspeed)
2. 수정속도(CAS : Calibrated Airspeed)
3. 등가속도(EAS : Equivalent airspeed)
4. 진대기속도(TAS : Ture Airspeed)
5. 대지속도(GS : Ground speed)
1. 지시속도 : 속도계가 지시하는 속도이다. 공기역학적으로 항공기의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단위로 사용되며, 고도 및 기온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수정속도 : IAS + 계기의 장착 오차/계기오차수정 = CAS, 지시속도(IAS)에서 조종사 운용 지침서(POH)에 제시된 차트나 표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3. 등가속도 : CAS + 단열 압축성 흐름을 수정 = EAS
4. 진대기 속도 : CAS + 대기의 압력과 기온의 변화 수정 = TAS
5. 대지속도 : 지상 위를 이동하는 실제 속도. 항공기는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고 맞바람(headwind)는 대지속도(GS)를 감소시키고, 반대로 뒷바람(tailwind)는 대지속도(GS)를 증가시킨다.
1. 지시속도(IAS : Indicated Airspeed)
2. 수정속도(CAS : Calibrated Airspeed)
3. 등가속도(EAS : Equivalent airspeed)
4. 진대기속도(TAS : Ture Airspeed)
5. 대지속도(GS : Ground speed)
1. 지시속도 : 속도계가 지시하는 속도이다. 공기역학적으로 항공기의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단위로 사용되며, 고도 및 기온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2. 수정속도 : IAS + 계기의 장착 오차/계기오차수정 = CAS, 지시속도(IAS)에서 조종사 운용 지침서(POH)에 제시된 차트나 표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3. 등가속도 : CAS + 단열 압축성 흐름을 수정 = EAS
4. 진대기 속도 : CAS + 대기의 압력과 기온의 변화 수정 = TAS
5. 대지속도 : 지상 위를 이동하는 실제 속도. 항공기는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고 맞바람(headwind)는 대지속도(GS)를 감소시키고, 반대로 뒷바람(tailwind)는 대지속도(GS)를 증가시킨다.
7. 기압 고도계를 구비한 비행기가 일정한 계기 고도를 유지하면서 기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비행할 때 기압 고도계의 치침 상태는?
① 실제고도 보다 높게 지시한다.
② 실제고도와 일치한다.
③ 실제고도 보다 낮게 지시한다.
④ 실제고도 보다 높게 지시한 후에 서서히 일치한다.
정답 : ③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8. 다음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항력(drag)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공기의 속도에 비례를 한다.
② 공기속도의 제곱에 비례를 한다.
③ 공기 유속의 3승에 비례를 한다.
④ 공기속도에 반비례 한다.
정답 : ②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11. 항공기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력의 크기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② 항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한다.
③ 추력은 비행기의 받음각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④ 중력은 속도에 비례한다.
정답 : ④
# 양력발생원리
1. 베르누이 정리 : 날개의 아래부분 압력이 높고, 위는 압력이 낮아, 두 압력차이에 따라 양력이 발생한는 이론
2. 뉴터의 3법칙 : 작용과 반작용 법칙으로 날개 밑의 유속의 흐름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의 힘으로 비행기 날개를 들어올리는 것.
# 중력, 양력, 추력, 항력
- 중력 : 지구의 중심방향으로 당기는 힘.
- 양력 : 물체가 수직 방향으로 받는 힘. 물체에 닿은 유체를 밀어내리려는 힘에 대한 반작용.
- 추력 : 해당방향으로 추진력을 주는 힘. 비행체가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
- 항력 : 공기와 기체의 마찰로 인해 추력을 방해하는 힘.
# 양력발생원리
1. 베르누이 정리 : 날개의 아래부분 압력이 높고, 위는 압력이 낮아, 두 압력차이에 따라 양력이 발생한는 이론
2. 뉴터의 3법칙 : 작용과 반작용 법칙으로 날개 밑의 유속의 흐름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의 힘으로 비행기 날개를 들어올리는 것.
# 중력, 양력, 추력, 항력
- 중력 : 지구의 중심방향으로 당기는 힘.
- 양력 : 물체가 수직 방향으로 받는 힘. 물체에 닿은 유체를 밀어내리려는 힘에 대한 반작용.
- 추력 : 해당방향으로 추진력을 주는 힘. 비행체가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
- 항력 : 공기와 기체의 마찰로 인해 추력을 방해하는 힘.
31. 불포화 상태의 공기가 냉각되어 포화 상태가 되는 기온은?
① 상대온도
② 결빙온도
③ 절대온도
④ 이슬점(노점) 기온
34. 날개를 구성하는 구성품으로 옳은 것은?
① 외피(skin), 리브(rib), 세로대(longeron)
② 리브(rib), 날개보(spar), 세로지(stringer)
③ 외피(skin), 날개보(spar), 리브(rib), 벌크헤드(bulkhead)
④ 외피(skin), 날개보(spar), 세로지(stringer), 리브(rib)
36.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가 비행하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주의공역은 지방항공청장의 비행계획승인만으로 가능하다
② 통제공역의 비행계획승인을 신청할 수 없다
③ 관제공역, 통제공역, 주의공역은 관할 기관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④ CTA(CIVIL TRAINING AREA) 비행승인 없이 비행이 가능하다
예상문제10회 | ||||
1 | ① | ② | ③ | ④ |
2 | ① | ② | ③ | ④ |
3 | ① | ② | ③ | ④ |
4 | ① | ② | ③ | ④ |
5 | ① | ② | ③ | ④ |
6 | ① | ② | ③ | ④ |
7 | ① | ② | ③ | ④ |
8 | ① | ② | ③ | ④ |
9 | ① | ② | ③ | ④ |
10 | ① | ② | ③ | ④ |
11 | ① | ② | ③ | ④ |
12 | ① | ② | ③ | ④ |
13 | ① | ② | ③ | ④ |
14 | ① | ② | ③ | ④ |
15 | ① | ② | ③ | ④ |
16 | ① | ② | ③ | ④ |
17 | ① | ② | ③ | ④ |
18 | ① | ② | ③ | ④ |
19 | ① | ② | ③ | ④ |
20 | ① | ② | ③ | ④ |
21 | ① | ② | ③ | ④ |
22 | ① | ② | ③ | ④ |
23 | ① | ② | ③ | ④ |
24 | ① | ② | ③ | ④ |
25 | ① | ② | ③ | ④ |
26 | ① | ② | ③ | ④ |
27 | ① | ② | ③ | ④ |
28 | ① | ② | ③ | ④ |
29 | ① | ② | ③ | ④ |
30 | ① | ② | ③ | ④ |
31 | ① | ② | ③ | ④ |
32 | ① | ② | ③ | ④ |
33 | ① | ② | ③ | ④ |
34 | ① | ② | ③ | ④ |
35 | ① | ② | ③ | ④ |
36 | ① | ② | ③ | ④ |
37 | ① | ② | ③ | ④ |
38 | ① | ② | ③ | ④ |
39 | ① | ② | ③ | ④ |
40 | ① | ② | ③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