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론을 조종하다가 갑자기 기계에 이상이 생겼을 때 하는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주위 사람에게 큰소리로 외친다.
② 급하게 추락시키거나 안전하게 착륙시킨다.
③ 자세 제어모드로 전환하여 조종을 한다.
④ 최단거리로 비상착륙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비상상황 발생 시 최우선적으로 큰소리로 주변에 상황을 전파한다.
2. 비행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
① 모터 및 기체의 전선 등 점검
② 조종기 배터리 부식 등 점검
③ 스로틀을 상승하여 비행해 본다.
④ 기기 배터리 및 전선 상태 점검
3. 조종자 준수사항을 어길 시 1차 벌금은 얼마인가?
① 20만원
② 50만원
③ 150만원
④ 200만원

제출하기

정답 : ③
조종자 준수사항을 위반했을 때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항공안전법 제166조 제3항)
1차 위반 시에는 50%의 과태료가 적용되기 때문에 150만원이 된다.
4. 다음 기상 보고 상태 +RA FG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비와 함께 안개가 동반된다.
② 비와 함께 안개가 동반되지 않는다.
③ 강한 비 이후 안개가 내린다.
④ 약한 비가 내린 뒤 안개가 내린다.

제출하기

정답 : ③
FG(fog):안개(시정 5~8SM 이하), RA(rain):비
5. 비행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조종기 외부 깨짐을 확인
② 보조 조종기의 점검
③ 배터리 충전 상태확인
④ 기체 각 부품의 상태 및 파손 확인

제출하기

정답 : ②
핵심적인 것을 먼저 생각. 주 조종기를 점검해야 한다.
6. 프로펠러의 역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양력발생
② 추력발생
③ 항력발생
④ 중력발생

제출하기

정답 : ④
프로펠러는 양력, 추력, 항력을 발생시킨다.
7. 다음의 내용을 보고 어떤 종류의 안개인지 옳은 것을 고르시오.
바람이 없거나 미풍, 맑은 하늘, 상대습도가 높을 때, 낮거나 평평한 지형에서 쉽게 형성된다. 이 같은 안개는 주로 야간 혹은 새벽에 형성된다.
① 활승안개
② 전선안개
③ 증기안개
④ 복사안개
8. 북반구 고기압에서의 바람은?
①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② 반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수렴한다.
③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수렴한다.
④ 반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북반구 고기압 :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9. 비행제한구역을 비행 승인 없이 비행하면 범칙금은 얼마인가?
① 500만원 이하의 벌금
②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 30만원 이하의 벌금
10. 조종기 관리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조종기는 하루에 한 번씩 체크한다.
② 조종기 점검은 비행 전 시행한다.
③ 조종기 장기 보관시 배터리 커넥터를 분리한다.
④ 조종기는 22~28℃ 상온에서 보관한다.
11. 다음 중 바람이 생성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① 지구의 자전
② 기압 경도력의 차이
③ 공기밀도 차이
④ 대류와 이류 현상
12. 뇌우와 같이 동반하지 않는 것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하강기류
② 우박
③ 안개
④ 번개
13. 멀티콥터의 무게중심은 어느 곳에 위치하는가?
① 전진 모터의 뒤쪽
② 후진 모터의 뒤쪽
③ 기체의 중심
④ 랜딩스키드의 뒤쪽
14. 기압고도계를 구비한 비행기가 일정한 계기고도를 유지하면서 기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비행할 때 기압 고도계의 지침 상태는?
①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한다.
② 실제고도와 일치한다.
③ 실제고도보다 낮게 지시한다.
④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한 후 서서히 일치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15. 비행 후 기체 점검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동력계통 부위의 볼트 조임 상태 등을 점검하고 조치한다.
② 메인 블레이드, 테일 블레이드의 결합상태, 파손 등을 점검한다.
③ 남은 연료가 있을 경우 호버링 비행하여 모두 소모시킨다.
④ 송수신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부족 시 충전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남은 연료는 소비하지 않고, 다음에 재사용 할 수 있다. 배터리 일 경우, 착륙 후 남은 배터리는 탈거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한다.
16.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날개골의 임의 지점에 중심을 잡고 받음각의 변화를 주면 기수를 올리고 내리는 피칭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이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점을 말한다.
① 압력중심
② 공력중심
③ 무게중심
④ 평균공력시위

제출하기

정답 : ②
압력중심: 에어포일 표면에 작용하는 분포된 압력의 힘으로 함 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힘의 작용점. 날개에 있어서 양력과 항력의 합성력(압력)이 실제로 작용하는 적용점으로서 받음각이 변함에 따라 위치가 변함.
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피칭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그 점에 관한 모멘트 값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가상의 점(=공기력 중심).
무게줌심 : 중력에 의한 알짜 토크가 0인 점.
17. 무인멀티콥터가 비행할 수 없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진비행
② 추진비행
③ 회전비행
④ 배면비행

제출하기

정답 : ④
배면비행 : 아래위가 뒤집혀서 비행하는 것. 비행기는 가능하다.
18. 양력에 대한 설명 중 열이 많이 발생하는가?
① 무거운 짐을 많이 실었을 때
② 기온이 30℃ 이상일 때
③ 착률할 때
④ 조종기에서 조작키를잡고 있을 때

제출하기

정답 : ①
기체에 작용하는 힘에 반하는 행위를 할때 모터에서 열이 많이 발생한다.
1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날개 골의 임의 지점에 중심을 잡고 받음각의 변화를 주면 기수를 올리고 내리는 피칭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이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점을 말한다.
① 압력중심
② 공력중심
③ 무게중심
④ 평균공력시위

제출하기

정답 : ②
압력중심: 에어포일 표면에 작용하는 분포된 압력의 힘으로 함 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힘의 작용점. 날개에 있어서 양력과 항력의 합성력(압력)이 실제로 작용하는 적용점으로서 받음각이 변함에 따라 위치가 변함.
공력중심 : 에어포일의 피칭 모멘트의 값이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그 점에 관한 모멘트 값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가상의 점(=공기력 중심).
무게줌심 : 중력에 의한 알짜 토크가 0인 점.
20. 멀티콥터 무게중심(CG)의 위치는?
① 동체의 중앙부분
② 배터리 장착부분
③ 로터 장착부분
④ GPS안테나 부분
21. 착륙장치가 달린 동력 패러글라이딩이 초경량비행장치가 되기 위해서는 몇 kg이 되어야 하는가?
① 70kg
② 120kg
③ 150kg
④ 180kg

제출하기

정답 : ①
가. 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15킬로그램 이하일 것
22. 로터의 피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로터가 블레이드 각의 기준선이다.
② 로터가 한 번 회전할 때 전방으로 진행한 이동거리를 기하학적 피치라 한다.
③ 로터가 한번 회전할 때 전방으로 진행한 실제 거리를 기하학적 피치라 한다.
④ 바람의 속도가 증가할 때 로터의 회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치를 감소시킨다.
23. 항공기의 비행 시 조종자의 특별한 주의 경계 식별 등이 필요한 공역은 어느 것인가?
① 관제공역
② 통제공역
③ 주의공역
④ 비관제공역
기출문제3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