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날개에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에서 양력과 항력이 작용하는 점이다.
② 받음각과는 관계가 없다
③ 수평비행 중 속도가 빨라지면 전방으로 이동한다.
④ 비행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날개골에서 캠버를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의 아랫면과 윗면 사이를 말한다
② 시위선과 평균캠버선 사이를 말한다
③ 앞전과 뒷전 사이를 말한다
④ 날개 앞전에서 시위선 길이의 25% 지점의 두께를 말한다
3. 날개의 형태 중 날개의 끝을 뿌리보다 높게하는 상반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 중 항력이 작아진다
② 옆 미끄럼을 방지한다
③ 선회성능이 좋아진다
④ 날개 끝 실속을 방지한다
4. 동력비행장치의 성능에서 상승력에 관한 설명이다. 맞는것 중에 적절하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① 필요마력이 작고 이용마력이 크면 상승력이 좋다.
② 이용마력이 크고 여유마력이 크면 상승력이 좋다.
③ 여유마력이 작고 이용마력이 크면 상승력이 좋다.
④ 필요마력이 작고 여유마력이 크면 상승력이 좋다.

제출하기

정답 : ①
- 비행속도에서 필요마력과 이용마력의 차를 잉여마력 또는 여유마력 이라 한다. 여유마력이 있으면 현재의 비행 상태에서 더 가속하거나 고도를 더 높일 수 있으므로 최대 비행성능을 구할 수 있다.
- 잉여마력은 추력과 항력, 속도와 중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 동력비행장치의 상승력은 여유마력에 의해 결정된다.
- 여유마력=이용마력-필요마력
- 이용마력이 크고 필요마력이 작을수록 여유마력이 커진다.
- 필요마력 :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 데 필요한 마력, 수평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마력이다. 항공기가 속도를 유지하며 상승, 순항, 하강 할 때 필요한 마력
- 이용마력 : 항공기 동력장치의 추진력으로서 비행에 이용될 수 있는 항공기 기관의 동력.
5. 실속속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상승할 수 있는 최소의 속도이다.
② 수평비행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의 속도이다.
③ 하중이 증가하면 실제 실속속도는 커진다.
④ 실속속도가 크면 이·착륙 활주거리가 길어진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실속은 비행기의 날개 표면을 흐르는 기류의 흐름이 날개 윗면으로부터 박리되어, 그 결과 양력(揚力)이 감소되고 항력(抗力)이 증가하여 비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
즉, 실속이 발생하면 추락한다.
6. 이륙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익면하중을 크게 한다.
② 양력계수를 크게 한다.
③ 플랩을 사용하여 양력을 증가시킨다.
④ 발동기의 출력을 크게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이륙거리는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하늘로 탈출하는 거리이다. 그렇다면, 추력을 최대한으로 해야하고, 비행기 무게를 작게해야 하고, 양력을 사용해야 할것이다.
7.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기체의 수직안정판이 뒷부분에 부착되어 페달(Pedal)에 의해 작동되며 기체의 빗놀이(Yawing)운동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키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8. 주날개의 붙임각(취부각)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무엇인가?
①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공기흐름 방향과 이루는 각
② 날개의 중심선(center line)과 공기흐름 방향과 이루는 각
③ 날개의 시위선(chord line)과 기체의 세로축(X)과 이루는 각
④ 날개의 시위선 (chord line)과,기체의 가로축(Y)과 이루는 각
9. 비행 중 날개에 발생하는 항력으로 공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며 점성의 크기와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항력은 무엇인가?
① 유도항력
② 마찰항력
③ 조파항력
④ 압력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②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10. 날개에서 발생하는 항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다음의 예문 중 어느 것인가?
① 공기밀도
② 날개의 면적
③ 날개 시위의 길이
④ 공기 흐름의 속도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11. 날개에 비틀어내림(Wash out)을 적용하는 이유로 가장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끝 실속(Wing tip stall)을 방지하고 스핀을 좋게 위하여
② 스핀(Spin)을 방지하기 위하여
③ 날개끝 실속을 방지하여 곡예비행을 좋게 하기 위하여
④ 날개끝에서 먼저 발생하는 실속을 억제하여 뿌리 부분에서 먼저 발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12. 다음 중 여유마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여유마력이 “0"일 때는 상승비행 상태이다.
② 동력비행장치의 상승력은 여유마력에 의해 결정된다.
③ 여유마력=이용마력-필요마력
④ 이용마력이 크고 필요마력이 작을수록 여유마력이 커진다.
13. 다음의 예문 중 역빗놀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선회할 때 위로 올라온 도움날개가 양력과 더불어 증가된 항력이 선회방향으로 끌어 당기는현상
② 직선 상승비행 때에만 발생한다
③ 직선 하강비행 때에만 발생한다
④ 선회 때 아래로 내려온 도움날개가 양력과 증가된 항력이 선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현상
14. 정압공에 결빙이 생겼을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는 계기는?
① 고도계
② 속도계
③ 승강계
④ 모두 해당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정압관은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와 관련이 있다.
- 동·정압 계기들은 대기압을 측정해서 지시하는 방식이다. 대개 압력을 기계적인 변위로 바꾸는 공함(pressure capsule), 즉 다이아프램이나 아네로이드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하여 항공기 비행 대기 속도, 비행 고도, 비행 상승 및 하강률 등을 지시하는데 이러한 계통을 동·정압계통(pitotstatic system)이라 한다. 동·정압계통에는 대표적인 계기로 고도계, 대기 속도계, 승강계, 마하계 등이 있고, 중간에 신호 변경 장치로 대기자료컴퓨터 (ADC), 최근에는 대기자료모듈(ADM), 그리고 수감 하는 동·정압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피토관 또는 정압공에 연결되어 피토압 또는 정압을 수감하여 그 압력값으로 항공기 비행 상태 등을 알려준다.
15.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기체의 수평 안정판 뒷부분에 부착되어 조종간(Control 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수방향을 상하 운동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키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16. 공기의 밀도는 동력비행장치의 추력에 영향을 준다. 이 공기밀도의 압력과 온도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공기밀도는 압력과 온도가 각각 증가할 때 비례하여 커진다.
② 공기밀도는 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하고 압력이 증가하면 감소한다.
③ 공기밀도는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면 커진다.
④ 공기밀도는 압력과 온도가 각각 증가할 때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공기밀도는 항공기의 비행성능, 엔진의 출력에 중요한 요소이다. 밀도는 이륙, 상승률, 치대하중, 대기속도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공기의 밀도와 온도, 압력, 습도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아래 식에서 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에 반비례 관계이다. 즉, 압력이 높을 수록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이 낮을 수록 밀도는 감소한다. 또한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17. 날개의 공력 평균 시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끝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설정한 시위이다
② 받음각이 증가하면 모멘트값이 변하는 시위이다
③ 기하학적 평균 시위라고도 한다
④ 날개의 공기력을 대표하는 날개 시위이다
18. 날개의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공기흐름방향의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②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동체의 세로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③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기체의 수평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④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으로 비행장치의 전진력에 대한 저항력이다.
19. 엔진의 출력을 일정하게 하고 수평비행 상태를 유지하여 비행하면 연료소비에 따라 무게가 감소한다 이에 대한 변화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속도는 빨라지고 양력계수는 일정하다
② 속도는 빨라지고 양력계수는 작아진다
③ 속도가 늦어지며 양력계수가 커진다
④ 속도가 늦어지며 양력계수가 작아진다
20. 선회 비행 중에는 수평직선비행보다 더 많은 양력이 필요한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선회 중 기수가 틀어짐에 따라 추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② 선회경사(bank)로 인해서 날개의 투명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③ 도움날개(Ailerons)의 작동으로 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④ 선회 중 발생하는 원심력과 중력의 합력 때문에
21. 다음 중 표준대기의 조건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무엇인가?
① 해면고도에서 압력-29.92inHg=14.7psiA=1013mbar
② 해면고도에서 온도=15℃=59" F
③ 대기압=1기압
④ 습도=1%
22. 날개의 공기흐름 중에 압력이 계속 증가하여 날개표면을 따라 흐르지 못하여 흐름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것은 다음 중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① 경계층 분리
② 흐름의 떨어짐 또는 박리
③ 스핀(Spin)
④ 층류의 떨어짐

제출하기

정답 : ②
박리현상 : 항공기(날개)가 유체를 가르고 비행하는데 위쪽공기가 날개표면을 따라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고 경계층이서 떨어져나가 양력을 잃는 현상입니다.
박리:떨어져나간다.
23. 다음의 조종면 중에서 기체의 양끝 뒷부분에 부착되어 조종간(Control stick)에 의해 작동되며 기체를 좌 또는 우로 기울여 경사각을 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방향타(Rudder) 또는 방향키
② 도움날개(Ailerons) 또는 보조익
③ 승강타(Elevator) 또는 승강키
④ 러더 트림(Rudder trim)
24. 피토우(Pitot) 관을 이용한 속도계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바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속도=(정압+동압)-정압
② 속도=(동압-정압)x정압
③ 속도=전압-동압
④ 속도=(동압 X 정압)-전압
25. 다음 중 마찰항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공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며 점성의 크기와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② 공기의 점성의 경계층에서 생기는 소용돌이에 영향을 받고 날개의 단면과 받음각 모양에 따라 다르다.
③ 날개 끝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하며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따라 변한다.
④ 날개와는 관계없이 동체에서만 발생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6. 동력비행장치로 비행 중 비행속도를 2배로 증가시켰다.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볼 때 양력과 항력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항력만 2배로 증가한다
② 양력만 2배로 증가한다
③ 양력은 2배로 증가하고 항력은 1/2로 감소한다
④ 양력과 항력 모두 증가한다
27. 수평 등속비행 상태에서 연료소비에 따라 날개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하게된다. 이때 수평 등속비행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어떤 조작을 해야 하는가?
① 출력을 줄이고 기수를 내린다
② 출력을 줄이고 기수를 들어 올린다
③ 출력을 증가시키고 기수를 내린다
④ 출력을 증가시키고 기수를 들어 올린다
28. 선회(Turn)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무게가 무겁고 속도가 느릴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진다.
② 수평비행에서 선회를 할 경우 정상선회를 위해는 기수를 올리거나 발동기의 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③ 정상선회에서 선회경사가 클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진다.
④ 선회 중인 비행장치는 수평직선비행일 때보다 날개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한다.
29. 동력비행장치가 100km/h의 속도로 10km/h의 바람을 거슬러 직선 비행하고 있다. 이 동력비행장치의 대지속도는 얼마인가?
① 90km/h
② 110km/h
③ 100km/h
④ 해면 상공에서는 100km/h
30. 저속으로 비행하는 비행체에 흐르는 공기를 비압축성 흐름이라고 가정할 때 흐름의 떨어짐(박리)가 주원인이 되는 항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압력항력
② 조파항력
③ 마찰항력
④ 유도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③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31. 다음 중 주조종면 또는 1차 조종면으로 구분되어지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도움날개
② 승강타 트림
③ 승강타
④ 방향타

제출하기

정답 : ②
주날개에 붙어있는 모든날개는 도움날개이다.
32. 수평비행상태에서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정압이 크다
②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동압이 작다
③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전압이 크다
④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정압이 작다.
33. 다음에 열거한 것은 항력의 종류이다. 초경량동력비행장치에서 발생하지 않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① 마찰항력
② 압력항력
③ 유도항력
④ 조파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34. 다음의 항력 중에서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영향을 받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① 유도항력
② 조파항력
③ 마찰항력
④ 압력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①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35. 날개의 면적은 변함이 없이 같은 조건으로 날개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크게 했을 경우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유도항력계수가 작아진다.
②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③ 유도항력이 작아지고 활공거리가 길어진다.
④ 유도항력이 커지고 착륙거리가 짧아진다.
36. 다음의 설명 중 필요마력의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① 발동기에서 순수하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마력이다.
② 수평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마력이다.
③ 발동기가 낼 수 있는 최대의 마력이다.
④ 발동기 회전수가 최대일 때 낼 수 있는 마력이다.
37. 정상선회를 시도하는 중 조종자의 몸이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쏠리는 느낌을 받았을 때의 상황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장치의 경사각(Bank)이 정상보다 작다.
② 러더(Rudder)의 조작량이 정상보다 작다.
③ 내활(Slip) 상태이므로 스핀(Spin)의 위험이 있다.
④ 경사각을 줄여야한다.
38. 활공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활공거리를 고도로 나눈 값이다.
② 활공비가 좋다는 것은 활공각이 작다는 것이다.
③ 활공비와 양항비가 같다.
④ 엔진(발동기)의 출력을 완속 상태에서 최대비행거리를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일정한 높이에서 얼마나 멀리 활공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
- 항공기 활공 시 수직 거리 대비 수평 거리의 비율.
- 활공각 : 활공각은 양항비에 반비례한다. 즉, 양항비가 클수록 활공각은 작아진다.
- 활공비 : 활공거리를 활공고도로 나눈 값. 멀리 비행하려면 활공각는 작아야 한다. 활공각이 작다는 것은 양항비가 크다는 것이다.
39. 날개에서 흐름의 떨어짐으로 인해 실속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로 와류발생기(Vortex generator)를 장치하기도 한다. 이것에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① 층류경계층보다 난류경계층에서 흐름의 떨어짐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② 골프공의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작은 홈을 만들어주는 원리와 같다.
③ 날개의 윗면을 거칠게 하여 난류경계층을 만들기도 한다.
④ 경계층 내부의 느린 입자가 외부의 빠른 속도의 유체입자에게 운동에너지를 주기 때문이다.
40. 동력비행장치가 비행 중 어느 한쪽으로 쏠림이 생기면 조종사는 계속 조종간을 한쪽으로 힘을 주고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 조종력을 "0"으로 해주거나 조종력을 경감하는 장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도움날개
② 트림(Trim)
③ 플랩(Flap)
④ 승강타
비행이론및운용 2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