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대기압의 영향을 받는 계기가 아닌 것은?
① 속도계
② 고도계
③ 흡입다기관 압력계
④ 오일 압력계

제출하기

정답 : ④
속도계 : 피토관 원리 이용
고도계 : 대기압으로 측정
흡입다기관 압력계 : 흡기 다기관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량이 대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레버로 전달하여 연료 분배기 제어 플랜저의 행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연료의 기본 분사량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2. 비행 중 비행기의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비행기의 모든 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같다.
② 전압=동압+정압
③ 공기밀도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④ 공기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전압이 일정하다
베르누이의 정리
1. 유체속도가 빠르면(동압이 크면) 정압이 낮아진다.
2. 유체속도는 정압에 반비례한다.
3. 정압은 속도와 반비례한다.
4. 유체속도는 압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동압과 정압의 합은 항상 일정하므로 동압이 커지면 정압은 자아진다.


h: 높이(위치에너지)
v:유체가 흐르는 속도(운동에너지)
P(첫항):압력(일에너지)
p:밀도
3. 비행기의 무게중심 위치가 정상 범위에서 앞쪽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황으로 맞는 것은?
① 가로안정성이 나빠진다.
② 실속(Stall) 및 스핀(Spin) 상황에서 회복력이 좋아진다.
③ 실속 회복능력은 좋아지고 스핀 회복력은 나빠진다.
④ 실속 회복능력은 나빠지고 스핀 회복력은 좋아진다.
4. 비행기에 고정피치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시운전 중 진동이 느껴졌다. 다음 중 추정되는 원인으로 맞는 것은?
① 프로펠러 장착 볼트의 조임치가 일정하지 않다.
② 프로펠러의 표면이 거칠다.
③ 엔진 출력에 비해 큰 마찰수에 적당한 프로펠러를 장착했다.
④ 프로펠러의 장착과는 관계없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대부분 볼트 조임이 일정치 않고, 프로펠러 플롭반란스가 안맞을 경우다.
5. 비행중 항공기의 날개에 걸리는 응력에 관해서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윗면에는 인장응력이 아랫면에는 압축응력이 생긴다.
② 윗면에는 압축응력이 아랫면에는 인장응력이 생긴다.
③ 윗면과 아래면 모두 다 압축응력이 생긴다.
④ 윗면 과 아랫면 모두 다 인장응력이 생긴다.
6. 연료탱크는 온도팽창을 고려하여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어느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한가?
① 2% 이상
② 4% 이상
③ 6% 이상
④ 8% 이상

제출하기

정답 : ①
2% 이상
7. 다음 모노코크(monocoque)구조에서 항공 역학적인 힘을 대부분 담당하는 부재는 어느 것인가?
① 뼈대(frame)
② 외피(skin)
③ 세로지(stringer)
④ 정형재(former)
8. 날개 골의 받음각이 증가하여 흐름의 떨어짐 현상이 발생하면 양력과 항력의 변화는?
① 양력과 항력이 모두 증가한다
② 양력과 항력이 모두 감소한다
③ 양력의 증가하고 항력은 감소한다
④ 양력은 감소하고 항력은 급격히 증가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9. 다음 중 비행기의 이륙 성능과 대기압력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대기압력의 조건을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맞는 것은?
①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증가
②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증가
③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증가, 이륙거리 감소
④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 증가, 양력 감소, 이륙거리 감소

제출하기

정답 : ③
공기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와 습도에 반비례한다.
즉, 대기압력이 높아지면 공기밀도는 증가하고, 밀도가 증가하면 양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륙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10. 무풍 상태에서 지상에 계류 중인 비행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①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보다 윗부분을 누르는 압력이 높다.
② 날개의 윗부분의 압력이 아랫부분을 들어 올리는 압력보다 높다.
③ 날개의 아랫부분의 압력과 윗부분의 압력은 같다.
④ 날개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지상에 계류 중이고 무풍이므로 양역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압력은 날개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은 같을 것이다.
11. 비행기에 작용하는 4가지 힘으로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추력, 양력, 항력, 무게
② 추력,양력,무게,하중
③ 추력, 모멘트, 항력, 중력
④ 비틀림력, 양력, 항력, 중력

제출하기

정답 : ①
양력, 항력,추력,중력(무게)
12. 왕복 엔진의 윤활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윤활력
② 냉각력
③ 기밀력
④ 방빙력
13. 일반적으로 보조날개(alierons)가 날개의 끝에 장착되는데 그 이유는?
① 날개의 구조강도 때문에
② 익단 실속을 지연시키기 위해
③ 나선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④ 보조날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출하기

정답 : ④
보조날개 - 항공기의 좌우 주익(主翼)의 바깥쪽 뒷면에 붙어 있는 가동익(可動翼)으로 기체의 롤링을 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특히 기체가 선회시 기축(기수에서 꼬리를 연하는선)을 중심으로 선회량에 맞는 경사를 주어 일정한 반지름으로 선회 비행이 가능하게 함.
14. 꼬리날개(empennage)를 구성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① 플랩, 보조날개, 승강타, 수직안정판
② 방향타, 수직안정판, 승강타, 수평안정판
③ 플랩, 방향타, 수평안정판, 수직안정판
④ 보조날개, 프랩, 방향타, 수평안정판

제출하기

정답 : ②
항공기의 안정을 유지하고 방향을 바꾸는 구실을 하는 항공기의 꼬리 부분. 수평 안전판, 수직 안전판, 방향키, 승강키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미익(尾翼)
15. 세미-모노코크(monocoque)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간 확보가 어렵다.
② 외피는 기하하적인 외형만 유지한다.
③ 외피가 전단응력을 담당하고 있다.
④ 하중(힘)을 모두 골격이 받는다.
16. 관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관을 통과하는 유체(공기)의 속도, 동압, 정합의 관계의 설명 중 바른 것은?
① 직경이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② 직경이 넓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③ 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흐름의 속도가 같고 동압과 정압의 변화는 일정하다
④ 직경이 작은 부분의 공기흐름은 속도가 느려지고 동압은 커지고 정압은 작아진다
17.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②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작다.
③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작다.
④ 공기밀도가 높으며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적으므로 동압이 크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공기의 흐름과 관련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밀도는 공기 내 입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부피당 입자의 수가 많습니다.
동압은 공기 입자가 특정 면적에 부딪히는 힘을 나타냅니다. 부딪히는 입자 수가 많을수록 동압이 커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밀도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부딪히는 공기입자수가 많으므로 동압이 크다."입니다.
18.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양력은 날개의 시위선 방향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양력은 날개의 시위선 방향의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양력은 날개의 상대풍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④ 양력은 날개의 상대풍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19. 비행기 구조 중에 비행 중 기수의 상하방향 운동의 안정성을 만들어 주는 부분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① 동체
② 주날개
③ 꼬리날개
④ 착륙장치

제출하기

정답 : ③
꼬리 날개의 엘리베이터(상/하) 이다.
20. 다음은 항공기를 부분별로 나눈 것이다 맞는 것은?
① 날개, 착륙장치, 동체, 꼬리날개부, 동력장치
② 동체, 날개, 동력장치, 장비장치
③ 날개, 동체, 꼬리날개부, 착륙장치, 각종 장비장치
④ 날개, 동체, 꼬리날개부, 착륙장치, 엔진장착부
21. 날개구조에서 압축응력에 의한 좌굴을 방지, 휨에 의한 강성을 높이는 부재는 어느 것인가?
① 세로지
② 세로대
③ 외피
④ 날개보

제출하기

정답 : ①
압축응력은 인장응력의 반대 현상으로 비행기가 하강을 하며 외부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비행기를 외부에서 압측시키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따라서 비행기 몸체를 쪼그리려는 힘.
인장응력 - 고공비행을 할 때 기체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 팽창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22. 날개를 구성하는 구성품으로 옳은 것은?
① 외피(skin), 리브(rib), 세로대(longeron)
② 리브(rib), 날개보(spar), 세로지(stringer)
③ 외피(skin), 날개보(spar), 리브(rib), 벌크헤드(bulkhead)
④ 외피(skin), 날개보(spar), 세로지(stringer), 리브(rib)

제출하기

정답 : ④
#날개의 구조
날개보(spar):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를 담당
외피(skin) : 비틀림 모멘트를 담당
세로지(stringer): 압축 응력에 의한 좌굴 방지,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여 날개보를 보조, 비틀림 방지하여 외피를 보조
리브(rib): 외피의 하중을 날개보로 전달, 날개의 형태를 유지
23.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의 계수 값이 변하지 않는 점은 무엇인가?
① 공기력 중심
② 압력 중심
③ 반력 중심
④ 중력 중심

제출하기

정답 : ①
공력중심(공기력중심) : 받음각이 변해도 피칭 모멘트의 값이 변하지 않는 에어포일의 기준점. 시험나옴.
24. 양력이 발생하는 원리의 기초가 되는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전압(Pt)=동압(q)+정압(P)
②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면 동압이 증가하고 정압이 감소한다.
③ 음속보다 빠른 흐름에서는 동압과 정압이 동시에 증가한다.
④ 전압과 정압의 차이로 비행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25. 동압에 관한 설명이다. 틀리는 것은?
① 동압은 공기밀도와 비례한다.
② 동압은 공기흐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 동압은 부딪히는 면적에 비례한다.
④ 동압은 정압의 크기에 비례한다.
26. 비행 중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은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전방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④ 후방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27. 동력 비행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연료 공급방식으로 맞는 것은?
① 중력 공급방식과 압력 공급방식
② 압력 공급방식
③ 제트 공급방식
④ 중력 공급방식
28. 응력외피형 구조형식에서 외피(skin)가 주로 담당하는 응력?
① 굽힘력
② 비틀림력
③ 전단력
④ 인장력

제출하기

정답 : ②
비틀림력응력 - 비행기가 이착륙 시 방향전환을 하게 되는 경우와 비행 중 난기류를 만나 비행기의 몸체가 기우뚱 거리게 될 때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비행기의 날개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29. 캠버의 형태를 만들어 내는 날개 시위방향의 구조 부재로 AIRFOIL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은?
① SPAR
② RIB
③ STRINGER
④ TORSION BOX(비틀림 방지 상자)

제출하기

정답 : ②
#날개의 구조
날개보(spar):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를 담당
외피(skin) : 비틀림 모멘트를 담당
세로지(stringer): 압축 응력에 의한 좌굴 방지,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여 날개보를 보조, 비틀림 방지하여 외피를 보조
리브(rib): 외피의 하중을 날개보로 전달, 날개의 형태를 유지
30. 테일 스키드란 무엇인가?
① 정전기를 방전하는 방전기
② 미륜(뒷바퀴)식 착륙장치중 뒷바퀴에 해당한다.
③ 동체 꼬리 부분의 파손을 막기위해 달아 놓은 것
④ 스키식 착륙장치
31. 베르누이 정리에서 일정한 것은?
① 정압
② 전압
③ 동압
④ 전압과 동압의 합
32. 다음 중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비행 중 받음각은 변한다.
② 날개골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
③ 받음각이 증가하면 일정한 각까지 양력과 항력이 증가한다.
④ 기체의 중심선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

제출하기

정답 : ④
비행기의 날개를 절단한 면의 기준선(일반적으로 프로필의 전연과 후연을 연결한 직선. 시위선이라고도 한다)과 기류가 이루는 각도
33. 공기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으로 맞는 것은?
① 정압
② 동압
③ 벤츄리 압력
④ 속도는 동압 더하기 정압에서 전압을 뺀 것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정압은 유체속에 잠겨있는 한 지점에서 상,하,좌,우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압력이 작용.
34. 다음 설명 중 활공거리가 가장 긴 것으로 맞는 것은?
① 활공각이 작은 경우
② 양항비(L/D)가 작은 경우
③ 활공비가 작은 경우
④ 양항비가 1인 경우

제출하기

정답 : ①
- 활공거리 : 항공기가 엔진을 중지한 상태, 또는 극히 낮은 속력으로 지면을 향하여 비스듬히 내리는 비행 거리.
- 비행기의 활공각(滑空角)은 양력과 항력의 비로 정해지므로, 스포일러를 세워서 양력을 줄이고 그 항력을 크게 하면 활공각, 즉 강하각(降下角)이 증대되므로 착륙진입(着陸進入)할 때 강하각을 가감하는 데 유효하다.
35. 동력 비행장치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피치를 비행 중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을 때의 조치로 맞는 것은?
① 이륙 중에는 순항 때보다 기각을 비교적 크게 한다.
② 순항 중에는 이륙 때보다 깃각을 비교적 작게 한다.
③ 엔진이 정지했을 경우 깃각을 0도 가깝게 해야 엔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④ 깃각은 비행속도가 빠르면 크게 느리면 작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36. 날개에 걸리는 굽힘(하중)력을 담당하는 것은?
① spar
② rib
③ skin
④ spar web

제출하기

정답 : ①
#날개의 구조
날개보(spar):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를 담당
외피(skin) : 비틀림 모멘트를 담당
세로지(stringer): 압축 응력에 의한 좌굴 방지,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여 날개보를 보조, 비틀림 방지하여 외피를 보조
리브(rib): 외피의 하중을 날개보로 전달, 날개의 형태를 유지
37. 비행 중 날개에서 최대 휨 모멘트는 어느 부분에서 발생하는가?
① 날개 뿌리(wing root)부분
② 날개 끝(wing tip)부분
③ 날개 중앙
④ 날개 모든 부분에서 받는 휨 모멘트는 동일

제출하기

정답 : ①
날개 뿌리부분 : 날개 장착부
날개의 하중의 전달 순서 : 스킨->스르링어->리브->스파->날개장착부
38. 트러스 형 구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① 제작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
② 내부 공간 마련이 어렵다.
③ 주로 경비행기에 사용된다.
④ 외피가 하중의 일부를 담당한다.
39. 다음은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유체속도가 빠르면 정압은 낮아진다.
② 유체속도 는 정압에 비례를 한다.
③ 정압은 속도와 비례를 한다.
④ 유체속도는 압력과 무관하다.
40. 받음각이 “0” 일때에 양력계수가 “0”이 되는 날개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캠버가 큰 날개골
② 대칭형 날개골
③ 캠버가 크고 두꺼운 날개골
④ 캠버가 작고 두꺼운 날개골
비행이론및운용 1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