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드론교관과정 이론
본 사이트는 초경량비행장치 1종, 2종, 3종 필기시험 교관과정 필기시험을 학습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키 사이트 입니다.
 
== Part 1. 항공법규 및 인적요인 ==
 
 
=== 1. 항공안전법 ===
항공안전법 제1조 <strong>"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strong>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파일:test.jpg|300px]]
 
<p class='btn btn-success'>test</p>
 
==== 1. 항공 법규 체계 ====
 
 
===== 1. 항공법의 발전과 유래 =====
(1) 1907년 : 인적불상자의 영불해협 항공 횡단(<small>여권 소지X, 입국허가X)</small><br>
:&rarr; 하늘의 법적 지위와 항공의 국제적 성격이 국제사회에 비상한 관심을 받게 된 이유
 
(2) 1910년 : 최초 항공법 회의 개최<small>(파리, 19개국 국가 대표 참석)</small>
 
(3) 1919년 10월 : 국제항공회의 개최<small>(파리)</small>, 파리협약 채택
:① 항행의 규율에 관한 국제협약<small>(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ng to the Regulation of Aerial Navigation : 이하 파리협약 이라 한다)</small>
:② 의미 : 제1조에서 자국 영공에 대한 완전하고 배타적인 주권을 인정함으로써 영공주권의 원칙을 정착시켰다는 점
 
(4) 1944년 12월 : 시카고 회의<small>(Chicago Conference)</small>결과 &rarr 국제민간항공협약 채택
:① <span class='text-info'>국제민간항공협약<small>(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small></span> : 1944년 12월 7일 시카고에서 작성, <span class='text-info'>1947년 4월4일</span>발효
:②파리협약 제1조의 규정을 그대로 답습,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영공주권의 절대성은 당시에 이미 국제관습법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음
:③ 현재 191개국이 가입, 국제민간항공기구<small>(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mall>가 여러 부속서<small>(Annex)</small>를 채택하고 많은 항공관련 문서들을 작성하고 있는 바,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경향
 
<!-- Single button -->
<div class="btn-group">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default dropdown-toggle" data-toggle="dropdown" aria-haspopup="true" aria-expanded="false">
    Action <span class="caret"></span>
  </button>
  <ul class="dropdown-menu">
    <li><a href="#">Action</a></li>
    <li><a href="#">Another action</a></li>
    <li><a href="#">Something else here</a></li>
    <li role="separator" class="divider"></li>
    <li><a href="#">Separated link</a></li>
  </ul>
</div>
 
 
 
부속서의 종류 : Annex 1 ~ 19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danger'>
    <th>구분</th>
    <th>내용</th>
    <th>구분</th>
    <th>내용</th>
  </tr>
 
  <tr>
    <td class='warning'>1</td>
    <td>항공종사자의 자격증명</td>
    <td>11</td>
    <td>항공교통업무</td>
  </tr>
  <tr>
    <td>2</td>
    <td>항공규칙</td>
    <td>12</td>
    <td>수색 및 구조</td>
  </tr>
</table>
 
 
</table>
 
<div class='well'>
항공안전법 제1조 "이 법은 <span class='text-warning font-weight-bold'>국제민간항공협약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span>되는 방식에 따라 <span class='text-warning font-weight-bold'>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span>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div>
 
<p class='btn btn-success'>test</p>
<p class='btn btn-warning'>
<p class='btn btn-lg btn-outline-secondary nav-move' href='/qbank/qbank_st_cont/qbankStTestSelect' type='button'>응시하기</p>
</p>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tr class='success'><th>hello</th><th>hello2</th></tr></table>
<span class="glyphicon glyphicon-ok" aria-hidden="true"></span>
 
==== 2. 항공안전법 주요내용====
===== 정의 =====
 
===== 장치신고 =====
===== 안전성인증 =====
 
===== 조종자증명 =====
===== 전문교육기관 =====
===== 비행승인 =====
===== 조종자 준수사항 =====
===== 조종자 준수사항(사고보고) =====
===== 안전개선명령 =====
===== 기타 =====
===== 처벌기준 =====
==== 3. 무인비행장치 조종자증명 운영세칙 ====
 
=== 2. 항공사업법 ===
==== 1. 일반 ====
==== 2. 항공기대여업 ====
==== 3. 항공레저스포츠사업 ====
==== 4.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 ====
==== 5. 준용규정 ====
==== 6. 벌칙 ====
 
=== 3. 공역 및 항공안전 ===
==== 1. 공역의 범위 ====
==== 2. 공역의 구분 ====
==== 3. 우리나라 공역 현황 ====
==== 4. 초경량비행장치 비행 공역 ====
==== 5. 초경량비행장치 안전 준수사항 ====
==== [참고]업무처리 기관 연락처 ====
 
=== 4. 무인(유인)항공기 인적요인 ===
==== 1. 무인(유인)기 이슈 및 사고 ====
==== 2. 인적요인(Human Factors) ====
==== 3.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요인 ====
 
== Part 2. 시스템 및 비행이론 ==
=== 1. 무인비행장치 시스템 및 기체운용 ===
==== 1. 무인비행장치 시스템 ====
 
==== 2. 추진시스템 ====
 
==== 3. 비행제어시스템 ====
 
==== 4. 비행데이터분석 ====
 
=== 2. 드론산업 및 기술동향 ===
==== 1. 드론 산업 동향 ====
==== 2. 드론 기술 동향 ====
 
=== 3. 안전관리 및 사고사례 ===
==== 1. 무인비행장치 ====
==== 2. 초경량비행장치사고 ====
==== 3. 무인비행장치 사고사례 ====
==== 4. 농업용 무인비행장치 비행안전 ====
==== 5. 무인비행장치 안전관리 ====
 
=== 4. 비행교수법 ===

2023년 12월 30일 (토) 15:24 기준 최신판

본 사이트는 초경량비행장치 1종, 2종, 3종 필기시험 및 교관과정 필기시험을 학습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키 사이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