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SHELL 모델 중 E(Environm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시설
② 기상
③ 온도
④ 조명
2. 암순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밝은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왔을 때 적응하는 데 30∼40분 소요된다.
② 야간에 적응하기가 어려우므로 야간비행을 하는것은 위험하다.
③ 환한 대낮에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 영화관에 들어간 경험과 유사하다.
④ 망막은 중심에 있는 추상체(삼각형 고깔모앙의 뿔)에 분포해 있다.
3. 무인항공기 운용인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상통제소 내의 조종석에 앉아 있는 내부조종자와 외부에서 무선원격조종기 조종을 하는 외부 조종사로 구분된다.
② 기장은 반드시 내부조종사가 맡으며, 나머지 한 사람이 자동적으로 부조종사의 역할을 담당한다.
③ 육안감시자는 조종사 및 관제사 등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비행, 기상, 관제에 관한 교육훈련과정 이수가 필수이다.
④ 탐지장비통제사의 경우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영상장비 및 센서를 조종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4. 다음 중 시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간은 양안을 가지고 있어 거리판단 및 원근감을 느끼는 입체시 특징이 있다.
② 해가 질 무렵에는 명순응 때문에 일시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다.
③ 거리판단을 위해서 양안의 기능이 중요하므로 안대를 착용하고서는 비행체를 운용하기가 쉽지 않다.
④ 외부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시각에 의존하여 얻는다.
5. 무인항공기 논란 중 비행안전상의 문제가 아닌 것은?
① 드론과 여객기 충돌 위험
② 고장으로 인한 추락 시 인명피해의 우려
③ 원치 않는 사생활 노출
④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 문제
6. 무인항공기 비행위험요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무인항공기의 특성상 See&avoid 할 수 없고 광학시스템 및 레이더 등으로 감지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② 무인항공기의 조종행위 분석은 motion feedback 할 수 없고, 시각적 감각으로만 인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③ 지상통제소 설계가 중요하다.
④ 조종사 선발시 신체적, 의학적 요건을 고려해서 선발한다.
|
7. 대형 무인항공기에는 장착해도 문제가 없지만, 소형무인항공기는 탑재하중 및 전력량에 제약이 있으므로 소형화 및 저전력형 개발이 관건인 장비는?
① 레이더
② 트랜스폰더
③ 광학시스템
④ TCAS
8. 사고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적 결함
② 인간에러
③ 육안감시자 추가
④ 기술적 완성도가 충분하지 못한 점
9. 무인기의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이 낮은 이유로 틀린 것은?
① 무인기 개발이 한창 진행중이어서 기술적 완성도가 충분치 못한 점
②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는 감소한다.
③ 무인기 자동화률이 높아서 인간의 개입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인적에러의 의한 사고비율이 유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④ 설계 개념상 Fail safe 개념의 시스템 이중설계 적용이 미흡하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비율이 높다.
10. 타항공기가 정면으로 접근할 때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비행기동 방향은?
① 오른쪽
② 왼쪽
③ 위
④ 아래
11. 유인항공기의 인적에러 대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율 변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가 60∼70% 정도를 차지한다.
② 현재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는 20% 이하이다.
③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④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12. 소형 드론을 날리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① 무인비행체
② 정비사
③ 조종자
④ 육안감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