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 오류신고 현황 돌아가기

문항 오류 신고를 통해서 문제의 정확도를 높여주세요.
항공 법규가 자주 바뀌면서 과거의 문제 중 오류인 문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발견하면 오류신고를 통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이나 수정 요청 사항도 오류신고를 통해서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문항고유번호 오류내용 날짜 사용자
2671 3000ft xxx->2000ft 2025-03-19 이용자
2174 안전성 인증검사 유효기간으로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초도검사는 비행장치를 최초로 설계 및 제작 후 받는 안정성인증 검사이다. 정기검사는 초도검사 이후, 안전성인증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새로운 안전성인증서를받기 위해서 실시하는 검사이다. 정기검사 기간은 1년이다. (답 : 2년은 어디서 나온 말인가?) 2025-03-17 -
2159 17. 다음 중 가장 큰 금액의 과태료는 어느 것인가? 조종자 자격증명 없이 초경량 비행장치를 비행한 자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025-03-17 -
2143 굴뚝이나 철탑 등 골조 형태의 뾰족한 구조물은 높이가 60m 이상일 경우 항공장애표시등을 배치하지만, 아파트 사무실 등 일반적인 건축물은 장애물제한표면에 저촉되지 않을 경우150m 이상인 경우에 설치하도록 규정. [참고 : 국토교통부 정책 Q&A] https://www.molit.go.kr/USR/policyTarget/dtl.jsp?idx=193 2025-03-16 -
2144 2번 문제에 분명 3번이라 체크했는데 틀렸다라고 함 2025-03-16 -
2814 초경량동력비행장치는 항공기보다 우선권이있고 무동력비행장치에 진로를 양보해야된다 그래서 답은2번 2025-03-16 최창규
3597 선택사항이 없어요 2025-03-14 -
2378 질문과 선택문항이 어법에 맞지 않아 무슨뜻인지 모르겠스빈다 2025-03-10 -
2175 신고은 이라고 오타가 났어요 2025-03-05 -
2204 항공안전법 제127조 제3항을 위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초경량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한 사람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1차 : 100 2차 : 150 3차 : 200 2025-03-02 -
처리중 처리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