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의 준수사항에 어긋나는 것은?
① 항공기 또는 경량 항공기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미리 피하여야 한다
② 해당 무인비행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종해야 한다.
③ 모든 항공기, 경량항공기 및 동력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초경량비행장치에 대하여 우선권을 가지고 비행하여야 한다.
④ 레저스포츠사업에 종사하는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는 비행 전 비행안전사항을 동승자에게 충분히 설명하여야 한다.
2. 항공기가 착륙 시 지면 또는 수면에 접근함에 따라 날개 끝의 와류가 지면에 부딪혀 항력이 감소하여 지면 가까운 고도에서 비행기가 침하하지 않고 머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대기효과
② 날개효과
③ 지면효과
④ 간섭효과

제출하기

정답 : ③
항공기가 이착륙 비행에서 지면에 가깝게 낮은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양력이 증가하는 효과.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날개 끝 와류가 지면의 영향에 의해 억제되면서 유도 항력이 감소하고 날개와 지면 사이의 유속이 정체되어 발생한다.
지면효과(Ground Effect) : 지표면 근처에서 비행 중인 항공기에 지표면의 간섭이 생기는 현상.
3. 항공기 고유의 안정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이착륙 성능이 좋다.
② 실속이 되기 어렵다.
③ 스핀이 되지 않는다.
④ 조종이 보다 용이하다.
4. 날개에 윙렛(Winglet)을 설치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① 유도항력 감소
② 형상항력 감소
③ 마찰항력 감소
④ 간섭항력 감소
5. 비행 중 조종기의 배터리 경고음이 울렸을 때 취해야 할 행동은?
① 즉시 기체를 착륙시키고 엔진 시동을 정지시킨다.
② 경고음이 꺼질 때까지 기다려본다.
③ 재빨리 송신기의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환한다.
④ 기체를 원거리로 이동시켜 제자리 비행으로 대기한다.
6. 기온과 이슬점 기온의 분포가 5% 이하일 때 예측 대기현상은?
① 서리
② 이슬비
③ 강수
④ 안개
7. 무인비행장치들이 가지는 비행 모드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수동모드(manual Mode)
② GPS 모드 (GPS Mode)
③ 자세제어 모드(Attitude Mode)
④ 고도제어 모드(Altitude Mode)

제출하기

정답 : ④
고도제어모드는 자체 기능이다.
8. METAR 보고에서 바람방향, 즉 풍향의 기준은 무엇인가?
① 자북
② 진북
③ 도북
④ 자북과 도북

제출하기

정답 : ②
METAR 보고서 : 공항별 정시 기상관측, 매 시각 정시 5분전에 발생(인천공항의 경우 30분마다 관측), 공항의 기상상태를 보고하는 기본관측
9. 초경량비행장치의 신고 시 첨부하여 제출할 서류가 아닌 것은?
① 초경량비행장치를 소유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
② 초경량비행장치를 운용할 조종사, 정비사 인적사항
③ 초경량비행장치의 제원 및 성능표
④ 초경량비행장치의 보험가입을 증명 할 수 있는 서류
10. 다음 중 뇌우에 관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뇌우를 만나면 통과할 때까지 직진으로 빨리 빠져 나가야만 한다.
② 뇌우 속 에서는 엔진 출력을 최대로 하고 수평자세를 끝까지 유지해야 한다.
③ 뇌우는 반드시 회피해야 한다.
④ 뇌우는 큰 소나기구름 이므로 옆을 살짝 피해가면 된다.
11. 초경량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정해진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② 고압 송전선 주위에서 비행하지 말아야 한다.
③ 추락, 비상착륙 시는 인명, 재산의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④ 공항 및 대형 비행장 반경 5km를 벗어나면 관할 관제탑의 승인 없이 비행하여도 된다.
12. 어떤 물질 1g을 섭씨 온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① 잠열
② 열량
③ 비열
④ 현열

제출하기

정답 : ③
비열은 어떤 물질 1그램을 섭씨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13. 동력비행장치는 자체 중량이 몇 킬로그램 이하여야 하는가?
① 70kg
② 100㎏
③ 115㎏
④ 250kg
14. 공역의 설정기준에 어긋나는 것은?
① 국가 안전보장과 항공 안전을 고려한다
② 항공교통에 관한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③ 공역의 구분이 이용자 보다는 설정자가 쉽게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④ 공역의 활용에 효율성과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15. 무인비행장치 비행모드 중에서 자동복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자동으로 자세를 잡아주면서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비행모드
② 자세제어에 GPS를 이용한 위치제어가 포함되어 위치와 자세를 잡아준다.
③ 설정된 경로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하는 비행 모드
④ 비행 중 통신두절 상태가 발생했을 이륙 위치나 이륙 전 설정한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Return to Home
16. 우리나라 평균해수면 높이를 0m로 정한 기준이 되는 만은?
① 제주만
② 순천만
③ 인천만
④ 영일만

제출하기

정답 : ③
인천만이 기준이다.
17. 초경량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 후 착륙보고에 포함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 식별 부호
② 출발 및 도착 비행장
③ 비행시간
④ 착륙시간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시간은 비행로그 기록에 필요하다.
18. 지표면의 바람이 일기도상의 등압선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지표면 지형의 형태에 따라 마찰력이 작용하여 심하게 굴곡되기 때문이다. 마찰층의 범위는 몇 feet인가?
① 1000ft 이내
② 2000ft 이내
③ 3000ft 이내
④ 4000ft이내

제출하기

정답 : ③
마찰층은 지표경계층에서부터 지상 1 km 까지이다.
1km=3280ft 그러므로 약 3000ft.
19. 배터리를 오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충전기는 정격 용량이 맞으면 여러 종류 모델 장비를 혼용해서 사용한다.
② 10일 이상 장기간 보관할 경우 100% 만충시켜서 보관한다.
③ 매 비행시마다 배터리를 만충시켜 사용한다.
④ 충전이 다 됐어도 배터리를 계속 충전기에 걸어 놓아 자연 방전을 방지한다.
20. 태풍의 명칭과 지역을 잘못 연결한 것은?
① 허리케인 - 북대서양과 북태평양 동부
② 태풍 - 북태평양 서부
③ 사이클론 - 인도
④ 바귀오 - 북한
21. 비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비행기 무게
② 비행기의 날개크기
③ 비행중인 고도
④ 엔진형식
22. 다음 보기에서 항공기의 진로 우선순위 중 맞는 것은?
A. 지상에 있어서 운행중인 항공기
B. 착륙을 위하여 최종진입의 진로에 있는 항공기
C. 착륙 조작을 행하고 있는 항공기
D. 비행중의 항공기
① D-C-A-B
② B-A-C-D
③ C-B-A-D
④ B-C-A-D

제출하기

정답 : ③
- 기구류 > 활공기 > 비행선 > 예항기 > 항공기 > 동력항공기
- 착륙중 > 착륙접근중 > 지상이동중 > 비행중
- 활공기 > 최종접근 단계의 항공기 > 낮은 고도 > 높은 고도
- 우측 > 좌측, 같은 기종의 항공기끼리 만났을 때는 오른쪽에 우선권이 있지만 종류가 다를 때는 성능이 뒤떨어지는 비행기에게 우선권이 있다.

항공법시행규칙 제178조(통행의 우선순위)
① 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고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1. 동력항공기는 비행선, 활공기 및 기구(氣球)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2. 동력항공기는 항공기 또는 물건을 예항(曳航)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3. 비행선은 활공기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4. 활공기는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할 것
5.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할 것
② 비행 중이거나 지상 또는 수상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는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접근 중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③ 착륙을 위하여 비행장에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최종 접근단계에 있는 다른 항공기의 전방에 끼어들거나 그 항공기를 추월해서는 아니 된다.
④ 제③항에도 불구하고 동력항공기는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⑤ 비상착륙하는 항공기를 인지한 항공기는 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⑥ 비행장 안의 기동지역에서 운항하는 항공기는 이륙 중이거나 이륙하려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23. 고도계의 작동원리는?
① 대기압을 측정
② 대기속도를 측정
③ 온도를 측정
④ 비행자세에 따라 다르다
24. 다음 중 산악지형 등 이착륙 공간이 좁은 지형에서 사용되는 이착륙 방식에 적합한 비행체 형태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고정익 비행기
② 헬리콥터
③ 다중 로터형 수직이착륙기
④ 틸트로터형 수직이착륙기
25.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전문교육기관 지정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비행시간이 100시간 이상인 지도조종자 1명 이상 보유
② 비행시간이 300시간 이상인 지도조종자 2명 보유
③ 비행시간이 200시간 이상인 실기평가 조종자 1명 보유
④ 비행시간이 300시간 이상인 실기평가 조종자 2명 보유
26. 항공 기상에서 기상 7대 요소는 어느 것인가?
① 기압, 기온, 습도, 구름, 강수, 바람, 시정
② 기압, 전선, 기온, 습도, 구름, 강수, 바람
③ 기압, 기온, 대기, 안정성, 해수면, 바람, 시정
④ 전선, 기온, 난기류, 시정, 바람, 습도

제출하기

정답 : ①
기압, 온도, 습도, 구름, 강수, 바람, 시정 입니다.
27. 다음 중 주 조종면이 아닌 것은?
① 보조익(ailleron)
② 트림탭(trim tab)
③ 승강타(elevator)
④ 방향타(rudder)
28. 비 관제 공역 중 모든 항공기에 비행정보 업무만 제공되는 공역은?
① A등급
② C등급
③ E등급
④ G등급
29. 표준 해수면의 기온과 표준기압 어느 것인가?
① 15℃와 29.92mb
② 15℃와 29.92inHg
③ 15.F 와 29.92Hg
④ 15.F와 29,92mb

제출하기

정답 : ②
15℃, 29.92inch.Hg
30. 다음 중 항공장애등의 종류로 틀리는 것은?
① 저광도 항공장애등
② 중광도 항공장애등
③ 고광도 항공장애등
④ 주간장애표식

제출하기

정답 : ④
500ft(AGL),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m 이상 높이의 구조물. 야간 항공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등. 붉은빛의 등을 켠다.
31. 필요마력이 최소속도가 되는 비행속도는?
① 이륙속도
② 최대항속거리 속도
③ 최대항속시간 속도
④ 착륙속도
32. 양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법칙은?
① 파스칼 원리
② 에너지 보존법칙
③ 베르누이정리
④ 작용과 반작용법칙
33. 다음 중 항공기가 과하중(overload)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상승각이 적어진다.
② 실속(stall)속도가 작아진다.
③ 활공각이 증가한다.
④ 이륙거리가 증가한다.
34. 비행기 외부점검을 하면서 날개 위에 서리(frost)를 발견 했다면?
① 비행기의 이륙과 착륙에 무관하므로 정상절차만 수행하면 된다.
② 날개를 두껍게 하는 원리로 양력을 증가시키는 요소가 되므로 제거해서는 안 된다
③ 비행기의 착륙과 관계가 없으므로 비행 중 제거되지 않으면 제거될 때까지 비행하면 된다.
④ 날개의 양력감소를 유발하기 때문에 비행 전에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비행기 특성상 양력을 받아 이륙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반듯이 날개에 불필요한 것은 제거되어야 한다.
35. 비행기의 방향타(Rudder)의 사용목적은?
① 편요(yawing)조종
② 과도한 기울임의 조종
③ 선회시 경사를 주기 위해
④ 선회시 하강을 막기 위해

제출하기

정답 : ①
요(Yaw)는 z축 방향 회전을 의미한다. Yaw의 회전축은 z축 방향, 즉 중력방향과 같다.
36. 다음 중 항공법 상 유도로 등의 색은?
① 황색
② 백색
③ 청색
④ 적색
37. 무인항공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UAV
② RPAS
③ UGV
④ Drone

제출하기

정답 : ③
RPAs (Remote Piloted Aircraft)(무인비행기), UGV(Unmanned Ground Vehicle):무인차량
38. 리튬폴리머 배터리 사용상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비행 후 배터리 충전은 상온까지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실시한다.
② 수명이 다 된 배터리는 그냥 쓰레기들과 같이 버린다.
③ 50°C 이상의 온도의 난로근처에 보관한다.
④ 가급적 전도성이 좋은 금속 탁자 등에 두어 보관한다.
39. 태풍의 세력이 약해져 소멸되기 직전 또는 소멸되어 무엇으로 변하는가?
① 열대성 고기압
② 열대성 저기압
③ 열대성 폭풍
④ 편서풍

제출하기

정답 : ②
태풍은 지나는 해역의 수온이 높을수록 수증기를 많이 공급받게 되어 세력이 커진다.
차가운 해수면이나 대륙으로 이동하면 수증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육지와의 마찰로 에너지를 잃고 세력이 약해져 열대 저기압이나 온대 저기압으로 변해 소멸한다.
40. 다음 초경량 비행장치 중 인력활공기에 해당하는 것은?
① 비행선
② 패러플레인
③ 행글라이더
④ 자이로 플레인
예상문제2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