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SHELL 모델 중 E(Environm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시설
② 기상
③ 온도
④ 조명
2. 암순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밝은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왔을 때 적응하는 데 30∼40분 소요된다.
② 야간에 적응하기가 어려우므로 야간비행을 하는것은 위험하다.
③ 환한 대낮에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 영화관에 들어간 경험과 유사하다.
④ 망막은 중심에 있는 추상체(삼각형 고깔모앙의 뿔)에 분포해 있다.
3. 무인항공기 운용인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상통제소 내의 조종석에 앉아 있는 내부조종자와 외부에서 무선원격조종기 조종을 하는 외부 조종사로 구분된다.
② 기장은 반드시 내부조종사가 맡으며, 나머지 한 사람이 자동적으로 부조종사의 역할을 담당한다.
③ 육안감시자는 조종사 및 관제사 등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비행, 기상, 관제에 관한 교육훈련과정 이수가 필수이다.
④ 탐지장비통제사의 경우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영상장비 및 센서를 조종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4. 다음 중 시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간은 양안을 가지고 있어 거리판단 및 원근감을 느끼는 입체시 특징이 있다.
② 해가 질 무렵에는 명순응 때문에 일시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다.
③ 거리판단을 위해서 양안의 기능이 중요하므로 안대를 착용하고서는 비행체를 운용하기가 쉽지 않다.
④ 외부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시각에 의존하여 얻는다.
5. 무인항공기 논란 중 비행안전상의 문제가 아닌 것은?
① 드론과 여객기 충돌 위험
② 고장으로 인한 추락 시 인명피해의 우려
③ 원치 않는 사생활 노출
④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 문제
6. 무인항공기 비행위험요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무인항공기의 특성상 See&avoid 할 수 없고 광학시스템 및 레이더 등으로 감지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② 무인항공기의 조종행위 분석은 motion feedback 할 수 없고, 시각적 감각으로만 인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③ 지상통제소 설계가 중요하다.
④ 조종사 선발시 신체적, 의학적 요건을 고려해서 선발한다.
7. 대형 무인항공기에는 장착해도 문제가 없지만, 소형무인항공기는 탑재하중 및 전력량에 제약이 있으므로 소형화 및 저전력형 개발이 관건인 장비는?
① 레이더
② 트랜스폰더
③ 광학시스템
④ TCAS
8. 사고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적 결함
② 인간에러
③ 육안감시자 추가
④ 기술적 완성도가 충분하지 못한 점
9. 무인기의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이 낮은 이유로 틀린 것은?
① 무인기 개발이 한창 진행중이어서 기술적 완성도가 충분치 못한 점
②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는 감소한다.
③ 무인기 자동화률이 높아서 인간의 개입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인적에러의 의한 사고비율이 유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④ 설계 개념상 Fail safe 개념의 시스템 이중설계 적용이 미흡하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비율이 높다.
10. 타항공기가 정면으로 접근할 때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비행기동 방향은?
① 오른쪽
② 왼쪽
③ 위
④ 아래
11. 유인항공기의 인적에러 대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율 변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가 60∼70% 정도를 차지한다.
② 현재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는 20% 이하이다.
③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④ 기계적 결함에 의한 사고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12. 소형 드론을 날리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① 무인비행체
② 정비사
③ 조종자
④ 육안감시자
13. 수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3단계 수면은 외부에서 오는 정보처리를 멈추고 뇌의 뉴런이 거대하고 빠른 전기파를 생성한다.
② 수면은 크게 REM 수면과 비 REM 수면으로 구분된다.
③ REM 수면은 심방 박동 및 호흡이 불규칙하여 꿈을 꾸는 단계이다.
④ 수면이 부족할 경우에는 시각지각, 단기기억, 논리적 추론 등의 저하를 가져온다.
14. 푸르키네 현상에 의하면 어두운 밤에 가장 잘 보이는 색은?
① 노랑
② 초록
③ 파랑
④ 빨강
15. 미국에서 주로 사용하며 소형 무인기를 지칭하는 용어는?
① ROA
② UAV
③ UAS
④ RPAS
16. 인적요인(Human Factors)의 목적 중 Performance의 증진과 관련있는 것은?
① Human Error의 감소
② 안전 향상
③ 직무 만족
④ 삶의 질 향상
17. 최근 ICAO에서 새로이 정의하여 항공기급 대형 무인기를 지칭하는 것은?
① ROA
② DRONE
③ RPAS
④ UAS
18. 다음 중 무인기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UAV는 무인기를 지칭히는 용어로서 Unmanned Aerial Vehicle 의미이다.
② UAS는주로 미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③ Drone은 무인기를 지칭하는 공식용어이다.
④ RPAS는 최근 ICAO에서 새로이 정의한 용어이며 항공기급 대형무인기를 의미한다.
19. 비REM 수면과 REM 수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비REM 수면은 1∼3단계로 구분하며 2단계는 깊은 수면단계이다.
② 3단계 수면시기에는 외부에서 오는 정보처리를 멈추고 뇌의 뉴런이 거대하고 느린 전기파를 생성한다.
③ REM 수면 중 빠른 눈동자 움직임이 특징이다.
④ REM 수면단계는 꿈을 꾸는 단계로 전체 수면의 약 25%를 차지한다.
20. 다음 중 무인기의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이 낮은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무인기는 자동화율이 높아서 인간의 개입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비율이 유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② 설계 개념상 Fail safe 개념의 시스템 이중 설계 적용이 미흡하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기계적 결에 의한 사고비율이 높다.
③ 무인기의 인적에러의 의한 사고 비율은 약 20% 수준이다.
④ 향후 기술이 발전하면 인적에러에 의한 사고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21. 다음 중 피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정신적 피로는 피로가 아니다.
② 만성피로는 장기간 회복이 필요하다.
③ 급성피로는 단기간에 회복된다.
④ 피로는 수면부족, 긴시간 동안의 각성상태, 업무 과부하의 결과 등으로 발생한다.
22. 다음 중 휴먼에러의 효과적인 개선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절차 개선
② 엄격한 처벌
③ 설계 및 디자인 개선
④ 개인 교육 훈련
23. 인적요인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사용의 편리성
② 안전향상
③ 삶의 질 향상
④ 장비의 편리성
24. 인적요인의 목적 중 수행의 증진(Performanc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시용의 편리성
② Human Error의 감소
③ 생산성 향상
④ 안전 향상
25. 다음 중 무인기의 사고통계로 틀린 것은?
① 무인기 사고율은 유인기에 비해 10∼100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② 무인기 사고통계를 살펴보면 비행조종계통이 28%를 차지한다.
③ 무인기 사고통계를 살펴보면 인적에러는 22%를 차지한다.
④ 기계적 결함 대 인간에러 비율이 20:80이다.
26. 다음 중 무인기(드론) 논란으로 틀린 것은?
① 드론과 여객기의 충돌 위험
②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 문제
③ 원치않는 사생활 노출
④ 드론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
27. 무인기 운용인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육안감시자는 조종사 및 관제사 등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비행, 기상, 관제에 관한 교육훈련과정 이수가 필수이다.
② 대형 무인기 (RPAS)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신체기준은 항공종사자 신체검사 2종(관재사에 적용하는 기준)을 적용한다.
③ 소형 무인비행장치 조종자의 신체기준은 2종 보통 운전면허 신체검사 기준을 적용한다.
④ 일반적으로 1명의 조종자로 비행은 가능하나, 안전을 위해 육안감시자를 배치해야 한다.
28. 추상체와 간상체의 비교로 틀린 것은?
① 색각의 형태 - 추상체 : 컬러, 간상체 : 흑백
② 활동 주시간대 - 추상체 : 주간, 간상체 : 야간
③ 망막의 분포 - 추상체 : 중심, 간상체 : 주변
④ 개수 - 추상체 : 많다, 간상체 : 적다
29. 다음 중 인간의 시각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입체시는 양안에 의한 거리 판단으로 두 눈에 비춰지는 면이 각기 다르며, 뇌가 두 눈의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적으로 감각하는 양안 시력 부등이다.
② 인간의 시각은 이중시로 추상체와 간상체로 기능이 분화되어 있다.
③ 맹점현상은 간상체가 망막주변에 있어서 발생한다.
④ 주시안이 오른쪽 눈일 때 삼각비행은 오른쪽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30. 다음 중 시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암순응시 망막순응을 위해 1시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② 주시안이 오른쪽일 경우 시계방향으로 원주비행하기가 편하다.
③ 한쪽 눈을 감고 운전을 해도 잘 보인다.
④ 양안부등으로 두 눈에 비쳐지는 면이 각기 다르며, 뇌가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여 입체적으로 감각한다.
1. 정답 : ①
2. 정답 : ④
3. 정답 : ②
4. 정답 : ②
5. 정답 : ③
6. 정답 : ①
7. 정답 : ②
8. 정답 : ③
9. 정답 : ②
10. 정답 : ①
11. 정답 : ①
12. 정답 : ②
13. 정답 : ①
14. 정답 : ③
15. 정답 : ③
16. 정답 : ①
17. 정답 : ③
18. 정답 : ③
19. 정답 : ①
20. 정답 : ④
21. 정답 : ①
22. 정답 : ④
23. 정답 : ④
24. 정답 : ④
25. 정답 : ④
26. 정답 : ④
27. 정답 : ②
28. 정답 : ④
29. 정답 : ③
30. 정답 :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