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번째 줄: | 29번째 줄: | ||
:③ 현재 191개국이 가입, 국제민간항공기구<small>(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mall>가 여러 부속서<small>(Annex)</small>를 채택하고 많은 항공관련 문서들을 작성하고 있는 바,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경향 | :③ 현재 191개국이 가입, 국제민간항공기구<small>(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mall>가 여러 부속서<small>(Annex)</small>를 채택하고 많은 항공관련 문서들을 작성하고 있는 바,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경향 | ||
<ul class="nav nav-pills" role="tablist"> | |||
<li role="presentation" class="active"><a href="#">Home <span class="badge">42</span></a></li> | |||
<li role="presentation"><a href="#">Profile</a></li> | |||
<li role="presentation"><a href="#">Messages <span class="badge">3</span></a></li> | |||
</ul> | |||
</ | |||
< | |||
< | |||
</ | |||
2023년 12월 4일 (월) 16:10 판
드론교관과정 이론
Part 1. 항공법규 및 인적요인
1. 항공안전법
항공안전법 제1조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test
1. 항공 법규 체계
1. 항공법의 발전과 유래
(1) 1907년 : 인적불상자의 영불해협 항공 횡단(여권 소지X, 입국허가X)
- → 하늘의 법적 지위와 항공의 국제적 성격이 국제사회에 비상한 관심을 받게 된 이유
(2) 1910년 : 최초 항공법 회의 개최(파리, 19개국 국가 대표 참석)
(3) 1919년 10월 : 국제항공회의 개최(파리), 파리협약 채택
- ① 항행의 규율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ng to the Regulation of Aerial Navigation : 이하 파리협약 이라 한다)
- ② 의미 : 제1조에서 자국 영공에 대한 완전하고 배타적인 주권을 인정함으로써 영공주권의 원칙을 정착시켰다는 점
(4) 1944년 12월 : 시카고 회의(Chicago Conference)결과 &rarr 국제민간항공협약 채택
- ① 국제민간항공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 1944년 12월 7일 시카고에서 작성, 1947년 4월4일발효
- ②파리협약 제1조의 규정을 그대로 답습,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영공주권의 절대성은 당시에 이미 국제관습법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음
- ③ 현재 191개국이 가입,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여러 부속서(Annex)를 채택하고 많은 항공관련 문서들을 작성하고 있는 바,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경향
부속서의 종류 : Annex 1 ~ 19
구분 | 내용 | 구분 | 내용 |
---|---|---|---|
1 | 항공종사자의 자격증명 | 11 | 항공교통업무 |
2 | 항공규칙 | 12 | 수색 및 구조 |
항공안전법 제1조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test
응시하기
hello | hello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