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h3 class="bg-info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리튬이온(Li-ion) 배터리</h3> ・1991년 일본 소니에 의해 최초로 상용화 되기 시작<br> '''장점''' <ul> <li>높은 에너지 저장밀도 - 같은 크기에 더 큰 용량</li> <li>높은 전압, 3.7V : Ni-Cd, Ni-MH의 3배</li> <li>뛰어난 온도 특성 : -55∼85℃ 사용</li> <li>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 미사용</li> </ul> '''단점''' <ul> <li>전해질이 액체로 누액 가능성 및 폭발의 위험 상존</li> </ul> <h3 class="bg-success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리튬폴리머(Li-Po) 배터리</h3> ・ 폭발 위험성이 있는 액체 전해질 대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폴리머 (Polymer, 고체 또는 젤 형태의 고분자중합체)상태의 전해질 사용<br> '''장점''' <ul> <li>높은 에너지 저장밀도 - 같은 크기에 더 큰 용량</li> <li>높은 전압, 3.7V : Ni-Cd, Ni-MH 의 3배</li> <li>뛰어난 온도 특성 : -55∼85℃ 사용</li> <li>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 미사용</li> <li>폴리머 상태의 전해질 사용으로 높은 안정성</li> <li>다앙한 형태로 설계 가능</li> </ul> '''단점''' <ul> <li>제조공정이 복잡, 가격이 비쌈</li> <li>폴리머 전해질로 액체 전해질보다 이온 전도율이 떨어짐</li> <li>저온에서 사용특성이 떨어짐</li> </ul> <h3 class="bg-danger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니켈카드뮴(Ni-Cd) 배터리</h3> <ul> <li>양극 활물질은 니켈 수산화물을, 음극 활물질은 카드뮴을 사용하며, 전해액은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li> <li>니켈카드뮴 전지의 음극에서 사용하는 카드뮴이 공해물질이고, 완전히 방전 후 충전해야 하는 단점 때문에 시장이 점차 축소</li> <li>단점 : 용량이 작고, 자연방전이 크며 , 무겁고 메모리 현상이 있음</li> </ul> <h3 class="bg-primary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니켈수소(Li-MH)</h3> <ul> <li>양극 활물질은 니켈 수산화물을, 음극 활물질은 수소저장 합금을, 전해질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li> <li>니켈 수소 전지의 전압은 1.2v 이고, 전기용량은 니켈카드뮴전지보다 약 1.7배 큼</li> <li>500회 이상 충전/방전 가능, 작은 내부저항과 함께 전압변동이 적어 대전류가 방전됨</li> <li>대전류가 방전되는 특징 때문에 과거 휴대용 전자제품에 주로사용(워크맨, 디지털카메라, 노트북pc , 캠코더 등)</li> <li>최근 리튬이온 전지가 안정화 됨으로써 향후 니켈수소 전지는 특수 제품을 제외한 곳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li> </ul> <h3 class="bg-primary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납축전지</h3> <ul> <li>자동차 시동용, 산업기기 예비전원용, 경제적이지만 무거움</li> </ul> <h3 class="bg-warning text-whit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border-radius: 50rem!important; padding:10px;">비고</h3> <ul> <li> 메모리현상이란?<br> - 주로 니켈류 전지에서 나타나는 증상, 전지의 용량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충전을 하게되면 남아있던 전지의 용량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br> - 예를 들면 20%가 남아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 시 80%만 사용 가능, 따라서 완전 방전 후 충전을 시켜야 배터리의 용량 전부를 사용 가능 </li> </ul> 요약: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