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풍속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m/s
② kph
③ knot
④ mile

제출하기

정답 : ④
mile은 거리의 단위이다.
2. 무인비행장치 운용에 따라 조종자가작성할 문서가 아닌 것은?
① 비행훈련기록부
② 항공기 이력부
③ 조종자 비행기록부
④ 정기검사 기록부
3. 해수면에서 항공기 고도까지의 고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진고도
② 밀도고도
③ 지시고도
④ 절대고도
4. 배터리를 떼어낼 때의 순서는?
① 아무거나 무방하다.
② 동시에 떼어낸다.
③ +극을 먼저 떼어낸다.
④ -극을 먼저 떼어낸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전기 공학 입장에서는 사실 아무것이나 때도 상관없다. 그러나, 실제 전류는 -에서 +로 전자가 이동한다(이론적으로는 +에서 -로 전기가 이동한다). 그리하여 -극에 동판이 넓은 이유와 선이 굵은(노이즈 및 전류양 좋게하기 위해) 이유이기도 하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많이 접지된 부분을 먼저 때어내야 하기 때문인것 같다.
5. 정면 또는 가까운 각도로 비행 중인 동 순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항로를 어떻게 하여야 하나?
① 상방으로 바꾼다.
② 하방으로 바꾼다.
③ 우측으로 바꾼다.
④ 좌측으로 바꾼다.
6. 우리나라 평균해수면 높이를 0m로 정한 기준이 되는 만은?
① 제주만
② 순천만
③ 인천만
④ 영일만

제출하기

정답 : ③
인천만이 기준이다.
7. 다음의 항력 중에서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영향을 받는 항력은 어느 것인가?
① 유도항력
② 조파항력
③ 마찰항력
④ 압력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①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8. 영리를 목적으로 초경량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공역을 승인 없이 비행을 한 자의 처벌로 맞는 것은?
① 벌금 500만원 이하
② 벌금 200만원 이하
③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이하의 벌금
④ 과태료 300만원 이하
9. 다음의 초경량비행장치 중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보험에 가입하여야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영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력활공기
② 개인의 취미생활에 사용되는 행글라이더
③ 영리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력비행장치
④ 개인의 취미생활에 사용되는 낙하산

제출하기

정답 : ③
영리목적이면 보험 가입 필수
10. 비행 중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은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수직 위 방향으로 작용한다.
②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③ 전방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④ 후방 아래 방향으로 작용한다.
11. 기온은 직사광선을 피해서 측정을 하게 되는데 몇m의 높이에서 측정하는가?
① 3m
② 2.5m
③ 2.2m
④ 1.5m

제출하기

정답 : ④
보통 : 1.5m
평균 : 1.25~2m
12. 계기의 구비조건 중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소형일 것
② 경제적이며 내구성이 클 것
③ 기능이 많을 것
④ 정확성이 있을 것
13. 다음 중 항공기 상호 간의 교차 또는 접근하는 경우, 통행 우선 순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활공기, 비행선, 회전익 항공기, 물건을 예항 하고 있는 비행기, 비행기 순
② 활공기, 물건을 예항하고 있는 비행기, 비행선, 회전익 항공기, 비행기 순
③ 회전익 항공기, 활공기, 비행기, 비행선, 물건을 예항하고 있는 비행기 순
④ 활공기, 비행선, 물건을 예항하고 있는 비행기, 회전익 항공기, 비행기 순
14. 항공사격・대공사격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비행허가를 받지 않은 항공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공역은?
① 비행금지공역
② 비행제한공역
③ 경계공역
④ 군작전구역
15. 수평비행상태에서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정압이 크다
②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동압이 작다
③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전압이 크다
④ 날개 아랫면보다 윗면의 흐름 속도가 크고 정압이 작다.
16. 항공기 등록기호표 부착시기는?
① 항공기 등록시
② 안전성 인증검사 신청시
③ 항공기 등록 후
④ 안전성 인증검사 받을때
17. 항공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은?
① 공기밀도의 제곱에 비례
② 날개면적의 제곱에 비례
③ 속도제곱에 비례
④ 양력계수의 제곱에 비례
18. 바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풍속의 단위 ㎧, knot 등을 사용한다.
② 풍향은 지리학 상의 진북을 기준으로 한다.
③ 풍속은 공기가 이동한 거리와 이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比)이다.
④ 바람은 기압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흐름이다.

제출하기

정답 : ④
바람은 두 장소 사이에 존재하는 기압차에 따라 일어나는 공기의 움직임.
-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가는 공기의 흐름이다.
- 풍속의 단위 ㎧, knot 등을 사용한다.
- 풍향은 지리학 상의 진북을 기준으로 한다.
- 풍속은 공기가 이동한 거리와 이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比)이다.
19. 날개에 걸리는 굽힘(하중)력을 담당하는 것은?
① spar
② rib
③ skin
④ spar web

제출하기

정답 : ①
#날개의 구조
날개보(spar):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를 담당
외피(skin) : 비틀림 모멘트를 담당
세로지(stringer): 압축 응력에 의한 좌굴 방지,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여 날개보를 보조, 비틀림 방지하여 외피를 보조
리브(rib): 외피의 하중을 날개보로 전달, 날개의 형태를 유지
20. 비행 전 점검 시 비행기의 접근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프로펠러 위치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15°방향에서 접근
② 프로펠러 위치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30°방향에서 접근
③ 프로펠러 위치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45°방향에서 접근
④ 프로펠러 위치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60°방향에서 접근
21. 안정된 대기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지속적인 강우
② 잔잔한 대기
③ 적란형 구름
④ 역전층

제출하기

정답 : ③
- 대기의 안정도 : 원래상태로 돌아오면 안정한 상태, 계속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불안정한 상태.
- 대기가 안정한 상태 : 수평방향으로만 발달하는 층운형 구름이 생김.
- 불안정한 대기 : 대기가 불안정하면 수직으로 발달하는 적운형 구름이 생김.
- 역전층 : 일반적 대기는 고도가 높을 수록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에 반해 고도가 높을 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구간을 역전층이라 한다. 이 역전층은 높은 위치에 온도가 높고, 낮은 위치에 온도가 낮기 때문에 낮은 곳에는 무거운 공기가 있으므로 굉장히 안정한 상태를 가진다. 이 층에는 대류가 잘일으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오래 머분다.
22. 대기 중에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기온
② 습도
③ 밀도
④ 기압
23. 다음 중 마찰항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공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며 점성의 크기와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② 공기의 점성의 경계층에서 생기는 소용돌이에 영향을 받고 날개의 단면과 받음각 모양에 따라 다르다.
③ 날개 끝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하며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따라 변한다.
④ 날개와는 관계없이 동체에서만 발생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24.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보관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뜨거운 곳이나 직사광선등 열이 잘 발생하는 곳에 보관한다.
② 자동차 안에 보관한다.
③ 화제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밀폐용기에 보관한다.
④ 아무 곳이나 보관해도 상관없다.
25. 해발 150m의 비행장 상공에 있는 비행기 진 고도가 500m라면 이 비행기의 절대고도는 얼마인가?
① 650m
② 350m
③ 500m
④ 150m
26. 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①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② 착륙을 위하여 최종 접근 중에 있거나 착륙중인 항공기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③ 상호 비행장에 접근중일 때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④ 발동기의 고장, 연료의 부족등 비정상상태에 있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모든 항공기 진로를 양보한다.
27. 타이어의 손상방지법 중 맞는 것은?
① 느린 택싱(taxing), 최소한의 제동
② 급격한 코너링(cornering)
③ 오버 인플레이션(over inflation)
④ 언더 인플레이션(under inflation)
28. 초경량 비행장치 운용제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②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여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된다.
③ 안개 등으로 지상목표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비행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④ 일몰 후에 비행을 한다.
29. 동력 비행장치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피치를 비행 중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을 때의 조치로 맞는 것은?
① 이륙 중에는 순항 때보다 기각을 비교적 크게 한다.
② 순항 중에는 이륙 때보다 깃각을 비교적 작게 한다.
③ 엔진이 정지했을 경우 깃각을 0도 가깝게 해야 엔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④ 깃각은 비행속도가 빠르면 크게 느리면 작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30. 진고도(True altitude)란 무엇을 말하는가?
① 항공기와 지표면의 실측 높이이며 "AGL" 단위를 사용한다.
②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 대기압(29.92" 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③ 해면고도로부터 항공기 까지의 실제 높이
④ 고도계를 해당지역이나 인근공항의 고도계 수정치값에 수정했을 때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표준 대기 상태를 수정한 수정 고도로서 이 고도는 평균 해면 고도 위의 실제 높이임
31. 비행 전 점검에 관련된 사항이다. 부적당한 것은?
① 점검은 각종 볼트 및 너트 부분의 조임 상태, 조종계통 케이블의 늘어짐 상태, 조종면의 결함 상태 등을 확실하게 점검해야 한다.
② 연료량의 점검은 연료계기가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육안점검은 생략할 수도 있다.
③ 비행전 점검은 조종석내의 외부점검부터 해야 한다.
④ 조종면 부분의 결함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조종면에 무리한 힘을 가해서는 안 된다.

제출하기

정답 : ②
연료계기가 고장이 날 수 있으므로 항상 육안점검을 실시한다.
32. 다음 중 타이어 공기압(팽창압력)의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
① 타이어의 크기
② 외부온도
③ 항공기의 활주속도
④ 항공기의 무게
33. 비행기가 비행 중에 항상 오른쪽으로 편류하는 경향이 있다. 영구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은?
① 오른쪽의 aileron을 내린다.
② 왼쪽의 aileron을 내린다.
③ 방향타의 tab을 오른쪽으로 구부린다.
④ 방향타의 tab을 왼쪽으로 구부린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여기서 "영구적" 이란 말을 이해해야 한다. 조종기에서 수정이 아니라, 비행기에서 수정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편류 :
- 비행기가 비행 도중에 기류에 의해서 수평적으로 이동하여 항로로부터 치우치는 일.
- 비행기가 옆바람을 받았을 때 표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스듬히 도는 것.
34.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깃 각(blade angle)은?
① 깃 각은 깃 끝까지 일정하다.
② 깃 뿌리에서는 깃 각이 작고 깃 끝으로 갈수록 커진다.
③ 깃 뿌리에서는 깃 각이 크고 깃 끝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④ 깃 중앙부분의 깃 각이 가장 크다.
35. 다음 중 고기압이나 저기압 시스템의 설명에 관하여 맞는 것은?
①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올라간다.
②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③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정체한다.
④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제출하기

정답 : ②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밀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어느 지역은 밀도가 높고 어느 지역은 밀도가 낮다. 공기 밀도가 높은 지역은 기압이 높고, 공기 밀도가 낮은 지역은 기압이 낮다. 이러한 공기 밀도의 차이로 인해 고기압인 지역과 저기압인 지역이 나타나게 된다.
36. 강수 발생률을 강화시키는 것은?
① 온난한 하강기류
② 수직활동
③ 상승기류
④ 수평활동
37. 다음의 설명 중 필요마력의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① 발동기에서 순수하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마력이다.
② 수평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마력이다.
③ 발동기가 낼 수 있는 최대의 마력이다.
④ 발동기 회전수가 최대일 때 낼 수 있는 마력이다.
38. 선회(Turn)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무게가 무겁고 속도가 느릴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진다.
② 수평비행에서 선회를 할 경우 정상선회를 위해는 기수를 올리거나 발동기의 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③ 정상선회에서 선회경사가 클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진다.
④ 선회 중인 비행장치는 수평직선비행일 때보다 날개에 걸리는 하중이 감소한다.
39. 정압공에 결빙이 생겼을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는 계기는?
① 고도계
② 속도계
③ 승강계
④ 모두 해당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 정압관은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와 관련이 있다.
- 동·정압 계기들은 대기압을 측정해서 지시하는 방식이다. 대개 압력을 기계적인 변위로 바꾸는 공함(pressure capsule), 즉 다이아프램이나 아네로이드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하여 항공기 비행 대기 속도, 비행 고도, 비행 상승 및 하강률 등을 지시하는데 이러한 계통을 동·정압계통(pitotstatic system)이라 한다. 동·정압계통에는 대표적인 계기로 고도계, 대기 속도계, 승강계, 마하계 등이 있고, 중간에 신호 변경 장치로 대기자료컴퓨터 (ADC), 최근에는 대기자료모듈(ADM), 그리고 수감 하는 동·정압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피토관 또는 정압공에 연결되어 피토압 또는 정압을 수감하여 그 압력값으로 항공기 비행 상태 등을 알려준다.
40. 비행 중 날개에 발생하는 항력으로 공기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며 점성의 크기와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항력은 무엇인가?
① 유도항력
② 마찰항력
③ 조파항력
④ 압력항력

제출하기

정답 : ②
일반적으로 항력이라 함은, 비행기의 전진을 방해하는 힘으로 추진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유해항력과 유도항력으로 구분된다.
항력은 항공기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이나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구조자체 때문에 상호간섭을 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높은 camber나 넓은 면적의 날개일수록 더 많은 항력이 발생한다.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받음각을 증가시키게 되면 양력과 동시에 항력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형상 항력은 기체가 공기와 부딪혀서 생기는 항력이고, 유도 항력은 기체에 양력이 발생할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항력이다.
유도항력은 풍판에 양력이 발생할 때 풍판에 의해 발생하는 항공 역학적인 항력을 말한다.
받음각(AOA)를 증가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때 생기는 항력으로 받음각이 클수록 유도항력은 커지게 된다.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어느 정도의 양력은 증가하고, 상대풍에 대한 받음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유도항력은 감소하게 된다.
유해항력은 항공기의 외부형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날개표면과 공기사이에 마찰이나 공기흐름의 간섭으로 발생하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1. 유도항력
유도항력은 날개끝 소용돌이와 내려씻음/올려씻음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날개에서 양력이 생기는 것과 연관된 현상인데요, 날개 아랫면은 압력이 높고 윗면은 압력이 낮습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기가 날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죠. 이 때 날개의 옆부분(윙팁부분)을 타고 올라가는게 날개끝 소용돌이입니다. 또한 날개 앞전에서는 올려흐름이 생기고 날개의 뒷전에서는 내리흐름이 생깁니다.
2. 표면마찰항력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습니다. 고체와 접촉하는 유체는 고체의 접촉면에 가까울 수록 고체에 대한 상대속도가 작죠. 이런 현상 때문에 비행하는 항공기의 표면에 가까이 있는 공기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붙어가게 되고 이것으로 항력이 생깁니다.
3. 압력항력(형태항력)
물체가 공기중을 이동하면 물체 앞면은 공기를 맞아 기압이 올라가고 물체 뒷면은 공기가 순간적으로 비려는 현상이 생겨 기압이 내려갑니다. 물체의 앞은 고압, 뒤는 저압이므로 물체는 뒤로 가려는 성질이 생깁니다. 이게 항력으로 작용합니다.
4. 조파항력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게 되면 날개의 앞뒷전에는 충격파가 생기고 쐐기부분에는 팽창파가 생깁니다. 쉽게 이해하시려면 날개 앞부분에 충격파, 날개중간부분 이후로 팽창파가 생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충격파는 압력이 높고 팽창파는 압력이 낮습니다. 앞쪽이 고압, 뒷쪽이 저압이므로 항력이 생기게 됩니다.
예상문제8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