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급(Class) |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 |
관제 공역 |
A |
- 모든 항공기가 계기비행을 하여야 하는 공역
- 모든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와분리업무*를 제공하도록 지정·공고한공역
* 분리업무 항공기간의 거리를 10마일(약 16km) 이상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관제사의 업무
- 고도 2 만H 초과 6만R 0 1 하(6,096m 초과 18,288m OI 하)
|
B |
- 계기비행 및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가 비행가능
- 모든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와분리업무를제공하도록 지정 ‘ 공고한공역
- MSL 1 만 ft 0 1 하(3 ,048m O I하)
- 인천, 김포, 제주공항이 해당
|
C |
- 모든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나, 시계 비 행을 하는 항공기 간에는 비행정보업무만제공되는 공역
- AGL 5천 ft 이하( 1,524m OI 하)
- 김해, 광주공항등 11 개 비행장(접근관제소를 운영하는 공항 인근 공역)
|
D |
- 모든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나,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와 시계비행을
히는 항공기 및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간에는 비 행정보업무만제공되는공역
- 관제권상한고도이하
- MSL 8,000ft 이상 ∼ FL 200 O I 하의 항로
- 서울, 수원비행장등 17개 비행장(접근관제소를 운영하지 않는 공항 인근 공역)
|
E |
- 계기 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고,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에비행정보업무가제공되는공역
- A, B, [, D 등급 이외의 관제공역
|
비관제 공역 |
F |
-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와 항공교통조언업무가 제공되고, 시계비행 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가제공되는 공역
- 미지정
|
G |
- 모든 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만 제공되는 공역
- AGL 또는 MSL 1,000ft 미만 공역
※ 드론비행가능공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