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교관과정 이론

Part 1. 항공법규 및 인적요인

1. 항공안전법

항공안전법 제1조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01. 항공법규체계

1. 항공법의 발전과 유래
2.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및 협약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국제적인 민간 항공 분야에서 활동하는 유엔 소속 기관 중 하나입니다.

주요 업무

ICAO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합니다:

  • 표준 및 규제 개발: 국제 민간 항공 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 규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유지보수합니다.
  • 안전성 강화: 항공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회원국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한 국제 표준을 개발합니다.
  • 항공 보안 강화: 국제적으로 항공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국제적인 테러와 같은 위협으로부터 항공 시스템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규제 및 지침을 개발합니다.
  • 환경 보호: 항공 운항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리를 강조하고, 환경 보호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적인 표준을 개발합니다.
  • 국제협력 강화: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하며, 회원국 간의 정보 교환 및 경험 공유를 지원합니다.

참고

3. 우리나라 항공법

02. 항공안전법 주요 내용

1. 목적
2. 정의
3. 장치 신고
4. 안전성 인증
5. 조종자 증명
6. 전문교육기관 지정
7. 비행승인
8. 조종자 준수사항
9. 안전개선명령
10. 준용규정
11. 항공안전법 벌칙

03. 무인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운영세칙

1. 정의(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 운영세칙 제2조)
2. 응시자격 및 면제기준(무인비행장치 조종자증명 운영세칙 제7조, 제8조)
3. 초경량비행장치 전문교육기관 교육과목 및 교육시간(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91호)
4. 비행경력 등의 증명(무인비행장치 조종자증명 운영세칙 제9조)
5. 전문교관의 등록(제11조), 전문교관 등록 취소 등(제12조)
6. 신체검사 증명(무인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운영세칙 제13조)
7. 실기시험의 응시, 채점, 합격자 결정, 이의 신청(무인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운영세칙 제32~35조)

2. 항공사업법

1. 일반

2. 항공기대여업

3. 항공레저스포츠사업

4.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

5. 준용규정

6. 벌칙

3. 공역 및 항공안전

1. 공역의 범위

2. 공역의 구분

3. 우리나라 공역 현황

4. 초경량비행장치 비행 공역

5. 초경량비행장치 안전 준수사항

[참고]업무처리 기관 연락처

4. 무인(유인)항공기 인적요인

1. 무인(유인)기 이슈 및 사고

2. 인적요인(Human Factors)

3.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요인

Part 2. 시스템 및 비행이론

1. 무인비행장치 시스템 및 기체운용

1. 무인비행장치 시스템

2. 추진시스템

3. 비행제어시스템

4. 비행데이터분석

2. 드론산업 및 기술동향

1. 드론 산업 동향

2. 드론 기술 동향

3. 안전관리 및 사고사례

1. 무인비행장치

2. 초경량비행장치사고

3. 무인비행장치 사고사례

4. 농업용 무인비행장치 비행안전

5. 무인비행장치 안전관리

4. 비행교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