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

Powerlps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7일 (수) 16:1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강수(降水, precipitation)의 정의
    • 비나 눈 등 대기 중의 구름이 응축되어 지상으로 내려오는 모든 형태의 수분
  2. 강수의 형성 조건
    1. 습윤 공기의 이슬점(dew point)이하로의 냉각
    2. 응결핵(condensation nuclei)의 존재
    3. 충분한 수분의 집적이 가능한 조건
    4. 응결된 물방울 입자의 성장 가능 조건
  3. 강수의 발생 유형
    1. 대류성 (convective precipitation)
      • 복사열에 의한 공기의 자연 상승에 의한 소나기 및 뇌우 발생
    2. 선풍형 (cyclonic precipitation)
      • 저기압 지역으로 몰려드는 기단이 상승하여 발생. 전선성 또는 비전선성 모두 가능
    3. 전선성 (frontal precipitation)
      • 온난전선(강우강도 낮음, 긴 기간), 한랭전선(강우강도 높음, 짧은 기간), 정체전선(장마전선, 장기간)
    4. 지형성 또는 산악형 (orographic precipitation)
      • 지형에 의해 습윤 기단이 상승하여 발생
    5. 열대성 저기압(tropical cyclones) : 해수 26℃이상. 17m/sec이상에서 발생
      • Typhoon(동지나해), hurricane(멕시코만), cyclone(인도양), willy willy(호주)
  4. 강수의 종류
    1. 비(rain) : 지름 0.5mm 이상의 물방울
    2. 눈(snow) : 대기 중 수증기가 승화로 직접 얼음이 됨
    3. 설편(snow flake) : 여러 개의 얼음 결정
    4. 우박(hail) : 5~125mm의 얼음 덩어리 상태의 강수
    5. 부슬비(drizzle) : 0.1~0.5mm의 물방울. 강수강도 1mm/hr이하
    6. 우빙(glaze) : 비나 부슬비가 지표에서 바로 얼어붙음
    7. 진눈깨비(sleet) : 빗방울이 강하 중 영하의 기온으로 얼어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