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같은 말: AGL(above ground level), AGL altitude, radar altitude.  
※ 같은 말: AGL(above ground level), AGL altitude, radar altitude.  


항공기로부터 지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항공기로부터 지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우리가 체감하기에 실제 높이에 가까우며,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이기 때문에 내가 일정한 높이로 비행을 한다고 해도 지표면의 표고에 따라 그 고도가 시시각각 변한다.  
:우리가 체감하기에 실제 높이에 가까우며,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이기 때문에 내가 일정한 높이로 비행을 한다고 해도 지표면의 표고에 따라 그 고도가 시시각각 변한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 같은 말: 실제고도, 해수면 고도(MSL altitude), 해발 고도, 해면 고도
※ 같은 말: 실제고도, 해수면 고도(MSL altitude), 해발 고도, 해면 고도


항공기로부터 평균 해수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항공기로부터 평균 해수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인데, 이 두 고도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인데, 이 두 고도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흔히, 고참 조종사들이 하는 말로 '겨울철에 발 아래 조심해라' 내지 '겨울철에 나뭇가지 조심해라' 라고들 한다.  
:흔히, 고참 조종사들이 하는 말로 '겨울철에 발 아래 조심해라' 내지 '겨울철에 나뭇가지 조심해라' 라고들 한다.  
이 말은 곧 겨울철에는 내 항공기가, 지시하는 고도보다 낮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말은 곧 겨울철에는 내 항공기가, 지시하는 고도보다 낮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 해발 150m의 비행장 상공에 있는 비행기 진 고도가 500m라면 이 비행기의 절대고도는 500-150= 350m 이다.
   
   


기온이 표준기온보다 높으면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낮고, 표준기온보다 낮으면 반대로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높다.  
:기온이 표준기온보다 높으면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낮고, 표준기온보다 낮으면 반대로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높다.  
쉽게 설명하면! 한겨울에는 "지시고도 > 진고도" 이다.  
:쉽게 설명하면! 한겨울에는 "지시고도 > 진고도" 이다.  
지시고도는 300ft를 가리키고 있다면, 실제 진고도는 이보다 더 낮은 300ft 이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지시고도는 300ft를 가리키고 있다면, 실제 진고도는 이보다 더 낮은 300ft 이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시고도를 참고하되 너무 맹목해서는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지시고도를 참고하되 너무 맹목해서는 안 된다.

2023년 12월 27일 (수) 15:54 판

고도의 종류에는 크게 지시고도, 절대고도, 진고도, 기압고도, 밀도고도가 있다.


1. 지시고도(Indicated altitude)

인근 공항이나 비행장에서 알려준 고도계 수정치 값을 고도계에 세팅했을 때의 고도이다.
이륙 전 혹은 다른 공역으로 가게 될 경우 해당 관제탑에서는 고도계 수정치를 불러준다.
이 값을 고도계의 콜스만 창에 맞추게 되면 고도값이 다시 세팅이 된다.
이때 고도계에서 지시하는 고도가 지시고도이며 현지에서의 내 항공기의 고도를 알 수 있다.


2. 절대고도(Absolute altitude)

※ 같은 말: AGL(above ground level), AGL altitude, radar altitude.

항공기로부터 지표면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우리가 체감하기에 실제 높이에 가까우며,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이기 때문에 내가 일정한 높이로 비행을 한다고 해도 지표면의 표고에 따라 그 고도가 시시각각 변한다.


3. 진고도(true altitude)

※ 같은 말: 실제고도, 해수면 고도(MSL altitude), 해발 고도, 해면 고도

항공기로부터 평균 해수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진고도와 지시고도의 관계인데, 이 두 고도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흔히, 고참 조종사들이 하는 말로 '겨울철에 발 아래 조심해라' 내지 '겨울철에 나뭇가지 조심해라' 라고들 한다.
이 말은 곧 겨울철에는 내 항공기가, 지시하는 고도보다 낮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 해발 150m의 비행장 상공에 있는 비행기 진 고도가 500m라면 이 비행기의 절대고도는 500-150= 350m 이다. 

기온이 표준기온보다 높으면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낮고, 표준기온보다 낮으면 반대로 지시고도는 진고도보다 높다.
쉽게 설명하면! 한겨울에는 "지시고도 > 진고도" 이다.
지시고도는 300ft를 가리키고 있다면, 실제 진고도는 이보다 더 낮은 300ft 이하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시고도를 참고하되 너무 맹목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