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10%;'>명칭</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10%;'>기호</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10%;'>발달시기</th> <th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idth:70%;'>특성</th> </tr> <tr>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시베리아기단</td> <td sty...) |
편집 요약 없음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오호츠크해기단</td>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오호츠크해기단</td> |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mP(해양성한대)</td>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mP(해양성한대)</td> |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주로장마기</td> | <td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초여름<br>주로장마기</td> | ||
<td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 middle;'>한랭 다습하다.<br>동해안 지역을 흐리게 하고, 비를 내리게 한다.</td> | <td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 middle;'>한랭 다습하다.<br>동해안 지역을 흐리게 하고, 비를 내리게 한다.</td> | ||
</tr> | </tr> |
2023년 12월 21일 (목) 22:07 판
명칭 | 기호 | 발달시기 | 특성 |
---|---|---|---|
시베리아기단 | cP(대륙성한대) | 주로겨울 | 한랭 건조하다. 겨울의 혹한을 일으키고 겨울 계절풍과 더불어 삼한사온 현상을 유발한다. |
오호츠크해기단 | mP(해양성한대) | 초여름 주로장마기 |
한랭 다습하다. 동해안 지역을 흐리게 하고, 비를 내리게 한다. |
북태평양기단 | mT(해양성열대) | 주로여름 | 고온 다습하다. 여름철 더위, 폭염을 가져온다. |
양쯔강기단 | cT(대륙성열대) | 봄과가을 | 온난 건조하다.이동성 고기압과 함께 동진해 와서 따뜻하고 건조한 일기를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