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의 구조

Powerlps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6일 (화) 21:54 판 (새 문서: # '''대류권 :''' 지상에서 약 8Km~l8Km의 대기층 지구전체 대기의 4분의3이 대류권에 포함. 대류운동이 활발 기상현상이 발생, 온도변화 상승 lKm당 6.5°C 감소 = 1,000ft당 2°C 감소한다. # '''성층권 :''' 대류권계면에서 약 50Km의 대기층, 대류권계면에서 35Km까지 온도변화가 거의 없음. 대류현상이 거의 없다. 대형 여객기나 군용정찰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 '''중간권 :''' 50Km...)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대류권 : 지상에서 약 8Km~l8Km의 대기층 지구전체 대기의 4분의3이 대류권에 포함. 대류운동이 활발 기상현상이 발생,

온도변화 상승 lKm당 6.5°C 감소 = 1,000ft당 2°C 감소한다.

  1. 성층권 : 대류권계면에서 약 50Km의 대기층, 대류권계면에서 35Km까지 온도변화가 거의 없음. 대류현상이 거의 없다. 대형 여객기나 군용정찰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2. 중간권 : 50Km~90Km의 대기층, 약한 대류운동, 일부 전리층 포함
  3. 열권 : 80Km~1,000Km의 대기층, 대부분의 전리층(장거리 무선통신이 가능) 포함, 오로라 발생, 인공위성의 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