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식별 장단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통신방식별 장단점 ==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r class="table-danger">
   <tr class="table-danger">
     <th class="text-center">구분</th>
     <th style="text-align:center;">구분</th>
     <th>내용</th>
     <th style="text-align:center;">내용</th>
     <th>장점</th>
     <th style="text-align:center;">장점</th>
     <th>단점</th>
     <th style="text-align:center;">단점</th>
   </tr>
   </tr>




   <tr>
   <tr>
     <td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블루투스</td>
     <th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블루투스</th>
     <td style="text-align:left;">・단거리 저전력, 가장 보편적 사용<br>・79채널, 주파수 호핑기법 사용</td>
     <td style="text-align:left;">・단거리 저전력, 가장 보편적 사용<br>・79채널, 주파수 호핑기법 사용</td>
     <td style="text-align:left;">・주파수 간섭현상 상대적 낮음<br>・저전력 통신</td>
     <td style="text-align:left;">・주파수 간섭현상 상대적 낮음<br>・저전력 통신</td>
17번째 줄: 16번째 줄:
   </tr>
   </tr>
   <tr>
   <tr>
     <td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Wi-Fi</td>
     <th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Wi-Fi</th>
     <td style="text-align:left;">・스마트폰 이용한 원조종 급증<br>・주로 레저용 드론에 사용</td>
     <td style="text-align:left;">・스마트폰 이용한 원조종 급증<br>・주로 레저용 드론에 사용</td>
     <td style="text-align:left;">・고속의 데이터 전송 가능<br>・노트북,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 가능</td>
     <td style="text-align:left;">・고속의 데이터 전송 가능<br>・노트북,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 가능</td>
23번째 줄: 22번째 줄:
   </tr>
   </tr>
   <tr>
   <tr>
     <td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위성통신</td>
     <th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위성통신</th>
     <td style="text-align:left;">・인공위성을 활용한 장거리 통신<br>・비용, 사이즈 등 문제점으로 인한 사용기피</td>
     <td style="text-align:left;">・인공위성을 활용한 장거리 통신<br>・비용, 사이즈 등 문제점으로 인한 사용기피</td>
     <td style="text-align:left;">・재해, 전시에서도 사용가능</td>
     <td style="text-align:left;">・재해, 전시에서도 사용가능</td>
29번째 줄: 28번째 줄:
   </tr>
   </tr>
   <tr>
   <tr>
     <td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LTE</td>
     <th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LTE</th>
     <td style="text-align:left;">・대단위망 구축 : 드론택배 접목<br>・KT, LG유플러스 LTE기반 서비스</td>
     <td style="text-align:left;">・대단위망 구축 : 드론택배 접목<br>・KT, LG유플러스 LTE기반 서비스</td>
     <td style="text-align:left;">・드론 제어 통신거리 무제한<br>・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가능<br>・높은 고도에서 영상 중계</td>
     <td style="text-align:left;">・드론 제어 통신거리 무제한<br>・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가능<br>・높은 고도에서 영상 중계</td>
35번째 줄: 34번째 줄:
   </tr>
   </tr>
   <tr>
   <tr>
     <td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5G 이동통신</td>
     <th class="table-warning" style="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5G 이동통신</th>
     <td style="text-align:left;">・빠른 데이터 전송속도<br>・드론 산업 및 서비스에 최적합</td>
     <td style="text-align:left;">・빠른 데이터 전송속도<br>・드론 산업 및 서비스에 최적합</td>
     <td style="text-align:left;">・빠른 전송 속도<br>・여러 사물과 실시간 통신</td>
     <td style="text-align:left;">・빠른 전송 속도<br>・여러 사물과 실시간 통신</td>
     <td style="text-align:left;">・상용화에 장기간 시일 소요</td>
     <td style="text-align:left;">・상용화에 장기간 시일 소요</td>
   </tr>
   </tr>
</table>


</table>
<span class="title-info">무인기 제어용 통합 네트워크</span>
* '''P2P형 링크 :''' 군 무인기 시스템, 재난구조 수행, 긴급 통신영역 확장 등의 특수한 통신환경에서 다수의 드론 제어 및 조종
 
* '''네트워크형 링크 : ''' LTE, Wibro와 같은 고속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지상통제소와 연결되고 제어 및 조종
** 구성요소 : 지상무선국  ↔무인기제어 지상 네트워크 ↔공용 IP 네트워크 ↔지상통제소

2023년 12월 19일 (화) 13:21 기준 최신판

구분 내용 장점 단점
블루투스 ・단거리 저전력, 가장 보편적 사용
・79채널, 주파수 호핑기법 사용
・주파수 간섭현상 상대적 낮음
・저전력 통신
・고용량자료 전송 어려움
Wi-Fi ・스마트폰 이용한 원조종 급증
・주로 레저용 드론에 사용
・고속의 데이터 전송 가능
・노트북,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 가능
・출력제한으로 드론 제어 통신 제약
・ISM대역 사용으로 간섭 현상 발생
위성통신 ・인공위성을 활용한 장거리 통신
・비용, 사이즈 등 문제점으로 인한 사용기피
・재해, 전시에서도 사용가능 ・고비용, 저수명으로 경제성 부족
・지상교신 시 시간 지연 발생
LTE ・대단위망 구축 : 드론택배 접목
・KT, LG유플러스 LTE기반 서비스
・드론 제어 통신거리 무제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가능
・높은 고도에서 영상 중계
・테러나 범죄에 악용 가능성
・장거리 드론 비행 규제
(국내 : 비행특별승인제 시행)
5G 이동통신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
・드론 산업 및 서비스에 최적합
・빠른 전송 속도
・여러 사물과 실시간 통신
・상용화에 장기간 시일 소요

무인기 제어용 통합 네트워크

  • P2P형 링크 : 군 무인기 시스템, 재난구조 수행, 긴급 통신영역 확장 등의 특수한 통신환경에서 다수의 드론 제어 및 조종
  • 네트워크형 링크 : LTE, Wibro와 같은 고속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지상통제소와 연결되고 제어 및 조종
    • 구성요소 : 지상무선국 ↔무인기제어 지상 네트워크 ↔공용 IP 네트워크 ↔지상통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