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헬리콥터나 드론이 제자리 비행을 하다가 전진비행을 계속하면 속도가 증가되며 이륙하게 되는데 이것은 뉴턴의 운동법칙 중 무슨 법칙인가?
① 가속도의 법칙
② 관성의 법칙
③ 작용반작용의 법칙
④ 등가속도의 법칙

제출하기

정답 : ①
가속도의 법칙이다.
2. 멀티콥터의 비행모드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GPS모드
② 에티모드
③ 수동모드
④ 고도제한모드

제출하기

정답 : ④
고도제한모드는 비행모드가 아니고 멀티콥터 자체의 기능이다.
3. 역편요(adverse ya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행기가 선회 시 보조익을 조작해서 경사하게 되면 선회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yaw 하는 것을 말한다.
② 비행기가 보조익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어떤 원인에 의해서 rolling 운동을 시작하며 올라간 날개의 방향으로 yaw하는 특성을 말한다.
③ 비행기가 선회하는 경우, 옆 미끄럼이 생기면, 옆 미끄럼 한 방향으로 롤링하는 것을 말한다.
④ 비행기가 오른쪽으로 경사하여 선회하는 경우 비행기의 기수가 왼쪽으로 yaw 하려는 운동을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비행기가 선회시 선회하는 반대방향으로 기수가 돌아가는(yawing)하는 현상이다.
4. 착륙장치가 달린 동력패러글라이딩이 초경량비행장치가 되기 위해서는 몇 kg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
① 115kg
② 120kg
③ 150kg
④ 180kg
5. 무인멀티콥터의 기수를 제어하는 부품은 무엇인가?
① 지자계 센서
② 온도
③ 레이저
④ GPS

제출하기

정답 : ①
기수는 방향이다. 방향은 지자계(지구자계:전자나침판)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6. 멀티콥터 프로펠러 피치가 1회전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① 속도
② 거리
③ 압력
④ 온도
7. 공기밀도는 습도와 기압이 변화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공기밀도는 기압에 비례하며 습도에 반비례한다.
② 공기밀도는 기압과 습도에 비례하며 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공기밀도는 온도에 비례하고 기압에 반비례한다.
④ 온도와 기압의 변화는 공기밀도와는 무관하다.

제출하기

정답 : ①
공기밀도는 항공기의 비행성능, 엔진의 출력에 중요한 요소이다. 밀도는 이륙, 상승률, 치대하중, 대기속도등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공기의 밀도와 온도, 압력, 습도 상호간의 관계를 이해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아래 식에서 밀도는 압력에 비례하고, 온도에 반비례 관계이다. 즉, 압력이 높을 수록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이 낮을 수록 밀도는 감소한다. 또한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공기밀도는 습도에 반비례한다.
8. 항공법에서 정한 용어의 정의가 맞는 것은?
① 관제구라 함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500미터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 교통의 통제를 위하여 지정된 공역을 말한다.
② 항공등화라 함은 전파, 불빛, 색체 등으로 항공기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③ 관제권이라 함은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지정된 공역을 말한다.
④ 항행안전시설이라 함은 전파에 의해서만 항공기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관제구 : 항공교통 통제를 위하여 지정된 공역으로 평균해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의 상공에 설정된 공역.
항공등화 : 항공등화는 전파와 색채는 포함되지 않는다.
항행안전시설 : 항공기가 항행하는 데 이용되는 항행 보조 시설의 총칭. 항공기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적 또는 전자적 장치로 항행 중인 항공기에 대해 항로와 관련된 정보 또는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9. 이륙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추력을 크게 한다.
② 비행기 무게를 작게 한다.
③ 배풍으로 이륙을 한다.
④ 고양력 장치를 사용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이륙거리는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하늘로 탈출하는 거리이다. 그렇다면, 추력을 최대한으로 해야하고, 비행기 무게를 작게해야 하고, 양력을 사용해야 할것이다.
이륙은 맞바람을 맞으면서 이륙해야 한다.
10.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의 계수 값이 변하지 않는 점을 무슨 점이라 하는가?
① 공기력중심
② 압력중심
③ 반력중심
④ 중력중심

제출하기

정답 : ①
공력중심(공기력중심) : 받음각이 변해도 피칭 모멘트의 값이 변하지 않는 에어포일의 기준점.
11. 다음 과태료 중 금액이 가장 큰 것은?
① 조종자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았을 때
②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명이 없이 비행하였을 때
③ 안전성 인증검사를 받지 않고 비행했을 때
④ 이전, 말소, 변경 등을 거짓으로 신고하였을 때

제출하기

정답 : ③
-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자격증명 없이 비행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안전성 인증검사를 받지 않고 비행했을 때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장치신고/변경신고 위반 : 6개월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12. 초경량비행장치 사고 발생 후 사고조사 담당 기관은 어디인가?
① 철도・항공 사고 조사위원회
② 국토교통부
③ 검찰 및 경찰
④ 군·검찰 및 헌병

제출하기

정답 : ①
철도.항공 사고 조사위원회
13. 왕복엔진의 윤활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윤활력
② 냉각력
③ 압축력
④ 방빙력
14.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가능 고도와 단위를 나타낸 것이다. 지면과의 실측 높이와 단위를 고르시오.
① 고도 500피트 AGL
② 고도 500피트 MSL
③ 고도 500미터 AGL
④ 고도 500미터 MSL

제출하기

정답 : ①
고도 500피트 AGL
15. 복사안개가 아닌 것은?
① 활승안개
② 산곡풍안개
③ 지표면안개
④ 밤안개

제출하기

정답 : ④
야간에 복사냉각이 일어나 지면 근처에 있는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발생하는 안개이다. 대기의 하층의 성층이 안정되어 있을 때 발생하기가 쉽다. 이른 아침에 발생하여 일출 전 후 가장 짙었다가 오전 10시경 소멸된다.
지표면의 복사냉각으로 인하여 지표면 혹은 지표면 부근에 형성된 안개.

# 종류
- 지표면안개(ground fog)
- 상층 역전층안개(high inversion fog)
- 활승안개(upslope fog)
- 산곡풍안개(mountain-valley fog)
16. 투명하고 단단한 형태로 형성되는 착빙은 어느 것인가?
① 혼합 착빙
② 맑은 착빙
③ 거친 착빙
④ 서리 착빙
17. 무인멀티콥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부품은?
① GPS
② 온도감지계
③ 레이저센서
④ 자이로

제출하기

정답 : ①
GPS:위치제어
자이로:자세제어
레이저센서:거리센싱
18. 멀티콥터 우측으로 이동시 프로펠러 회전은?
① 좌측 앞뒤 2개의 프로펠러가 더 빨리 회전한다.
② 우측 앞뒤 2개의 프로펠러가 더 빨리 회전한다.
③ 좌측 앞 우측 뒤 프로펠러가 더 빨리 회전한다.
④ 우측 앞 좌측 뒤 프로펠러가 더 빨리 회전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움직이려 하는 반대 쪽이 더 빨리 회전해야 한다.
19. 베르누이의 정리 조건끼리 묶은 것이다. 올바른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압축성, 비유동성, 무점성
② 압축성, 유동성, 유점성
③ 비압축성, 유동성, 무점성
④ 압축성, 비유동성, 유점성
20. 초경량비행장치 중 프로펠러가 4개인 멀티콥터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① 헥사콥터
② 옥토콥터
③ 쿼드콥터
④ 트라이콥터

제출하기

정답 : ③
트라이콥터(tricopter):프로펠러가 3개
쿼드콥터(quadcopter):프로펠러가 4개
헥사콥터(hexcopter):프로펠러가 6개
옥토콥터(octocopter):프로펠러가 8개
테칼콥터:프로펠러가 12개
21. 다음 중 착빙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맑은 착빙
② 거친 착빙
③ 서리 착빙
④ 이슬 착빙
22. 비행제한구역을 비행승인 없이 비행하면 범칙금은 얼마인가?
① 500만원 이하의 벌금
② 300만원 이하의 벌금
③ 2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30만원 이하의 벌금

제출하기

정답 : ①
항공안전법
제161조(초경량비행장치 불법 사용 등의 죄)
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127조제2항을 위반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공역을 비행한 사람
23. 초경량비행장치 비행계획승인 신청 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경로 및 고도
② 동승자의 자격소지
③ 조종자의 비행경력
④ 비행장치의 종류 및 형식
24. 동쪽에서 길고 강한 호우를 일으키는 기단은?
① 양쯔강 기단
② 오호츠크해 기단
③ 적도 기단
④ 시베리아 기단
25. 기압 고도계를 구비한 비행기가 일정한 계기 고도를 유지하면서 기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비행할 때 기압 고도계의 치침 상태는?
①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한다.
② 실제고도와 일치한다.
③ 실제고도보다 낮게 지시한다.
④ 실제고도보다 높게 지시한 후에 서서히 일치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③
압력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아네로이드 기압계를 사용하는데, 더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아네로이드 기압계는 수축된다.
예)
비행기가 외부기압이 29.92보다 낮은 28.92 지역으로 간다면, 조종사는 기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때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는?
외부 기압이 29.92일 때, 5000ft였는데, 28.92의 지역으로 간다면
29.92-28.92=1.00 -> 1000ft가 되고,
이 지역의 진고도는 1000ft 더 내려간다.
조종사는 29.92[inHg]로 5000ft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당 공역의 기압인 28.92[inHg]를 설정하면
고도계는 4000ft를 가르키게 된다.
진고도<지시고도
26. 북반구 고기압과 저기압의 회전방향으로 옳은 것은?
① 고기압-시계방향, 저기압-시계방향
② 고기압-시계방향, 저기압-반시계방향
③ 고기압-반시계방향, 저기압-시계방향
④ 고기압-반시계방향, 저기압-반시계방향

제출하기

정답 : ②
고기압-시계방향
저기압-반시계방향.
남반구는 반대이다.
27. 공기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온도가 높아질수록 공기밀도도 증가한다.
② 일반적으로 공기밀도가 하층보다 상층이 낮다.
③ 수증기가 많이 포함될수록 공기밀도는 감소한다.
④ 국제표준대기(ISA)의 밀도는 건조공기로 가정했을 때의 밀도이다.
28. 다음 기상 보고 상태의 +RA FG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비와 함께 안개가 동반된다.
② 비와 함께 안개가 동반되지 않는다.
③ 강한 비 이후 안개가 내린다.
④ 약한 비가 내린 뒤 안개가 내린다.

제출하기

정답 : ③
FG(fog):안개(시정 5~8SM 이하)
RA(rain):비
29. 드론을 조종하다가 갑자기 기계에 이상이 생겼을 때 하는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주위사람에게 큰소리로 외친다.
② 급추락이나 안전하게 착륙시킨다.
③ 자세제어 모드로 전환하여 조종을 한다.
④ 최단거리로 비상착륙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비상상황 발생 시 최우선적으로 큰소리로 주변에 상황을 전파한다.
30. 진한 회색을 띄며 비와 안개를 동반한 구름은 무엇인가?
① 권층운
② 난층운
③ 층적운
④ 권적운
31. 멀티콥터가 쓰는 엔진으로 맞는 것은?
① 전기모터
② 가솔린
③ 로터리엔진
④ 터보엔진

제출하기

정답 : ①
대부분 배터리로 구동하니 전기모터(BLDC모터)를 사용한다.
32. 멀티콥터 운영도중 비상사태가 발생 시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
① 육성으로 주의 사람들에게 큰 소리로 위험을 알린다.
② 에티모드로 전환하여 조종을 한다.
③ 가장 가까운 곳으로 비상 착륙을 한다.
④ 사람이 없는 안전한 곳에 착륙을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첫번째로 사람들에게 알리는게 우선이다.
33. 착륙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착륙중량을 작게 한다.
② 정풍으로 착륙한다.
③ 착륙 마찰계수가 커야 한다.
④ 접지속도를 크게 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중량이 크면 가속이 생겨 착륙할때 착륙길이가 길어진다.
바람을 받으며(정풍)으로 착륙하면 착륙거리가 짧아진다.
정면으로 봤을때 바닥이나 바람의 마찰이 크면 착륙거리가 짧아진다.
34. 무인 회전익 비행장치의 기체점검 사항 중 부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비행 전 · 비행 중 · 비행 후 점검은 운용자에 의해 실시한다.
② 30시간 점검·정기 점검(연간정비)을 받아야 한다.
③ 종합 점검은 지정 정비기관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④ 종합 검진과 정기 점검을 한꺼번에 실시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④
기체 점검은 한꺼번에 실시하는 것은 아니다. 종합검진 따라 정기 점검은 따로 실시한다.
35. 터널 속 GPS 미작동시 이용하는 항법은?
① 지문항법
② 추측항법
③ 관성항법
④ 무선항법

제출하기

정답 : ②
추측항법은 현재의 위치와 속도에서 다른 시간 후의 위치에 대하여 코스와 거리를 나타내는 벡터를 적산하여 결정하는 것. 나침판, 속도계를 기초로 편류각을 측정하고 풍향, 풍력을 구하여 항로에 대한 침로와 대지속도를 추측하여 목표지점에 이르는 항법.
36. 착빙(Ic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양력과 무게를 증가시켜 추진력을 감소시키고 항력은 증가시킨다.
② 거친 착빙도 항공기 날개의 공기 역학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착빙은 날개뿐만 아니라 Carburetor, Pitot관 등에도 발생한다.
④ 습한 공기가 기체 표면에 부딪치면서 결빙이 발생하는 현상
37. 다음 중 고기압이나 저기압 시스템의 설명에 관하여 맞는 것은?
①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올라간다.
② 고기압 지역은 마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③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정체한다.
④ 저기압 지역은 골에서 공기가 내려간다.

제출하기

정답 : ②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밀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어느 지역은 밀도가 높고 어느 지역은 밀도가 낮다. 공기 밀도가 높은 지역은 기압이 높고, 공기 밀도가 낮은 지역은 기압이 낮다. 이러한 공기 밀도의 차이로 인해 고기압인 지역과 저기압인 지역이 나타나게 된다.
38. 다음 중 관제공역은 어느 것인가?
① A등급 공역
② G등급 공역
③ F등급 공역
④ H등급 공역
39. 조종자 준수사항을 어길 시 1차 과태료는 얼마인가?
① 100만원
② 150만원
③ 225만원
④ 300만원

제출하기

정답 : ②
조종자 준수사항을 위반했을 때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항공안전법 제166조 제3항)
1차 위반 시에는 50%의 과태료가 적용되기 때문에 150만원이 된다.
40. 북반구 고기압에서의 바람은?
①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② 반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수렴한다.
③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수렴한다.
④ 반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제출하기

정답 : ①
북반구 고기압 : 시계방향으로 불며 가운데서 발산한다.
예상문제2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