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제6차 항공회의에서 아래의 표와 같은 분류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난류는 약함(Light), 보통(Moderate), 심함(Severe), 극히 심함(Extreme)의 4단계로 구분한다. 난류 단계는 조종사와 승객에게 주는 영향을 고려해 만들었다.
- 약한난류(LGT)는 항공기 조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비행방향과 고도유지에 지장이 없다.
- 보통난류(MOD)는 항공기가 슬립(편요,요잉), 피칭, 롤링을 느낄 수 있으면 상당한 동요를 느끼고 몸이 들썩할 정도로 항공기 평행과 비행방향 유지를 위해 극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상풍이 25Kts이상의 지상풍일 때 존재한다.항공기는 여전히 조종 가능한 상태, 기내를 다니기 힘들며, 고정되어있지 않은 물건들은 움직일 수 있음
- 심한난류(SVR)는 항공기 고도 및 속도가 급속히 변화되고 순간적으로 조종 불능상태가 되는 정도이다. 안전벨트가 심하게 당겨지고 헐거운 물체들은 들썩이고 서로 섞인다.
- 극심한 난류(XTRM)는 항공기가 심하게 튀거나 조종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고 항공기 손상을 초래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