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span class="title-info">리튬이온(Li-ion) 배터리</span> * 1991년 일본 소니에 의해 최초로 상용화 되기 시작 '''장점''' <ul> <li>높은 에너지 저장밀도 - 같은 크기에 더 큰 용량</li> <li>높은 전압, 3.7V : Ni-Cd, Ni-MH의 3배</li> <li>뛰어난 온도 특성 : -55∼85℃ 사용</li> <li>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 미사용</li> </ul> '''단점''' <ul> <li>전해질이 액체로 누액 가능성 및 폭발의 위험 상존</li> </ul> <span class="title-success">리튬폴리머(Li-Po) 배터리</span> * 폭발 위험성이 있는 액체 전해질 대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폴리머 (Polymer, 고체 또는 젤 형태의 고분자중합체)상태의 전해질 사용 '''장점''' <ul> <li>높은 에너지 저장밀도 - 같은 크기에 더 큰 용량</li> <li>높은 전압, 3.7V : Ni-Cd, Ni-MH 의 3배</li> <li>뛰어난 온도 특성 : -55∼85℃ 사용</li> <li>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 미사용</li> <li>폴리머 상태의 전해질 사용으로 높은 안정성</li> <li>다앙한 형태로 설계 가능</li> </ul> '''단점''' <ul> <li>제조공정이 복잡, 가격이 비쌈</li> <li>폴리머 전해질로 액체 전해질보다 이온 전도율이 떨어짐</li> <li>저온에서 사용특성이 떨어짐</li> </ul>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 사용 시 <span class='bsd'>주의사항</span>''' # 정격 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한다. # 방전되거나 오래된 배터리는 부풀어 오른다. # 충전시간과 사용시간은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장시간 충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 과충전시 충전 배터리의 과열, 파열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 배터리의 표면온도가 높을 때에는 충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 # 충전 시 무인비행장치로 부터 배터리를 분리하여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충전을 시켜야한다. # 심한 충격이나 찍힘, 화기로 인한 사고에 주의 하여야 한다. # 회로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눈, 비,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배터리를 인위적으로 합선시키지 않아야 한다. # 화로나 전열기 등 열원 주변처럼 뜨거운 장소에 보관하지 않는다. # 배터리는 -10〜40°C 의 온도 범위에서 사용한다. # 비행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을 OFF 상태로 놓아두어야 한다. #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를 분리하여 보관한다. # 배터리는 기온 18〜25°C의 건조하고 환기가 잘되는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span class="title-danger">니켈카드뮴(Ni-Cd) 배터리</span> <ul> <li>양극 활물질은 니켈 수산화물을, 음극 활물질은 카드뮴을 사용하며, 전해액은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li> <li>니켈카드뮴 전지의 음극에서 사용하는 카드뮴이 공해물질이고, 완전히 방전 후 충전해야 하는 단점 때문에 시장이 점차 축소</li> <li>단점 : 용량이 작고, 자연방전이 크며 , 무겁고 메모리 현상이 있음</li> </ul> <span class="title-info">니켈수소(Ni-MH)</span> <ul> <li>양극 활물질은 니켈 수산화물을, 음극 활물질은 수소저장 합금을, 전해질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li> <li>니켈 수소 전지의 전압은 1.2v 이고, 전기용량은 니켈카드뮴전지보다 약 1.7배 큼</li> <li>500회 이상 충전/방전 가능, 작은 내부저항과 함께 전압변동이 적어 대전류가 방전됨</li> <li>대전류가 방전되는 특징 때문에 과거 휴대용 전자제품에 주로사용(워크맨, 디지털카메라, 노트북pc , 캠코더 등)</li> <li>최근 리튬이온 전지가 안정화 됨으로써 향후 니켈수소 전지는 특수 제품을 제외한 곳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li> </ul> <span class="title-success">납축전지</span> <ul> <li>자동차 시동용, 산업기기 예비전원용, 경제적이지만 무거움</li> </ul> <span class="title-warning">비고</span> <ul> <li> 메모리현상이란?<br> - 주로 니켈류 전지에서 나타나는 증상, 전지의 용량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충전을 하게되면 남아있던 전지의 용량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br> - 예를 들면 20%가 남아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 시 80%만 사용 가능, 따라서 완전 방전 후 충전을 시켜야 배터리의 용량 전부를 사용 가능 </li> </ul> '''배터리 사용시 주의사항''' # 과충전 혹은 과방전을 하지않는다 (50%이하 사용시 성능저하) # 장기간 보관시 50% 방전 상태에서 보관 # 낙하, 충격, 날카로운 것에 대한 손상의 경우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 배터리 보관 적정온도는 22°C~28°C 이다 # 셀당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 -10°C 이하에서 사용될 경우 사용불가상태가 될 수 있다. # 50°C 이상에서는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다. # 배터리가 부풀거나 사용이 불가하여 폐기할때는 소금물에 하루동안 담궈놓아 방전시킨뒤 폐기해야 한다. (유독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이 닿지않고 환기가 잘되는곳에서 진행한다.) 부풀거나 누유 또는 손상된 경우에는 소금물에 담가두었다가 폐기해야 한다. 요약: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