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2009.8.3. 14시/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농업용 무인헬기콥터 충돌 사망사고 === '''(1) 사고개요''' : 일본 야마하 RMAX L17(S7044) 이륙 후 기체가 후진하며 조종자와 충돌, 조종자 <span class="text-danger fw-bolder">사망</span><br> '''(2) 사고조사결과'''(국토해앙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span class="text-primary fw-bolder">UAR0903</span>)<br> :① 피치 트림 스위치가 외부물체에 걸려 3단계로 이동되었으나 비행 전 점검단계에서 확인하지 못함<br> :② 이륙 전 GPS인가 스위치를 2회 조작, 이륙 후 기체후진으로 인해 GPS인가를 하지 못함<br> :③ 15m 이상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였으나 두 번의 기체후진 멈춤조작이 양이나 시간이 부족<br> :④ 약 6초간 18m 후진시 뒷걸음만으로 피하려고 함(조종자의 상황인지 및 회피동작 미흡)<br> === 2015.7.14./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어전리/농업용 무인헬리콥터 충돌 화재로 전소 === '''(1) 사고개요''' : 성우 REMO-H2(S7346)/ 농업 운반용 트럭에 충돌 화재로 전소<br> '''(2) 사고조사결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span class="text-primary fw-bolder">UAR1504</span>)<br> :① 부조종자가 갑자기 정지, 정지라고 외치는 소리를 듣고 조종자가 정지동작을 하였으나 비행관성으로 인해 장애물 충격<br> :② 추후 비행장치 시험비행 결과에 따르면 정상적인 방제비행 속도에서 정지조작을 하였을 경우 13m의 정지거리가 소요<br> :③ 사고 직전 부조종자는 의령 농협 직원에게 무전기를 이용하여 추가로 방제를 신청한 논 주인의 인적사항을 기록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잠시 시선을 농협직원 위치를 바라보고 있었음. 이러한 진술을 기초로 판단할 때 부조종자가 시선을 비행장치로 돌렸을 때 비행장치는 이미 정지선으로부터 5m 이내로 접근한 상태였을 것으로 판단됨<br> === 2011.7.13./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양동리/ 농업용 무인헬리콥터 <span class="text-primary fw-bolder">실종사고</span> === '''(1) 사고개요''' : 일본 야마하 RMAX L17(S7224)/항공 방제 중 실종<br> '''(2) 사표사결과'''(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span class="text-primary fw-bolder">UAR1703</span>)<br> :① 산림청 헬기로 수색, 인부를 동원하여 20일간 수색하였으나 실패<br> :② 5개월후 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하남공단부지조성 작업중인 공터에서 작업자가 발견<br> :③ GPS 해제로 기체가 흐르다가 안개 속으로 실종되어 상승을 시킴<br> :④ 높은 고도로 비행 후 무선신호 두절로 페일셰이프 동작이 작동되어 하강 중 연료고갈로 추락한 것으로 추정 요약: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초경량비행장치 이론과정: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