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운용 GNSS 명칭 |
내용 |
공통 |
-
4대 GNSS 시스템(미국, 러시아, 중국, 유럽)의 오차는 약 10m
-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오차 범위를 1m 이내로 줄이는 초정밀 GNSS 보정 시스템 구축, 이를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라고 함
|
미국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
GPS는 현재 완전하게 운용되고 있는 유일한 범 지구위성항법시스템
- 1960 년대 미국 국방부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여 1983년 민간에 개방(L1 주파수밴드, C/A(Coarse/Acquisition code))
- 총 24개의 위성(32대의 위성 존재)으로 운영되며, 사용자는 4개 이상의 위성신호를 받아 위치를 결정
- 위성이 보낸 신호의 도달시간차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결정
|
러시아 |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 |
-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해 지상의 목표물 위치를 정확히 추적
- 동서가 이념으로 팽팽히 맞섰던 냉전 시절, 옛 소련이 개발한 프로그램
- 1982년 첫 위성을 발사하면서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사회주의 몰락과 함께 재정 문제로 중단되었는데, 러시아가 고유가로 외환 보유 세계 3위의 부국이 되자 이를 재가동, 현재 24여기 운용
|
중국 |
Beidou |
|
유럽 |
|
|
한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